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목차
Ⅰ. 자료수집 ---------------------------------------------------------------------
1. 지역사회 특성 -----------------------------------------------------------------
1) 지역사회의 환경적 특성 ---------------------------------------------------
2) 지역사회의 인구학적 특성 -------------------------------------------------
2. 지역사회 주민 건강수준 ------------------------------------------------------
1) 건강상태 --------------------------------------------------------------------
2) 건강행태 --------------------------------------------------------------------
3) 건강 위험요인 --------------------------------------------------------------
3. 지역사회 자원 -----------------------------------------------------------------
1) 보건의료자원 ---------------------------------------------------------------
2) 사회적 지지체계 -----------------------------------------------------------
3) 정치적 지지체계 -----------------------------------------------------------
4) 물리적 자원 ----------------------------------------------------------------
5) 기타 자원 ------------------------------------------------------------------
Ⅱ. 자료 분석 -------------------------------------------------------------------
Ⅲ. 지역사회 진단 ----------------------------------------------------------
Ⅳ. 우선순위 선정 ---------------------------------------------------------
Ⅴ. 지역사회 간호계획--------------------------------------------------
1. 지역사회 특성 -----------------------------------------------------------------
1) 지역사회의 환경적 특성 ---------------------------------------------------
2) 지역사회의 인구학적 특성 -------------------------------------------------
2. 지역사회 주민 건강수준 ------------------------------------------------------
1) 건강상태 --------------------------------------------------------------------
2) 건강행태 --------------------------------------------------------------------
3) 건강 위험요인 --------------------------------------------------------------
3. 지역사회 자원 -----------------------------------------------------------------
1) 보건의료자원 ---------------------------------------------------------------
2) 사회적 지지체계 -----------------------------------------------------------
3) 정치적 지지체계 -----------------------------------------------------------
4) 물리적 자원 ----------------------------------------------------------------
5) 기타 자원 ------------------------------------------------------------------
Ⅱ. 자료 분석 -------------------------------------------------------------------
Ⅲ. 지역사회 진단 ----------------------------------------------------------
Ⅳ. 우선순위 선정 ---------------------------------------------------------
Ⅴ. 지역사회 간호계획--------------------------------------------------
본문내용
시설 낙후 미비 14.8%, 필요 이상 진료 실시 9.3%으로 전라북도 평균보다 높은 수치이다. 2019년 불만족 이유는 치료 치료 결과 미흡20.9%, 진료 불성실 13.9%, 진료 및 입원 대기 시간 과다 40.2%, 전문의료 인력 부족 5.2%로 전라북도 평균보다 높다.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복지서비스 만족도(202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잘 모르겠다
1.8%
13.4%
37.9%
30.6%
6.2%
10.1%
-2020년 군산시 사회조사에 의하면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36.8%가 만족하고 15.6%는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남자(15.3%)가 여자(15.1%)보다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등 대한 복지서비스 만족도(202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잘 모르겠다
2.1%
12.1%
31.8%
31.2%
11.3%
11.5%
-2020년 군산시 사회조사에 의하면 저소즉층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대해 42.5%가 만족한다에 응답, 14.2%가 만족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하였다.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동부 15.7%, 읍면부 5.0%로 지역간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기관 이용률
군산시
전라북도
2017
36.8%
38.4%
2018
32.2%
37.9%
2019
36.4%
38.1%
-연간 보건기관 이용률은 2017년 36.8%, 2018년 37.9%, 2019년 36.4%로 전라북도 평균보다 낮은 수치이며 도내 14개 지역을 순위로 매기면 2017년 10위, 2018년 13위, 2019년 12위로 낮다.
-코로나19로 인해 복지시설, 아동청소년시설 등이 폐쇄되었다.
4) 우선순위 선정
건강문제
관련요인
문제크기
심각도
측정효과
BPRS
순위
낮은 건강관리
-흡연
-음주
-비만
9
7
7
161
1
우울감
-코로나로 인한 사회활동 제한
6
6
7
126
2
낮은 지역사회자원 이용률
-시설 폐쇄
-거리두기
6
4
5
70
3
5) 지역사회 간호과정
간호문제 :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
목표설정
일반적 목표 : 군산시의 건강생활실천율을 2021년 28.8%에서 2022년 30%로 높인다.
목표설정
구체적 목표 :
군산시민의 비만율이 2026년 말까지 2% 감소할 것이다.
군산시민의 월간음주율이 2024년 말까지 2% 감소할 것이다.
군산시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을 2022년 말까지 50%로 높일 것이다.
군산시 흡연자의 금연사업 참여율을 50%로 높일 것이다.
정신건강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 자가관리능력을 높일 것이다.
수행계획
평가계획
수행내용
수행자
수행방법
추진기간
장소
평가기준
평가내용
평가방법
금연 프로그램(클리닉)
지역사회 간호사, 교육 간호사
담배의 문제점, 금단현상 등 교육, 금연 상담, 니코틴껌, 행동강화물품 제공
연중 평일
군산시 보건소
자가 기록지, 활동일지, 참여 횟수
5점 척도
설문지, 자가 기록지
절주 캠페인
지역사회 간호사, 간호학생, 지역사회 지도자
음주 폐해 교육, 음주 폐해 예방 홍보
월 2회
군산시 보건소, 거리, 머을버스를 이용한 홍보
참여 횟수, 활동일지
5점 척도
설문지, 활동일지
비만 예방, 건강생활실천 클리닉
간호사, 운동처방사, 영양사
체성분 분석 및 근육과 체지방율 측정, 검사결과에 따른 운동 및 영양, 건강상담
주 2회 이상
군산시 보건소
참여 횟수
체지방률 감소
설문지,
참여기록지,
체성분 검사결과지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정신건강간호사
마인드온 프로그램을 통해 회복 탄력성과 행복감 증진, 스트레스 관리방법 교육, 스트레스 검사
월 2회
군산시정신건강복지센터
스트레스 검사 수치 비교, 참여 횟수
스트레스자가관리능력
설문지, 기록지, 참여일지
○ 사업 추진 일정사업명
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금연 프로그램(클리닉)
절주 캠페인
비만 예방, 건강생활실천 클리닉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간호문제 : 슬픔/무기력/자존감 저하
목표설정
일반적 목표 : 군산시의 우울감 증상 유병률을 2021년 2.9%에서 2030년 2% 미만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목표설정
구체적 목표 :
-롱코비드 심리치료센터에서 우울 및 스트레스 상담을 연간 1회씩 받을 것이다.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우울증 자가검진을 3 달에 한번 실시할 것이다.
-우울감의 원인이 무엇인지 스스로 파악할 것이다.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한달에 1회 이상 사회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이다.
-우울과 관련된 인식을 개선 할 것이다.
수행계획
평가계획
수행내용
수행자
수행방법
추진기간
장소
평가기준
평가내용
평가방법
우울 및
스트레스 상담 실행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원자에 한해 롱코비드 심리치료센터에서 1대1 우울감 원인 파악 및 우울감 해소를 위한 심리상담을 진행한다.
2021.6
-2027.6
군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프로그램 도움된 정도, 참여율
5점 척도
설문지
우울증
자가검진 시행
본인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사이트에서 3달에 한번 자가검진(CES-D)을 진행한다.
2021.6
-2027.6
무관
검사횟수
21일점 이상일 경우 상담필요
CES-D 우울증 자가검진 척도
사회활동 프로그램 참여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군산시
건강증진사업
‘마인드 온’, ‘마음세탁소’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2021.6
-2027.6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프로그램 도움된 정도, 참여율,
등록인원
5점 척도
설문지,
일지기록
정신건강 인식개선
지역사회 간호사
정확한
정신건강 정보제공을 위한 ‘마음의 백신 기르기
캠페인’ 및 정신건강의 중요성과 치료정보를 알리는 홍보활동을 한다.
(가판대 설치)
2021.6
-2027.6
(월 1회)
보건소,
공원, 학교, 노인복지관
참여율,
개최횟수, 기록지
정신건강 캠패인
매월
실적보고 통해 평가
사업명
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롱코비드 심리치료
자가검지 (CES-D)
마인드온
마음
세탁소
마음의 백신 기르기 캠페인
○ 사업 추진 일정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복지서비스 만족도(202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잘 모르겠다
1.8%
13.4%
37.9%
30.6%
6.2%
10.1%
-2020년 군산시 사회조사에 의하면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36.8%가 만족하고 15.6%는 만족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남자(15.3%)가 여자(15.1%)보다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소득층 등 대한 복지서비스 만족도(202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은 편이다
보통이다
그런편이다
매우 그렇다
잘 모르겠다
2.1%
12.1%
31.8%
31.2%
11.3%
11.5%
-2020년 군산시 사회조사에 의하면 저소즉층 등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대해 42.5%가 만족한다에 응답, 14.2%가 만족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하였다. 취약계층에 대한 복지서비스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동부 15.7%, 읍면부 5.0%로 지역간 차이가 나타났다.
보건기관 이용률
군산시
전라북도
2017
36.8%
38.4%
2018
32.2%
37.9%
2019
36.4%
38.1%
-연간 보건기관 이용률은 2017년 36.8%, 2018년 37.9%, 2019년 36.4%로 전라북도 평균보다 낮은 수치이며 도내 14개 지역을 순위로 매기면 2017년 10위, 2018년 13위, 2019년 12위로 낮다.
-코로나19로 인해 복지시설, 아동청소년시설 등이 폐쇄되었다.
4) 우선순위 선정
건강문제
관련요인
문제크기
심각도
측정효과
BPRS
순위
낮은 건강관리
-흡연
-음주
-비만
9
7
7
161
1
우울감
-코로나로 인한 사회활동 제한
6
6
7
126
2
낮은 지역사회자원 이용률
-시설 폐쇄
-거리두기
6
4
5
70
3
5) 지역사회 간호과정
간호문제 : 정규적 건강관리 실패
목표설정
일반적 목표 : 군산시의 건강생활실천율을 2021년 28.8%에서 2022년 30%로 높인다.
목표설정
구체적 목표 :
군산시민의 비만율이 2026년 말까지 2% 감소할 것이다.
군산시민의 월간음주율이 2024년 말까지 2% 감소할 것이다.
군산시 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을 2022년 말까지 50%로 높일 것이다.
군산시 흡연자의 금연사업 참여율을 50%로 높일 것이다.
정신건강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 자가관리능력을 높일 것이다.
수행계획
평가계획
수행내용
수행자
수행방법
추진기간
장소
평가기준
평가내용
평가방법
금연 프로그램(클리닉)
지역사회 간호사, 교육 간호사
담배의 문제점, 금단현상 등 교육, 금연 상담, 니코틴껌, 행동강화물품 제공
연중 평일
군산시 보건소
자가 기록지, 활동일지, 참여 횟수
5점 척도
설문지, 자가 기록지
절주 캠페인
지역사회 간호사, 간호학생, 지역사회 지도자
음주 폐해 교육, 음주 폐해 예방 홍보
월 2회
군산시 보건소, 거리, 머을버스를 이용한 홍보
참여 횟수, 활동일지
5점 척도
설문지, 활동일지
비만 예방, 건강생활실천 클리닉
간호사, 운동처방사, 영양사
체성분 분석 및 근육과 체지방율 측정, 검사결과에 따른 운동 및 영양, 건강상담
주 2회 이상
군산시 보건소
참여 횟수
체지방률 감소
설문지,
참여기록지,
체성분 검사결과지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정신건강간호사
마인드온 프로그램을 통해 회복 탄력성과 행복감 증진, 스트레스 관리방법 교육, 스트레스 검사
월 2회
군산시정신건강복지센터
스트레스 검사 수치 비교, 참여 횟수
스트레스자가관리능력
설문지, 기록지, 참여일지
○ 사업 추진 일정사업명
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금연 프로그램(클리닉)
절주 캠페인
비만 예방, 건강생활실천 클리닉
정신건강증진 프로그램
간호문제 : 슬픔/무기력/자존감 저하
목표설정
일반적 목표 : 군산시의 우울감 증상 유병률을 2021년 2.9%에서 2030년 2% 미만으로 감소시킬 것이다.
목표설정
구체적 목표 :
-롱코비드 심리치료센터에서 우울 및 스트레스 상담을 연간 1회씩 받을 것이다.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우울증 자가검진을 3 달에 한번 실시할 것이다.
-우울감의 원인이 무엇인지 스스로 파악할 것이다.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한달에 1회 이상 사회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할 것이다.
-우울과 관련된 인식을 개선 할 것이다.
수행계획
평가계획
수행내용
수행자
수행방법
추진기간
장소
평가기준
평가내용
평가방법
우울 및
스트레스 상담 실행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지원자에 한해 롱코비드 심리치료센터에서 1대1 우울감 원인 파악 및 우울감 해소를 위한 심리상담을 진행한다.
2021.6
-2027.6
군산시 정신건강복지센터
프로그램 도움된 정도, 참여율
5점 척도
설문지
우울증
자가검진 시행
본인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사이트에서 3달에 한번 자가검진(CES-D)을 진행한다.
2021.6
-2027.6
무관
검사횟수
21일점 이상일 경우 상담필요
CES-D 우울증 자가검진 척도
사회활동 프로그램 참여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군산시
건강증진사업
‘마인드 온’, ‘마음세탁소’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2021.6
-2027.6
군산 정신건강복지센터
프로그램 도움된 정도, 참여율,
등록인원
5점 척도
설문지,
일지기록
정신건강 인식개선
지역사회 간호사
정확한
정신건강 정보제공을 위한 ‘마음의 백신 기르기
캠페인’ 및 정신건강의 중요성과 치료정보를 알리는 홍보활동을 한다.
(가판대 설치)
2021.6
-2027.6
(월 1회)
보건소,
공원, 학교, 노인복지관
참여율,
개최횟수, 기록지
정신건강 캠패인
매월
실적보고 통해 평가
사업명
추진일정(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롱코비드 심리치료
자가검지 (CES-D)
마인드온
마음
세탁소
마음의 백신 기르기 캠페인
○ 사업 추진 일정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과정, 가족 케이스 스터디, 가정 간호과정, 가정 케이스스터디, 지...
A+ 가정간호 케이스 , 가정간호 케이스 스터디, 가정간호 실습, 가정간호 간호과정, 보건소 ...
[지역사회보건간호학] 가족간호과정 사례보고서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 간호진단 4개 CASE STUDY
지역사회간호 오마하 적용한 간호과정, 오마하 진단체계, 오마하 분류체
지역사회간호학 후두암case A+보장 간호진단 2개
지역사회간호학 논산시 케이스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1개]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방문간호)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지역사회간호] 지역사회 간호과정(대전 유성구)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