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3.대사증후군 발생 기전
4.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
5.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6.응급처치의 개념
7.응급처치의 필요성
8.응급처치의 시행방법
9.참고자료
2.대사증후군 진단 기준
3.대사증후군 발생 기전
4.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기술
5.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
6.응급처치의 개념
7.응급처치의 필요성
8.응급처치의 시행방법
9.참고자료
본문내용
이물질을 뱉어내도록 유도하였으나 좀처럼 이물질이 배출되지 않아 즉시 119에 구조를 요청한 후 전문구조요원이 도착할 때까지 필요한 응급처치는 흉부에 강한 압력을 주어 토해내게 하는 방법이다. 식사나 장난감 놀이 등 일상 생활 도중 무언가가 기도로 들어가 당장 호흡이 불가능하게 되면 호흡 곤란으로 구급차가 오기 전에 위험해질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응급조치 중 하나이다.
1974년, 이 방법을 고안, 체계화한 흉부외과 의사인 헨리 하임리히의 이름을 따서 하임리히법 또는 하임리히 요법으로 불린다.
기도가 완전히 막히지 않았을 경우에는 환자 스스로 기침을 해서 이물질을 뱉어낼 수 있지만, 기도가 완전히 막힌 경우에는 말을 하지 못하고, 기침을 하지 못하며 목을 감싸쥐는 모습을 보이며, 결국 몇 분 이내에 저산소증으로 무의식 후 심정지에 빠지게 된다. 기도완전폐쇄가 되고 초기에 아직 의식이 남아있을 때 응급처치 방법으로 횡격막을 올려 압박을 주어 가슴내부 압력을 상승시켜 이물질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
등쪽에 서서 양 겨드랑이 안쪽으로 시술자의 팔을 넣은 다음 두 손을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에 놓는다.
이때 시술자는 한 쪽 주먹을 엄지 쪽이 환자의 몸에 닿도록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에 놓은 다음, 다른 손을 주먹 위에 얹어 환자를 양 팔로 감싸듯이 잡고 명치 끝을 주먹으로 세게 밀어올린다.
두 다리는 어깨 너비보다 약간 넓게 벌리고 무릎은 살짝 굽혀서 단단히 선 안정적인 자세가 되도록 한다. 환자의 상체는 똑바로 세우려 하기보다 어느 정도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낫다. 그러나 너무 앞으로 숙이면 시술자가 힘을 주기 어렵다.
준비가 다 되었으면 시술자가 낼 수 있는 최대의 강한 힘으로 한순간에 환자의 복부를 압박한다. 힘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시도가 실패했다면 즉시 힘을 빼서 느슨하게 한 다음(자세 자체는 계속 유지해야 한다. 팔에 들어간 힘만 빼는 것이다) 일순간에 다시 힘을 준다. 이것을 환자가 이물을 뱉어 낼 때까지 반복한다. 119구급대원이 도착하거나 이물질(음식물)이 나올때까지 반복해야한다.
환자가 아플 것 같다고 약하게 해서는 안 되며, 아파하더라도 강하게 밀어올려야 한다. 약하게 해서 실패할 경우 반복해야 하는데, 횟수가 반복 될수록 환자 신체 내부의 압력이 떨어져 이물질 배출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복부비만이 심해서 팔로 완전히 감싸안을 수 없는 환자나 임산부의 경우, 가슴 한 가운데에 주먹을 대고 가슴을 뒤로 당기면서 압박한다.
9. 참고자료
박혜순, et al. \"원저: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 요인-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대한비만학회지 12.1 (2021): 1-14.
신해원, 『여러가지 진단기준으로 정의된 대사증후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08, 5-6p
장호석,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들과 암 발생간의 관련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02, 1-3p
한국산업안전공단(2009). 응급처치 개론, 안전보건, 21(1).
성현호, 박창은, 신체활동량과 대사증후군의 상관성.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3;7(4):235-242.
강현숙.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22;24(2):191-199.
유미경, 『진단기준별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심혈관 질환 발생위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08, 2pp, 9-11p
전국응급구조학과교수협의회(2014).기본응급약리학.한미의학.24~54
1974년, 이 방법을 고안, 체계화한 흉부외과 의사인 헨리 하임리히의 이름을 따서 하임리히법 또는 하임리히 요법으로 불린다.
기도가 완전히 막히지 않았을 경우에는 환자 스스로 기침을 해서 이물질을 뱉어낼 수 있지만, 기도가 완전히 막힌 경우에는 말을 하지 못하고, 기침을 하지 못하며 목을 감싸쥐는 모습을 보이며, 결국 몇 분 이내에 저산소증으로 무의식 후 심정지에 빠지게 된다. 기도완전폐쇄가 되고 초기에 아직 의식이 남아있을 때 응급처치 방법으로 횡격막을 올려 압박을 주어 가슴내부 압력을 상승시켜 이물질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
등쪽에 서서 양 겨드랑이 안쪽으로 시술자의 팔을 넣은 다음 두 손을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에 놓는다.
이때 시술자는 한 쪽 주먹을 엄지 쪽이 환자의 몸에 닿도록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에 놓은 다음, 다른 손을 주먹 위에 얹어 환자를 양 팔로 감싸듯이 잡고 명치 끝을 주먹으로 세게 밀어올린다.
두 다리는 어깨 너비보다 약간 넓게 벌리고 무릎은 살짝 굽혀서 단단히 선 안정적인 자세가 되도록 한다. 환자의 상체는 똑바로 세우려 하기보다 어느 정도 앞으로 기울어진 자세가 낫다. 그러나 너무 앞으로 숙이면 시술자가 힘을 주기 어렵다.
준비가 다 되었으면 시술자가 낼 수 있는 최대의 강한 힘으로 한순간에 환자의 복부를 압박한다. 힘을 지속적으로 주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시도가 실패했다면 즉시 힘을 빼서 느슨하게 한 다음(자세 자체는 계속 유지해야 한다. 팔에 들어간 힘만 빼는 것이다) 일순간에 다시 힘을 준다. 이것을 환자가 이물을 뱉어 낼 때까지 반복한다. 119구급대원이 도착하거나 이물질(음식물)이 나올때까지 반복해야한다.
환자가 아플 것 같다고 약하게 해서는 안 되며, 아파하더라도 강하게 밀어올려야 한다. 약하게 해서 실패할 경우 반복해야 하는데, 횟수가 반복 될수록 환자 신체 내부의 압력이 떨어져 이물질 배출이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복부비만이 심해서 팔로 완전히 감싸안을 수 없는 환자나 임산부의 경우, 가슴 한 가운데에 주먹을 대고 가슴을 뒤로 당기면서 압박한다.
9. 참고자료
박혜순, et al. \"원저: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관련 요인-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대한비만학회지 12.1 (2021): 1-14.
신해원, 『여러가지 진단기준으로 정의된 대사증후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관련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08, 5-6p
장호석, 『한국인에서 대사증후군 및 그 구성요소들과 암 발생간의 관련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02, 1-3p
한국산업안전공단(2009). 응급처치 개론, 안전보건, 21(1).
성현호, 박창은, 신체활동량과 대사증후군의 상관성.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2013;7(4):235-242.
강현숙.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건강행위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022;24(2):191-199.
유미경, 『진단기준별 대사증후군 유병률과 심혈관 질환 발생위험』,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08, 2pp, 9-11p
전국응급구조학과교수협의회(2014).기본응급약리학.한미의학.24~54
키워드
추천자료
생활과건강 2023] 1. 대사증후군을 예방 또는 관리하기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생활과건강 2. ...
(생활과 건강 1학년)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
생활과건강 공통 2023년)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생활과건강 대사증후군 예방 ...
[생활과건강] 2023년 1학기 중간과제물, 1. 자신의 생활습관을 스스로 점검한 후 그 특징을 ...
2023년 생활과건강) 1.자신의 생활습관 점검 특징을 기술,대사증후군 예방 관리 실천방안 생...
2023년 1학기 중간 과제물 생활 과 환경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생활과 건강, 공통) 1. 일상생활 속 사소한 습관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질병으로 이어질 ...
[생활과건강 2023] 1. 운동, 식생활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생활습관 점검한 후 특징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