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양성평등을 위한 제도에 대해 토론
2. 참고자료
2. 참고자료
본문내용
응시자에게만 낮은 체력기준을 제시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불어 성별에 따른 차등적인 체력기준은 양성평등에도 부합되지 않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경찰공무원 공채시 여성 응시자에게만 낮은 체력기준을 제시하지 말아야 하며, 경찰공무원 공채시에 적용되는 여성할당제도 당장 폐지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둘. 초등학교 남성교원이 너무 적다.
우리나라 초등교원 중 여성교원 비중은 약 91%로 알려져 있다. 초등교원 중 남성교원 비중이 워낙 적다보니, 초등학교에서 남성교원을 보기도 힘들고, 소수의 남성교원들이 여성교원들로부터 성차별적 발언을 듣는 경우가 흔다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정부에서 양성평등을 목적으로 경찰공무원 공채부분에서 여성할당제를 도입하였지만 왜 초등교원 선발에는 남성할당제를 도입하지 않는 것일까? 이는 명백한 성차별이자 헌법에 위배된 행위라는 생각이 들었다. 진정한 의미에서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여성할당제, 남성할당제와 같은 제도를 폐지하고 성별에 따른 체력기준이나 특혜도 모두 폐지할 수 있어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성인지 예산 제도화와 양성평등, 저자 홍희정, 출판 한국학술정보, 2015.07.10.
둘. 초등학교 남성교원이 너무 적다.
우리나라 초등교원 중 여성교원 비중은 약 91%로 알려져 있다. 초등교원 중 남성교원 비중이 워낙 적다보니, 초등학교에서 남성교원을 보기도 힘들고, 소수의 남성교원들이 여성교원들로부터 성차별적 발언을 듣는 경우가 흔다다고 하는데... 우리나라 정부에서 양성평등을 목적으로 경찰공무원 공채부분에서 여성할당제를 도입하였지만 왜 초등교원 선발에는 남성할당제를 도입하지 않는 것일까? 이는 명백한 성차별이자 헌법에 위배된 행위라는 생각이 들었다. 진정한 의미에서 양성평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여성할당제, 남성할당제와 같은 제도를 폐지하고 성별에 따른 체력기준이나 특혜도 모두 폐지할 수 있어야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2. 참고자료
성인지 예산 제도화와 양성평등, 저자 홍희정, 출판 한국학술정보, 2015.07.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