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에스틱 관계의 7대원칙 분석 / 비에스텍의 사회복지실천 7대 원칙을 적용한 사회복지사의 자세 / 느낀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에스틱 관계의 7대원칙 분석 / 비에스텍의 사회복지실천 7대 원칙을 적용한 사회복지사의 자세 / 느낀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에스틱 관계의 7대원칙 소개
(1) 개별화
(2) 의도적인 감정표현
(3) 통제된 정서적 관여
(4) 수용
(5) 비심판적 태도
(6)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권
(7) 비밀보장

2. 비에스텍의 사회복지실천 원칙을 적용한 사회복지사의 자세 

3.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스스로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7) 비밀보장
비밀보장은 클라이언트가 전문적 관계에서 노출한 비밀스런 정보를 사회복지사가 전문적 치료목적 외에 타인에게 알려서는 안 된다는 원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는 또한 사회복지실천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기도 한다. 문제해결과정에서 자신에 관한 정보가 타인에게 알려질 수 있다고 생각했다면 클라이언트는 아마 사회복지사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비밀, 개인적 관심, 비사회적 사고와 행동 등에 대해 절대로 이야기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비밀보장은 상당히 중요한 전문적 관계의 원칙이라 할 수 있다.
2. 비에스텍의 사회복지실천 원칙을 적용한 사회복지사의 자세
- 사회복지사는 개입에 있어서 클라이언트와 보조를 잘 맞추어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인간에 대한 편견이나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감정과 사고를 민감하게 이해하고 이에 자신을 투입시켜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인간행동에 대한 전문지식을 소유하고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개별적 접근을 하기 위하여 클라이언트의 언어적 및 비언어적표현을 잘 경청하고 관찰해야 하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특성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도록 독려하고 표현된 감정을 경청하여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개방할 수 있는 편안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상황을 잘 이해하기 전에 충고나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에게 모든 사람은 자신에게 중요한 사람이나 사물에 대하여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수 있다는 것과 그런 감정을 표현해도 좋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3. 결론 및 느낀점
지금까지 비에스텍의 7대원칙과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 간의 문제해결을 위한 관계를 형성할 때 주의해야할 점과 자세에 대해 알아보았다.
클라이언트의 개별화이해, 의도적 감정표현을 돕고, 수용과 비심판적 태도 등 다양한 점에서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이해하고 대해야 할 것이다.
숙련된 사회복지사의 경우 앞에서 말한 것들이 이미 익숙해져 있어서 상담진행시 어려움이 덜 할 것이라 생각이 된다. 하지만 첫 클라이언트를 맞이하는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의 안정적인 관계를 맺고 유지하기 위해 관계원칙을 상기하며 주의를 해야 할 것이다.
  • 가격3,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3.28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18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