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호과정
1. 간호 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 진단
: 요추천자 검사 처치와 관련된 통증
3. 간호계획 및 중재
: 장기목표/단기목표/기대되는 결과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1. 간호 사정
1) 주관적 자료
2) 객관적 자료
2. 간호 진단
: 요추천자 검사 처치와 관련된 통증
3. 간호계획 및 중재
: 장기목표/단기목표/기대되는 결과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충족시키는 최선의 간호를 실시한다.
: 불안 완화 간호 후 4시간 이상 앙와위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⑦ 부모(가족)에게 필요한 정보를 설명하고 교육한다.
: 부모에게 아동의 진행상황을 계속 알려 불안을 감소시킨다.
: 자극이 없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⑧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2시간 마다 측정하고, 고체온 시 발작여부를 철저히 감시하고, 저산소증과 뇌손상 증상 위험이 있으므로 철저히 모니터링한다.
⑨ I/O를 측정한다.
: 4시간 마다 측정한다.
⑩ 측와위를 취해준다.
: 목 경직 시 측와위 자세를 취해주고, 베개없이 침대 머리부분을 약간 상승시켜 눕힌다.
평가
아동은 3일 이내에 불안이 완화되었음을 표현했다
3일 이내 아동은 정상식이를 했다
3일 이내 요통과 하지통을 사라졌다.
일주일 이후 뒷 목이 약간 뻣뻣하다고 표현했다.
일주일 이내 케르니그 징후 및 브루진스킨 징후가 음성을 나타냈다.
4시간 이내로 열이 나지 않았다.
4시간 이내에 구토를 하지 않았다.
4시간 이내 두통을 호소하지 않았다.
-1일 이내 WBC가 정상수준을 유지했다.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3rd /Jane. W. Ball 외 저, 심인옥 외 역 / 학지사메디컬
: 불안 완화 간호 후 4시간 이상 앙와위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⑦ 부모(가족)에게 필요한 정보를 설명하고 교육한다.
: 부모에게 아동의 진행상황을 계속 알려 불안을 감소시킨다.
: 자극이 없는 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⑧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 2시간 마다 측정하고, 고체온 시 발작여부를 철저히 감시하고, 저산소증과 뇌손상 증상 위험이 있으므로 철저히 모니터링한다.
⑨ I/O를 측정한다.
: 4시간 마다 측정한다.
⑩ 측와위를 취해준다.
: 목 경직 시 측와위 자세를 취해주고, 베개없이 침대 머리부분을 약간 상승시켜 눕힌다.
평가
아동은 3일 이내에 불안이 완화되었음을 표현했다
3일 이내 아동은 정상식이를 했다
3일 이내 요통과 하지통을 사라졌다.
일주일 이후 뒷 목이 약간 뻣뻣하다고 표현했다.
일주일 이내 케르니그 징후 및 브루진스킨 징후가 음성을 나타냈다.
4시간 이내로 열이 나지 않았다.
4시간 이내에 구토를 하지 않았다.
4시간 이내 두통을 호소하지 않았다.
-1일 이내 WBC가 정상수준을 유지했다.
참고문헌
아동간호학 3rd /Jane. W. Ball 외 저, 심인옥 외 역 / 학지사메디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