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QI 사례분석보고서 [간호관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CQI 사례분석보고서 [간호관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애가 있음
20
6. 의식상태
자신의 기능 수준에 대해 잘 알고 있음
0
자신의 기능 수준을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
15
총점
평가
2. 낙상고위험 불변요인
환자상태 관련 위험요인
□ 흥분상태 □ 현기증 및 체위성 저혈압 □ 수면장애
□ 배뇨장애 □ 시력/청각장애
투약관련 위험요인
□ 항우울제 □ 항불안제 □ 항정신치료제 □ 마약 □ 수면제 □ 최면진정제 □ 항고혈압제 □ 이뇨제
기타 위험요인
□ 연령: 65세 이상
3. 낙상평가 결과
고위험군 : 51점 이상 (낙상 위험성이 높음/High risk)
저위험군 : 25 - 50점 (낙상위험성이 낮음/Low risk)
무위험군 : 24점 미만 (낙상위험성이 거의 없음/No risk)
개선방안 수립
1) E 근무 시 PO약을 돌릴 때마다 환자에게 낙상교육을 함께 한다.
side rail 교육, 미끄럼 방지 신발 착용, 자기 전 화장실 다녀오기, 천천히 일어나기, 침대 위에서 옷 갈아입지 않기 등
2) 낙상 고위험군은 환자팔찌와 침상 발치, 수액걸대에 낙상위험 표시판을 걸어둔다.
3) 간호사 매 duty 라운딩 시마다 환자 침상 발치에 배치된 낙상 고위험 예방활동 체크리스트를 체크한다.
번호
체크리스트
날짜
1
침상 및 주변 정리 정돈
/
침상 난간, 침대바퀴 잠금장치, 안전 바 유지 점검
D
E
N
샤워실과 화장실 미끄럼 방지 점검
조명 밝기 조절과 바닥에 물기 제거
2
낙상 주의, 낙상 고위험 표지를 침상에 부착
낙상 위험 전산
3
입원 시 낙상교육 리플렛 제공
시설물 이용에 대해 교육(보조기구, 침상난간, 콜벨 등)
적절한 신발 착용 교육(잘 맞는 신발, 미끄럼 방지 밑창)
보행 시 주의사항 교육
낙상예방활동 방송 1일 2회 실시 (8:00, 20:00)
4
수면 전 배뇨 확인 및 화장실 다녀오기 교육
5
의식이 불안정한 환자의 경우 보호자를 상주
6
환자 이송 시 직원에게 낙상에 대한 주의사항 설명
4) 낙상예방에 대한 안내방송을 1일 2회 실시한다.
기대효과
환자들은 side rail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침상 위에 있는 동안은 침상 난간을 올려둘 것이다.
간호사들은 낙상 위험성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예방활동 체크리스트가 성실히 수행될 것이다.
6개월 이내에 51W에서 낙상 발생 보고율은 0% 일 것이다.
참고문헌
a. 장금성 외, [간호관리학 제5판] 현문사 2020
b.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 낙상 (kdca.go.kr)
  • 가격2,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4.10
  • 저작시기202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3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