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강(Oral)
Ⅰ.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Ⅱ.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Ⅲ.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Ⅳ. 뼈 주사 검사
2. 인두(Pharynx)
Ⅰ. 내시경하 비인두 검사
Ⅱ. 인두 배양
Ⅲ. A군 사슬알균 항원 검출법
Ⅳ. 혈액학적 검사
3. 식도(Esophagus)
Ⅰ. 식도 조영술
Ⅱ. 식도 내시경
Ⅲ. 초음파 내시경
Ⅳ. 기관지 내시경
4. 위(Stomach)
Ⅰ. 위내시경
Ⅱ. 상부위장관조영술
Ⅲ. 내시경적 초음파검사
Ⅳ.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Ⅴ.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Ⅵ.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Ⅶ. 혈액학적 검사 : 종양표지자(CEA, CA19-9, AFP 등)
5. 소장(Small intestine)
Ⅰ. 복부단순촬영
Ⅱ. 상부 위장관 촬영술
Ⅲ. 캡슐내시경
Ⅳ. 소장관장법(enteroclysis)
Ⅴ. 혈액학적 검사
6. 대장(Large intestine)
Ⅰ. 대장 내시경 검사
Ⅱ. 대장 조영검사
Ⅲ. 대변 배양 검사
Ⅳ. 대변 및 잠혈검사
Ⅴ. 대장파이버스코프검사
Ⅵ. 대장 X-선 검사
Ⅶ. 혈액학적 검사 : 종양표지자(CEA)
7. 간(Liver)
Ⅰ. 간 초음파 검사
Ⅱ.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Ⅲ. 혈액학적 검사 : 간 기능 검사
8. 담낭(gallbladder)
Ⅰ. 쓸개이자조영술
Ⅱ. 간쓸개섬광조영술
Ⅲ. 내시경초음파검사
Ⅳ. 간담도 영상검사
Ⅴ.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Ⅵ.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Ⅷ. 혈액학적 검사 : 빌리루빈, ALP 등
9. 췌장(Pancreas)
Ⅰ. 혈액학적 검사 : 췌장 질환 진단
Ⅱ. 복부초음파
Ⅲ.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Ⅳ.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Ⅵ. 내시경 초음파 검사(EUS)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Ⅰ.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Ⅱ.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Ⅲ.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Ⅳ. 뼈 주사 검사
2. 인두(Pharynx)
Ⅰ. 내시경하 비인두 검사
Ⅱ. 인두 배양
Ⅲ. A군 사슬알균 항원 검출법
Ⅳ. 혈액학적 검사
3. 식도(Esophagus)
Ⅰ. 식도 조영술
Ⅱ. 식도 내시경
Ⅲ. 초음파 내시경
Ⅳ. 기관지 내시경
4. 위(Stomach)
Ⅰ. 위내시경
Ⅱ. 상부위장관조영술
Ⅲ. 내시경적 초음파검사
Ⅳ.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Ⅴ.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Ⅵ.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Ⅶ. 혈액학적 검사 : 종양표지자(CEA, CA19-9, AFP 등)
5. 소장(Small intestine)
Ⅰ. 복부단순촬영
Ⅱ. 상부 위장관 촬영술
Ⅲ. 캡슐내시경
Ⅳ. 소장관장법(enteroclysis)
Ⅴ. 혈액학적 검사
6. 대장(Large intestine)
Ⅰ. 대장 내시경 검사
Ⅱ. 대장 조영검사
Ⅲ. 대변 배양 검사
Ⅳ. 대변 및 잠혈검사
Ⅴ. 대장파이버스코프검사
Ⅵ. 대장 X-선 검사
Ⅶ. 혈액학적 검사 : 종양표지자(CEA)
7. 간(Liver)
Ⅰ. 간 초음파 검사
Ⅱ.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Ⅲ. 혈액학적 검사 : 간 기능 검사
8. 담낭(gallbladder)
Ⅰ. 쓸개이자조영술
Ⅱ. 간쓸개섬광조영술
Ⅲ. 내시경초음파검사
Ⅳ. 간담도 영상검사
Ⅴ.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Ⅵ.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Ⅷ. 혈액학적 검사 : 빌리루빈, ALP 등
9. 췌장(Pancreas)
Ⅰ. 혈액학적 검사 : 췌장 질환 진단
Ⅱ. 복부초음파
Ⅲ.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Ⅳ.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Ⅵ. 내시경 초음파 검사(EUS)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본문내용
2mg/dL),
알부민(3.5~5.2g/dL), 단백질(6.6~8.7g/dL), GGT(남성 10~71U/L / 여성 6~42U/L),
LDH(120~250IU/L), 프로트롬빈 시간(0.8~1.3 INR)
ALT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으로 유출되어 혈중 수치 증가
ALP
간세포 내의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담즙 배설 장애가 있을 때 증가
AST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으로 유출되어 혈중 수치 증가
빌리루빈
체내 빌리루빈의 생성이 증가하거나, 배설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증가할 수 있으며 간질환, 폐쇄성 황달, 용혈성 빈혈 등에서 증가
알부민
간 기능 저하로 알부민 생성이 저하되어 수치가 감소
총단백질
총 단백질은 간질환에서 대개 정상이거나 낮음
GGT
음주, 비만, 울혈성 심부전 등(GGT 증가 시)
LDH
체내 조직의 손상 시 증가(간질환), 다른 질환에서도 비정상적으로 증가
프로트롬빈 시간
비타민 K 결핍, 간염, 간경변, 간장애, 항응고제 복용, 파종성혈관내응고,
응고인자 결핍 시 프로트롬빈 시간이 증가
담낭(gallbladder)
담낭의 구조
┎ 간의 우엽과 좌엽 사이의 오목에 붙어 있음
┠ 길이 7~10cm, 30~50ml 정도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음
┖ 기저부, 체부, 누두부, 경부로 나눌 수 있음
담낭의 기능
- 간에서 분비한 담즙을 농축, 저장
→ 음식물이 십이지장내로 들어옴
→ 담즙을 분비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도움
Ⅰ. 쓸개이자조영술
임상 진단적 검사
- 내시경으로 쓸개(담낭)와 이자(췌장)의 병변을 조영제를 넣어 X-ray 로 촬영하는 검사방법
Ⅱ. 간쓸개섬광조영술
임상 진단적 검사
- 간과 담도계의 기능을 확인하는 진단적 검사로, 담즙이 생산되어 간을 통해 소장으로 이동 하는 흐름을 확인하여 간담도계의 기능을 평가
Ⅲ. 내시경초음파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진단이 힘든 췌장의 작은 악성 종양의 진단을 하기 위해 검사하는 방법
Ⅳ. 간담도 영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담즙 누출이나 담도폐쇄 등 합병증을 비침습적으로 진단하는 검사
Ⅴ.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담낭암검사를 위해 사용되는데 암을 진단, 병기를 측정하는데 있어 초음파보다 더 낮음
Ⅵ.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간에 전이가 되었는지를 찾아낼 수 있는 검사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임상 진단적 검사
- 암세포에서 당대사가 높아지는 것을 사용한 검사방법
Ⅷ. 혈액학적 검사 : 빌리루빈, ALP 등
임상 진단적 검사
- 담관에 담즙을 정체 시킬 만한 요인이 있을 수 있기에 다른 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좋음
췌장(Pancreas)
췌장의 구조
┎ 길이 약 15cm, 무게 약 100g 정도로 가늘고 긴 모양
┠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
┖ 위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회백색의 장기
췌장의 기능
① 외분비기능과 내분비기능을 함께 수행함
② 췌관을 통해 많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샘
③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내분비샘
Ⅰ. 혈액학적 검사 : 췌장 질환 진단
임상 진단적 검사
- 빌리루빈(황달수치), GOT(AST)와GPT(ALT), 혈청 총단백, 알부민, 글로불린 수치에 따라
간질환의 유무와 그 감별진단 및 그 병의 정도와 예후, 판단 및 치료에 결정적으로 작용
Ⅱ. 복부초음파
임상 진단적 검사
- 간, 담도, 췌장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진단을 위해 1차적으로 시행하는 검사
Ⅲ.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1cm 크기 이하의 암도 발견할 수 있는 검사
Ⅳ.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췌관과 담관을 자세히 볼 수 있으며 간 전이를 잘 발견할 수 있는 검사
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임상 진단적 검사
- 담관과 췌관이 십이지장으로 열리는 유두부의 이상 여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영제를 사용하여 담관이나 췌관의 영상을 얻어 조금 더 정확한 진단 내리는 검사
Ⅵ. 내시경 초음파 검사(EUS)
임상 진단적 검사
- 내시경을 위나 십이지장에 위치시킨 바로 옆에 위치한 췌장을 초음파로 자세히 볼 수 있는
검사이며, 내시경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합친 검사 방법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임상 진단적 검사
- 인체의 어떤 암에 비해서도 원격 전이가 빈번히 발생하는 암의 하나이기 때문에 필수적이며
췌장과 떨어져서 다른 곳에도 암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방법
알부민(3.5~5.2g/dL), 단백질(6.6~8.7g/dL), GGT(남성 10~71U/L / 여성 6~42U/L),
LDH(120~250IU/L), 프로트롬빈 시간(0.8~1.3 INR)
ALT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으로 유출되어 혈중 수치 증가
ALP
간세포 내의 담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담즙 배설 장애가 있을 때 증가
AST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으로 유출되어 혈중 수치 증가
빌리루빈
체내 빌리루빈의 생성이 증가하거나, 배설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증가할 수 있으며 간질환, 폐쇄성 황달, 용혈성 빈혈 등에서 증가
알부민
간 기능 저하로 알부민 생성이 저하되어 수치가 감소
총단백질
총 단백질은 간질환에서 대개 정상이거나 낮음
GGT
음주, 비만, 울혈성 심부전 등(GGT 증가 시)
LDH
체내 조직의 손상 시 증가(간질환), 다른 질환에서도 비정상적으로 증가
프로트롬빈 시간
비타민 K 결핍, 간염, 간경변, 간장애, 항응고제 복용, 파종성혈관내응고,
응고인자 결핍 시 프로트롬빈 시간이 증가
담낭(gallbladder)
담낭의 구조
┎ 간의 우엽과 좌엽 사이의 오목에 붙어 있음
┠ 길이 7~10cm, 30~50ml 정도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음
┖ 기저부, 체부, 누두부, 경부로 나눌 수 있음
담낭의 기능
- 간에서 분비한 담즙을 농축, 저장
→ 음식물이 십이지장내로 들어옴
→ 담즙을 분비하여 지방의 소화, 흡수를 도움
Ⅰ. 쓸개이자조영술
임상 진단적 검사
- 내시경으로 쓸개(담낭)와 이자(췌장)의 병변을 조영제를 넣어 X-ray 로 촬영하는 검사방법
Ⅱ. 간쓸개섬광조영술
임상 진단적 검사
- 간과 담도계의 기능을 확인하는 진단적 검사로, 담즙이 생산되어 간을 통해 소장으로 이동 하는 흐름을 확인하여 간담도계의 기능을 평가
Ⅲ. 내시경초음파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진단이 힘든 췌장의 작은 악성 종양의 진단을 하기 위해 검사하는 방법
Ⅳ. 간담도 영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담즙 누출이나 담도폐쇄 등 합병증을 비침습적으로 진단하는 검사
Ⅴ.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담낭암검사를 위해 사용되는데 암을 진단, 병기를 측정하는데 있어 초음파보다 더 낮음
Ⅵ.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간에 전이가 되었는지를 찾아낼 수 있는 검사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임상 진단적 검사
- 암세포에서 당대사가 높아지는 것을 사용한 검사방법
Ⅷ. 혈액학적 검사 : 빌리루빈, ALP 등
임상 진단적 검사
- 담관에 담즙을 정체 시킬 만한 요인이 있을 수 있기에 다른 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좋음
췌장(Pancreas)
췌장의 구조
┎ 길이 약 15cm, 무게 약 100g 정도로 가늘고 긴 모양
┠ 간 다음으로 큰 소화샘
┖ 위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회백색의 장기
췌장의 기능
① 외분비기능과 내분비기능을 함께 수행함
② 췌관을 통해 많은 소화효소를 분비하는 외분비샘
③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는 내분비샘
Ⅰ. 혈액학적 검사 : 췌장 질환 진단
임상 진단적 검사
- 빌리루빈(황달수치), GOT(AST)와GPT(ALT), 혈청 총단백, 알부민, 글로불린 수치에 따라
간질환의 유무와 그 감별진단 및 그 병의 정도와 예후, 판단 및 치료에 결정적으로 작용
Ⅱ. 복부초음파
임상 진단적 검사
- 간, 담도, 췌장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들의 진단을 위해 1차적으로 시행하는 검사
Ⅲ. CT검사(전산화단층촬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1cm 크기 이하의 암도 발견할 수 있는 검사
Ⅳ. MRI검사(자기공명영상검사)
임상 진단적 검사
- 췌관과 담관을 자세히 볼 수 있으며 간 전이를 잘 발견할 수 있는 검사
Ⅴ.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임상 진단적 검사
- 담관과 췌관이 십이지장으로 열리는 유두부의 이상 여부를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영제를 사용하여 담관이나 췌관의 영상을 얻어 조금 더 정확한 진단 내리는 검사
Ⅵ. 내시경 초음파 검사(EUS)
임상 진단적 검사
- 내시경을 위나 십이지장에 위치시킨 바로 옆에 위치한 췌장을 초음파로 자세히 볼 수 있는
검사이며, 내시경 검사와 초음파 검사를 합친 검사 방법
Ⅶ. PET검사(양전자방출단층촬영)
임상 진단적 검사
- 인체의 어떤 암에 비해서도 원격 전이가 빈번히 발생하는 암의 하나이기 때문에 필수적이며
췌장과 떨어져서 다른 곳에도 암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