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① 정의
② 원인
③ 병태생리
④ 임상증상
⑤ 진단
⑥ 치료
⑦ 간호 관리와 가족교육
Ⅱ. 본론
① 간호정보
② 고위험 신생아 신체사정
③ 투약
④ 특수검사
⑤ 임신 시나 분만 시의 건강문제
⑥ 가계도 및 가족력
⑦ 가족의 대응(아기에 대한 반응/모아애착정도)
⑧ 간호문제 목록
⑨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Ⅲ. 결론
① 참고문헌
② 느낀점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① 정의
② 원인
③ 병태생리
④ 임상증상
⑤ 진단
⑥ 치료
⑦ 간호 관리와 가족교육
Ⅱ. 본론
① 간호정보
② 고위험 신생아 신체사정
③ 투약
④ 특수검사
⑤ 임신 시나 분만 시의 건강문제
⑥ 가계도 및 가족력
⑦ 가족의 대응(아기에 대한 반응/모아애착정도)
⑧ 간호문제 목록
⑨ 간호과정 「Nursing Process」
Ⅲ. 결론
① 참고문헌
② 느낀점
본문내용
징후가 대부분 정상 수치로 돌아오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4. ABGA 검사할 때마다 결과를 확인하였다.
검사종류
01/01일
01/02일
01/03일
PH
▼ 7.270
▼ 7.276
▼ 7.272
PCO2
▲ 54.6
▲ 56.6
▲ 50.2
PO2
▼ 36.4
▼ 40.8
▼ 60.2
HCO3
21.5
22.4
21.0
3일 동안 ABGA 수치를 검사하여 보았을 때 수치가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아 몇 일간 수치를 더 지켜보기로 하였다.
평가
Nursing Evaluation
1. 계면활성제 투여하고 나서 호흡곤란증후군 호전보임.
2. 자가 호흡을 잘 하지 못함.
3. 활력징후는 점차 정상으로 돌아옴.
4. ABGA 수치는 정상 수치로 돌아오지 않음.
Nursing Process
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Gavage tube feeding
위관 5Fr 삽입
흡인 시 air 15cc 흡인함
34주 2330g c/sec 한 여아
기관 내 분비물 다량 흡인함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no.3 연하반사의 미성숙과 관련된 영양불균형(부족)
기대결과
Expected Outcome
장기 목표
- 퇴원 시까지 정상 체중이 될 것이다.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체중이 증가 할 것이다.
- 3일 이내에 수유량을 5cc씩 증가할 것이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간호계획 Nursing planning
이론적 근거 Rational
I/O check를 하여 수유량을
확인한다.
체중을 매일 측정한다.
수유 시 EKG 모니터를 보며
SPO2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약물 투약을 하여
부족한 영양을 공급한다.
수유량 기록은 아기의 영양
공급을 평가하고, 그에 맞는 치료 행위를 결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체중은 적절한 영양공급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수유시마다 산소포화도 저하가 있기 때문에 이를 관찰하여
호흡의 상태를 파악한다.
적절한 영양공급을 받을 시
정상범위내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1. D, E, N때 I/O check를 하였다.
▶ 01/01일
섭취량
D
E
N
총계
100W
29.45
47.2
76.65
NS
3
3
6
수유
5
5
10
소계
37.45
55.2
92.65
배설량
D
E
N
총계
소변(cc)
25
20
45
흡인량
10
10
소계
25
30
55
섭취량
D
E
N
총계
100W
47.2
43.4
55.2
145.8
NS
3
3
수유
10
15
5
30
소계
57.2
61.4
60.2
178.8
배설량
D
E
N
총계
소변(cc)
70
71
75
216
대변
6
4
10
20
흡인량
5
1
1
7
소계
81
76
86
243
▶ 01/02일
섭취량
D
E
N
총계
100W
45.9
45.8
52.8
144.5
NS
3
3
6
수유
25
30
20
75
소계
73.9
78.8
72.8
225.5
배설량
D
E
N
총계
소변(cc)
35
42
82
159
대변
4
2
5
11
흡인량
2.2
2.2
소계
41.2
44
87
172.2
▶ 01/03일
3일동안 하루에 3시간 간격으로 D 때나 E 때는 수유량이
5cc정도 증가하였지만 위관 흡인 시 N 때 보면 30%이상
잔량이 많이 나와 주는 양만큼 수유를 못하여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2. 아침 6am마다 체중을 측정하였다.
체중변화
날짜
01/01일
(13:09pm)
01/02일
(6am)
01/03일
(6am)
01/04일
(6am)
kg
2330g
2332g
2340g
2344g
아침마다 똑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g 8g 4g)
3. 수유 시 EKG 모니터를 보면서 SPO2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날짜
D
E
N
01/01일
95
90
01/02일
90
96
92
01/03일
95
100
95
위관 수유로 진행하여 주입하는 동안 EKG 모니터를 보면서
SPO2를 확인하였다.
4. 약물 투약을 하여 부족한 영양을 공급하였다.
▶ 10% DW 500ml 0.12g 12시간마다 IV 2회 50mg/kg 1회
약물
방법
훼럼 키드액(철분제)
분유 + 주사기 0,3cc
1일 1회(오전 10시)
써니디(비타민D)
분유 + 1방울 mix
1일 1회(오후 8시)
올비틸(종합비타민)
분유 + 주사기 3cc
1일 1회(오후 5시)
바이오가이아(유산균)
분유 + 5방울 mix
1일 1회(오후 2시)
이른둥이에게 부족한 영양을 수액으로 공급 해주고 매일 약물로 공급하여 체중도 증가하고 처음보다 건강한 모습을 보였다.
평가
Nursing Evaluation
1. 체중이 크게 변화를 보이지는 않지만 조금씩 증가보임.
2. 수유량을 대체적으로 D 나 E 때 5cc 증가하고 N 때는 잔량이
많이 나와 수유량이 감소됨.
3. 수유 시에는 SpO2가 한 번씩 정상수치보다 떨어짐.
4. 수액 공급과 매일 시간당 약물 복용으로 인하여 체중도 증가함.
3. 결론
① 참고문헌
아동간호학Ⅱ - 수문사 / 김희순 오진아 박충선 유미애 유하나 최지혜 김가은 최은경 외 옮김
② 느낀점
NICU를 갈 수 있게 되어 색다른 경험을 하게 되어 감사한 마음이 들었고, 미숙아들을 많이 보았는데 다들 재태 기간이 짧아서 그런지 신체 기관이 성숙하지 않아 다른 신생아들보다 질환들이 많은 것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특히 한창 엄마 뱃속에서 자라며 폐표면 활성제가 생성되어야 할 시기에 나와 버린 탓에 호흡기 질환에 걸린 아기가 많아 SpO2 수치와 호흡수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했다. 호흡기 질환을 가진 아이들은 수유를 할 때 숨을 쉬지 않고 빨기만 하는 바람에 SpO2 수치가 떨어졌다. 그래서 호흡이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아기들이 잘 먹는다고 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아이 상태를 살피며 모니터 확인을 잘하고 청색증 증상이 오는지도 확인을 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도 아기들이 힘들어 보여서 마음이 아팠고 질병과 관련된 약물을 잘 사용하여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다.
4. ABGA 검사할 때마다 결과를 확인하였다.
검사종류
01/01일
01/02일
01/03일
PH
▼ 7.270
▼ 7.276
▼ 7.272
PCO2
▲ 54.6
▲ 56.6
▲ 50.2
PO2
▼ 36.4
▼ 40.8
▼ 60.2
HCO3
21.5
22.4
21.0
3일 동안 ABGA 수치를 검사하여 보았을 때 수치가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아 몇 일간 수치를 더 지켜보기로 하였다.
평가
Nursing Evaluation
1. 계면활성제 투여하고 나서 호흡곤란증후군 호전보임.
2. 자가 호흡을 잘 하지 못함.
3. 활력징후는 점차 정상으로 돌아옴.
4. ABGA 수치는 정상 수치로 돌아오지 않음.
Nursing Process
사정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Subjective data
-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Gavage tube feeding
위관 5Fr 삽입
흡인 시 air 15cc 흡인함
34주 2330g c/sec 한 여아
기관 내 분비물 다량 흡인함
간호진단
Nursing Diagnosis
no.3 연하반사의 미성숙과 관련된 영양불균형(부족)
기대결과
Expected Outcome
장기 목표
- 퇴원 시까지 정상 체중이 될 것이다.
단기 목표
- 3일 이내에 체중이 증가 할 것이다.
- 3일 이내에 수유량을 5cc씩 증가할 것이다.
간호중재
Nursing Intervention
간호계획 Nursing planning
이론적 근거 Rational
I/O check를 하여 수유량을
확인한다.
체중을 매일 측정한다.
수유 시 EKG 모니터를 보며
SPO2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약물 투약을 하여
부족한 영양을 공급한다.
수유량 기록은 아기의 영양
공급을 평가하고, 그에 맞는 치료 행위를 결정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체중은 적절한 영양공급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수유시마다 산소포화도 저하가 있기 때문에 이를 관찰하여
호흡의 상태를 파악한다.
적절한 영양공급을 받을 시
정상범위내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다.
간호수행 Nursing intervention
1. D, E, N때 I/O check를 하였다.
▶ 01/01일
섭취량
D
E
N
총계
100W
29.45
47.2
76.65
NS
3
3
6
수유
5
5
10
소계
37.45
55.2
92.65
배설량
D
E
N
총계
소변(cc)
25
20
45
흡인량
10
10
소계
25
30
55
섭취량
D
E
N
총계
100W
47.2
43.4
55.2
145.8
NS
3
3
수유
10
15
5
30
소계
57.2
61.4
60.2
178.8
배설량
D
E
N
총계
소변(cc)
70
71
75
216
대변
6
4
10
20
흡인량
5
1
1
7
소계
81
76
86
243
▶ 01/02일
섭취량
D
E
N
총계
100W
45.9
45.8
52.8
144.5
NS
3
3
6
수유
25
30
20
75
소계
73.9
78.8
72.8
225.5
배설량
D
E
N
총계
소변(cc)
35
42
82
159
대변
4
2
5
11
흡인량
2.2
2.2
소계
41.2
44
87
172.2
▶ 01/03일
3일동안 하루에 3시간 간격으로 D 때나 E 때는 수유량이
5cc정도 증가하였지만 위관 흡인 시 N 때 보면 30%이상
잔량이 많이 나와 주는 양만큼 수유를 못하여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2. 아침 6am마다 체중을 측정하였다.
체중변화
날짜
01/01일
(13:09pm)
01/02일
(6am)
01/03일
(6am)
01/04일
(6am)
kg
2330g
2332g
2340g
2344g
아침마다 똑같은 시간에 체중을 측정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g 8g 4g)
3. 수유 시 EKG 모니터를 보면서 SPO2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날짜
D
E
N
01/01일
95
90
01/02일
90
96
92
01/03일
95
100
95
위관 수유로 진행하여 주입하는 동안 EKG 모니터를 보면서
SPO2를 확인하였다.
4. 약물 투약을 하여 부족한 영양을 공급하였다.
▶ 10% DW 500ml 0.12g 12시간마다 IV 2회 50mg/kg 1회
약물
방법
훼럼 키드액(철분제)
분유 + 주사기 0,3cc
1일 1회(오전 10시)
써니디(비타민D)
분유 + 1방울 mix
1일 1회(오후 8시)
올비틸(종합비타민)
분유 + 주사기 3cc
1일 1회(오후 5시)
바이오가이아(유산균)
분유 + 5방울 mix
1일 1회(오후 2시)
이른둥이에게 부족한 영양을 수액으로 공급 해주고 매일 약물로 공급하여 체중도 증가하고 처음보다 건강한 모습을 보였다.
평가
Nursing Evaluation
1. 체중이 크게 변화를 보이지는 않지만 조금씩 증가보임.
2. 수유량을 대체적으로 D 나 E 때 5cc 증가하고 N 때는 잔량이
많이 나와 수유량이 감소됨.
3. 수유 시에는 SpO2가 한 번씩 정상수치보다 떨어짐.
4. 수액 공급과 매일 시간당 약물 복용으로 인하여 체중도 증가함.
3. 결론
① 참고문헌
아동간호학Ⅱ - 수문사 / 김희순 오진아 박충선 유미애 유하나 최지혜 김가은 최은경 외 옮김
② 느낀점
NICU를 갈 수 있게 되어 색다른 경험을 하게 되어 감사한 마음이 들었고, 미숙아들을 많이 보았는데 다들 재태 기간이 짧아서 그런지 신체 기관이 성숙하지 않아 다른 신생아들보다 질환들이 많은 것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특히 한창 엄마 뱃속에서 자라며 폐표면 활성제가 생성되어야 할 시기에 나와 버린 탓에 호흡기 질환에 걸린 아기가 많아 SpO2 수치와 호흡수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야 했다. 호흡기 질환을 가진 아이들은 수유를 할 때 숨을 쉬지 않고 빨기만 하는 바람에 SpO2 수치가 떨어졌다. 그래서 호흡이 삶에서 얼마나 중요한지, 아기들이 잘 먹는다고 보고만 있을 것이 아니라 아이 상태를 살피며 모니터 확인을 잘하고 청색증 증상이 오는지도 확인을 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보다도 아기들이 힘들어 보여서 마음이 아팠고 질병과 관련된 약물을 잘 사용하여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랐으면 좋겠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