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면역이란?
2. 면역 구성
3. 면역기능
4. 인체의 방어기전
5.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
6. 체액성 면역 반응
7. 과민반응
8. 자가 면역 질환
9. 이식 면역
10. 면역결핍증
2. 면역 구성
3. 면역기능
4. 인체의 방어기전
5.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
6. 체액성 면역 반응
7. 과민반응
8. 자가 면역 질환
9. 이식 면역
10. 면역결핍증
본문내용
① 무감마글로불린혈증 - 체액면역 즉, 항체 결핍을 주로 하는 결핍증
⇒ 혈청 내 항체의 구성성분인 감마글로불린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항체의 반응을 이용하지 않음
② 디조지 증후군 - 세포성 면역결핍을 주로 하는 증후군
⇒ T 세포를 성숙시키는 가슴샘이 형성되지 못해 세포성 면역 결핍이 발생
③ 비스코트-알드리히 증후군 - 혈소판 감소와 습진을 동반한 면역결핍증
⇒ X염색체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성 혈액질병
후천성 면역결핍증 - 주로 혈액과 정액을 통해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가
전달되어 발생하는 질환
『발병기전』
HIV는 역전사효소를 이용 유전자 RNA를 숙주세포 내에 통합하는 대응 DNA로 전환시키는 RNA retro virus임
HIV에 감염 B-림프구의 면역글로불린(Ig)을 촉진시키는 보조 T-세포(helper T cell)가
HIV에 의해 파괴 면역반응을 못하게 됨(보조 T-세포의 세포막에는 CD4가 있어 HIV에 친화력을 갖기 때문)
『감염경로』
- 감염된 사람의 체액이 상처부위나 점막을 통해 전염됨
- 성교 시 감염이 많고, 마약투여자, 동성연애자, 수혈을 많이 받는 사람에게 혈관을 통해
감염될 수 있음
- 산모의 경우 태아에게도 전염이 됨
『임상증상』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특징적인 조기 증상 X, 감기와 비슷한 증세를 보이는 급성 감염기, 무증세 감염기, 발열, 오한, 설사, 심한 피로감 등 전신적 증세를 보이는 시기를 거쳐 피부 증세, 신경 증세, 악성종양 등 다양한 증세가 나타남
- 참고문헌
간호미생물학/현문사/김양호 외 공저
⇒ 혈청 내 항체의 구성성분인 감마글로불린이 거의 존재하지 않아
항체의 반응을 이용하지 않음
② 디조지 증후군 - 세포성 면역결핍을 주로 하는 증후군
⇒ T 세포를 성숙시키는 가슴샘이 형성되지 못해 세포성 면역 결핍이 발생
③ 비스코트-알드리히 증후군 - 혈소판 감소와 습진을 동반한 면역결핍증
⇒ X염색체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유전성 혈액질병
후천성 면역결핍증 - 주로 혈액과 정액을 통해 HIV(human immunodeficiency virus)가
전달되어 발생하는 질환
『발병기전』
HIV는 역전사효소를 이용 유전자 RNA를 숙주세포 내에 통합하는 대응 DNA로 전환시키는 RNA retro virus임
HIV에 감염 B-림프구의 면역글로불린(Ig)을 촉진시키는 보조 T-세포(helper T cell)가
HIV에 의해 파괴 면역반응을 못하게 됨(보조 T-세포의 세포막에는 CD4가 있어 HIV에 친화력을 갖기 때문)
『감염경로』
- 감염된 사람의 체액이 상처부위나 점막을 통해 전염됨
- 성교 시 감염이 많고, 마약투여자, 동성연애자, 수혈을 많이 받는 사람에게 혈관을 통해
감염될 수 있음
- 산모의 경우 태아에게도 전염이 됨
『임상증상』
모든 사람에게 나타나는 특징적인 조기 증상 X, 감기와 비슷한 증세를 보이는 급성 감염기, 무증세 감염기, 발열, 오한, 설사, 심한 피로감 등 전신적 증세를 보이는 시기를 거쳐 피부 증세, 신경 증세, 악성종양 등 다양한 증세가 나타남
- 참고문헌
간호미생물학/현문사/김양호 외 공저
키워드
추천자료
감염 미생물과 간호
[간호학] 미생물학 요약 및 문제 - 17. 감염질환의 방어와 면역(비특이적 숙주방어기전, 특이...
몸의 감염원의 경로와 각 경로에서 방어기전을 설명하고,병원감염의 정의와 부위별 병원감염(...
기초간호과학] 1 허혈의 발생기전 허혈이 있는 환자를 위한 간호중재 2 자가면역성 질환의 병...
기초간호과학] 1.아데노 바이러스 2.범발성 혈관내 응고증후군 DIC -기초간호과학 아데노바이...
기초간호과학] 1.그람염색의 정의, 대표적인 분류 4가지, 각 분류의 중요한 세균 2.이식 거부...
기초간호과학 2022] 1.그람염색 2.이식 거부반응 간호중재 3.산-염기 불균형 간호중재 -기초...
기초간호과학 2022] 1. 세균은 그람염색에 따라 나눌 수 있다. 그람염색의 정의, 대표적인 분...
기초간호과학
기초간호과학 2023] 1.급성염증과 만성염증 과정 비교 설명, 각 상황에 적합한 간호중재 2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