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llular Senescence SA-β-gal staining 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ellular Senescence SA-β-gal staining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Cellular Senescence SA-β-gal staining
Ⅰ. 서론
Ⅱ.재료 및 방법
Ⅲ.결과
Ⅳ. 논의
Ⅴ.참고 문헌

본문내용

비교하였다. 크게 두 가지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먼저,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염색된 영역의 넓이와 염색된 영역의 색깔이다. Proliferating cell의 경우 염색된 영역도 좁았으며 그 역시 드문드문하게 관찰되었고 색깔도 옅게 되어 염색이 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Senescent cell의 경우 염색된 영역이 Proliferating cell보다 자주 관찰되었으며 넓고 청록색의 빛이 짙었다. 다음으로 염색 뿐만 아니라 세포의 형태를 통해서도 Proliferating cell과 Senescent cell 각각 다르게 구분할 수 있었다. Senescent cell는 Proliferating cell보다 규칙적이지 못하였으며 팽팽하지 않고 다소 특정 부분 특히 염색된 부분이 부풀어 오른 모습이 관찰되었다. 또한 세포 속의 깨져 있는 핵이 관찰되었다.
실험에서 사용된 SA-β-gal은 노화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지표 중 하나이며 노화 세포를 검출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SA-β-gal을 통해서 노화 세포를 검출하는 데에 생각할 수 있는 원리는 pH 6에서는 노화 세포가 증가된 리소좀 활성 및 리소좀 pH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이다. β-gal은 pH 4-4.5에서 최적의 효소 활성을 갖는 리소좀 배당체 가수분해효소이다. 또한 pH 6에서 효소 촉매 활성을 유지하는 SA-β-gal로 불리는 노화 세포에서 고도로 발현되고 비정상적으로 축적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pH 6은 SA-β-gal 활성 검출에 적합한 조건이 된다. 이에 X-gal 염색을 거치게 된다면 pH 6에서 노화 세포와 조직에서 파란색 침전물을 생성하게 된다. 본 실험을 통해 Senescent cell에서 파란색 침전물이 넓고 빈번하게 펼쳐진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본 실험과 관련하여 만약 노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Proliferating cell을 어린 동물에게 계속해서 이식한다면 Proliferating cell는 세포 단위로서의 영생이 가능한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다. 하지만 결국 이식된 세포 역시 연속적으로 배양된 세포와 같이 노화되어 죽게 될 것이다. 정상적인 세포의 경우 대략 50번의 분열을 거친 후에 사멸하게 된다는 사실에서 기인한 추론이다. 이와 관련하여 참고 문헌에 따르면(김영곤, 2000) 이식된 Proliferating cell이 배양세포보다 더 오래 살아도 결국엔 사멸하게 되지만 이식된 Proliferating cell은 종의 수명보다 더 길 수 있다는 사실이 기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동물의 수명이란 노화가 가장 빠르고 가장 짧은 수명을 지닌 기관이나 조직의 세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또한 본 실험과 관련하여 노화 과정을 거치지 않은 Proliferating cell을 어린 동물에게 계속해서 이식한다면 이식 받은 숙주 동물은 노화를 거치지 않고 영원히 살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고, 이와 관련된 \"Heterochronic parabiosis for the study of the effects of aging on stem cells and their niches”논문을 참고하여 추론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노화와 함께 조혈모세포의 재생 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파라비오시스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젊은 쥐와 노령 쥐의 혈액순환을 연결하여 파라비오시스를 구성하였고, 이를 통해 노화된 조혈모세포의 재생 능력이 회복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논문을 통해 Proliferating cell를 이식하여 숙주 동물이 영원히 살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지는 못하였지만 Proliferating cell을 이식받은 숙주 동물의 재생 능력이 이 전보다 회복되어 수명 연장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Ⅴ.참고 문헌
·민경희 외 9인, 1999. 인간과 생명과학, 교학사, pp 227-229
·김영곤, 2000, 인간은 어떻게 늙어갈까(노화생물학), 아카데미서적, pp37-40
·나지훈, 2017, 노화세포 : 노화에 따른 질병에 대한 새로운 치료 접근, COSEN, p.2
·박정수, 2004, 세포노화, 세포자연사, 발암,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 pp1-2
·Casella G. et al, 2019, Cellular Senescence: Aging, Cancer, and Injury, Physiol Rev, 1047-1078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5.01
  • 저작시기202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1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