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학 - 각종 매체를 통해 투약오류로 인한 의료사고를 찾아보고 사고의 원인을 분석 A+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약리학 - 각종 매체를 통해 투약오류로 인한 의료사고를 찾아보고 사고의 원인을 분석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례
Ⅰ. 신생아 세균 감염, 수액 · 약물 오염사고로 사망
1) 시트로박터 프룬디균
2) 시트로박터균에 의한 감염
3) 사고원인 분석
Ⅱ. 15세 환자 약물 과다 숨지게 한 정신병원
1) 클로르프로마진
2) 클로르프로마진의 부작용
3) 클로르프로마진의 약물상호작용
4) 클로르프로마진의 주의사항
5) 사고원인 분석
Ⅲ. 백혈병 치료 중 항암제 투약오류로 9살 남아 사망
1) 정맥주사 빈크리스틴
2) 빈크리스틴 부작용
3) 척수강에 놓는 시타라빈
4) 사고원인 분석
5) 환자안전법

2. 나의 생각

본문내용

지만, 병원에서는 몇 차례의 면담을 한 부모에게도 설명을 제대로 해주지도 않았으며, 그리고 종현이가 척수주사를 맞고 다음날 너무 고통을 호소하니까 상부에 보고가 들어간 것 같다며 병원측에서 종현이의 척추검사를 한 번 더 해보고 싶다고 해서 허락했는데 몰래 세척을 한 것 같다는 것, 의사가 실수를 할 수는 있지만 그 이후 범죄행위가 벌어졌다는 것
“ 이미 종현이는 하늘나라로 갔지만 제2, 제3의 종현이가 나오지 않도록
환자 안전법을 만들겠습니다.”
환자안전법
- 의료사고가 일어나면 그 사실을 국가에 보고하고, 국가에서는 실수인지,
시스템오류인지 분석하여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재정비하여 다시
병원에 장착시켜 안전한 의료 환경을 만드는 법
나의 생각
투약에 관하여 중요한 부분인 것은 알고 있지만 이제 배우는 단계이기에, 투약오류라는 사례를 가지고 과제를 하기 위해 찾을수록 이러한 상황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일단 간호사는 청결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아직까지 기본적인 손 씻기도 잘되고 있는지 의문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첫 번째 사례에서는 오염이나 감염에 의한 투약오류이지만 여기서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곳에 아직도 균이 발생하고 싱크대에서 주사를 잴 수 있는지, 아니면 그 약물을 폐기하지 않고 다른 환자에게도 쓰이는지 알 수가 없는 상황에서 병원에 가서 마음 편히 주사를 맞는 것 또한 불안하고 혹시나 다른 약물을 나에게 투여하진 않았을까 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두 번째 사례에서는 의사의 처방도 없이 약물을 투여했다는 자체가 한 사람의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데 정확한 지식이라고 할지라도 처방 없이 약물을 투여했다는 것은 법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세 번째 사례에서는 약물을 주기 전 5rights(정확한 대상자, 정확한 약물, 정확한 시간, 정확한 용량, 정확한 경로) 투약 원칙을 꼭 확인해야 하며, 잘 모르는 경우 다른 간호사에게 물어 그 약물에 대해 정확히 이해하고 환자에게 가서 투약의 목적을 설명하면서 다시 한 번 더 대조하여 확인해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금 저도 간호사라는 꿈을 가지고 한 걸음씩 가고 있지만 제 자신에게도 실수라는 것이 있을지도 모르기에 정말 장난으로 배우지 않고 지금부터 열심히 실습시간에 감염이나 오염 이런 문제들도 매우 중요하고, 이론적으로도 많이 알아야 환자들에게 설명을 할 수 있고 실수와 투약오류라는 것도 줄어갈 것 같습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01
  • 저작시기2019.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1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