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3개 과정 2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3개 과정 2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본문내용

화장을 전혀 해본적도 없는데.. 화장한다고 예뻐질까? 라고 대답하는 것을 관찰함
다른 환자분과 대화할 시 의사표현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관찰함
간호진단
반복적 부정적 강화와 관련된 자긍심저하
단기목표
대상자는 2주이 내에 자신에 대해 장점을 말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전 까지 자신의 긍정적인 면, 미래에 대한 전망을 이야기함으로써 자기 가치감이 증진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대상자와 함께 시간을 보낸다.
수용한다는 것을 전달하고 자기 가치감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대상자와 같은 공간에 머물러 대상자의 말을 들어줌으로써 대상자의 가치를 올려주었다.
대상자가 자신에 대해 변화하기를 원하는 영역을 확인하도록 하고, 이러한 변화를 위해 문제해결을 할 때 돕는다.
자기 가치감이 저하된 경우 대상자는 자신의 문제해결 능력에 대해 왜곡되게 지각할 수 있다.
대상자에게 가장 관심있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하여 외모에 대해 관심이 많다라는 대답을 들었다. 화장을 전혀 해본적이 없다하여 타환우들의 화장품을 가지고 환자분에게 화장법을 알려주었으며, 스킨 및 로션을 전혀 바르지 않는다 하여 먼저 기초 화장품부터 살 것을 권장하였다.
집단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격려하고 참여시 대상자와 함께 있어준다
신뢰할 수 있는 대상의 존재는 대상자에게 정서적 안정감을 제공한다.
집단 활동참여가 부족하여 집단 활동참여에 적극 참여하기를 권장하였으며, 대상자가 집단 활동치료 참여시 항상 옆에 있어주면서 대상자가 할 수 있을때까지 격려 및 칭찬 해주었다.
대상자에게 자신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 대해 기록해 보도록 한다. 기록된 각 항목에 대해 대상자와 함께 이야기를 한다. 부정적인 것으로 간주된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할 때 도와 성공적인 변화에 대하여 긍정적인 피드백을 제공한다.
문제해결 능력이 없고, 바람직한 변화를 수행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긍정적인 피드백은 자긍심을 증가시키고 바람직한 행동을 반복하도록 한다.
대상자에게 자신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공책에 적어 기록하게 하였다. 단점보다는 장점을 최대한 많이 적게 하였으며, 단점 중 뚱뚱하다, 능력이 없다, 멍청하다 등이 있었다. 환자가 제일 예민하게 생각하는 것이 체중과 관련된 것이었는데 대상자에게 병동 내 운동기구로 운동할 것을 권유 하였으며, 운동 후 간식으로 컵라면 대신 두유를 먹으라고 하였고, 식이조절 할 것을 권장 하였다.
대상자에게 자기주장 기법을 교육한다.
대상자의 저하된 자긍심을 강화 시키고, 만족스런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증진시킨다.
병실을 같이 쓰는 환자분이 시키는 대로 행동하는 모습을 관찰하여, 대상자에게 의사표현을 확실하게 하라고 교육하였다.
평가
-화장품이 전혀 없던 환자분이 옆 환자분의 화장품을 이용해 입술, 매니큐어 한 것을 볼 수 있었다.
-집단활동치료를 스스로 참여 하는모습을 관찰되었으며, 대상자가 활동치료를 통해 잘 할 수 있는 것, 좋아하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스스로 운동하는 것을 볼 수는 있었지만, 간식으로 컵라면, 탄산음료 등을 먹은 후 뚱뚱하다는 소리를 여전히 하였다.
# 3. 자기중심적 행동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사정
간호진단
자기중심적 행동과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단기목표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환우들과 만족스러운 관계 (조종이나 강압적인 행동을 나타내지 않음)를 수립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타인과 적절하게 상호작용 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대상자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전달하며 신뢰감을 발달시킨다
수용적 태도는 자기 가치감을 증진 시킨다. 신뢰는 치료적 관계의 토대이다
대상자의 대답에 공감적인 대화를 하였음
대상자가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는 동안 함께 있어준다
신뢰하는 사람이 옆에 있어 주는 것은 대상자에게 안정감을 준다.
대상자가 활동요법 참여 시에 옆에서 동반하여 대화에 참가함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조종적이거나 강압적일 때 대상자를 이에 직면시키고 행동에 대한 규제를 정하고 따르도록 한다.
대상자의 행동은 강력한 본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수용할 수 없는 행동을 할 때 즉각적인 피드백을 주어야 하며, 일관성 있는 규제를 가함으로서 대상자가 제한 설정을 시험해보도록 자극시킬 수 있다.
대상자가 김XX님에 대해 조종적이거나 강압적으로 행동을 할 시 상대방에게 상대방의사를 한번 물어보고 시행할 것을 교육 하였다.
치료자는 대상자, 타 대상자, 직원과 적절한 상호작용의 모습을 보여준다
적절한 상호작용을 함으로서 대상자에게 역할모델이 될 수 있다.
대상자에게 대상자가 보는 앞에서 김XX님에게 XX님 옷이 많이 더러운데 다른옷으로 갈아 입혀 드릴까요? . XX님 머리가 많이 헝클어져있는데 빗겨드릴까요? 라고 먼저 상대방에게 상대방의 의사를 물어 XX님이 수용할 때 실천하였다.
평가
-집단활동치료를 스스로 참여 하는모습을 관찰되었으며, 대상자가 활동치료를 통해 잘 할 수 있는 것, 좋아하는 것을 찾을 수 있었다.
도복늠 외(2016).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각론. 정담미디어
세브란스 정신의학과-질환정보:
http://sev.iseverance.com/dept_clinic/department/psychiatry/disease/view.asp?con_no=20267)
서울 아산병원 건강정보-질환백과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학위논문(석사)-연세 대학교 대학원 : 의학과 2013. 8
http://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p_mat_type=be54d9b8bc7cdb09&control_no=7e364b3e7137e2eaffe0bdc3ef48d419#redirect
약물정보: 드러그인포
최명희 (2016). 정신간호학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퍼시픽북스
최명희 (2016). 성인간호학 Adult Health Nursing 퍼시픽북스.

키워드

간호,   실습,   학점,   case,   정신과,   .정신분열증,   스키조,   폐쇄,   SPR
  • 가격2,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23.05.03
  • 저작시기2022.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53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