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 ․ ․ ․ ․ ․ ․ ․ ․ ․ ․ ․ ․ ․ ․ ․ ․ ․(p.3 ~)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본 론․ ․ ․ ․ ․ ․ ․ ․ ․ ․ ․ ․ ․ ․ ․ ․ ․ ․ (p.4~)
A. 문헌고찰 (p.4~)
B. 간호사정 (p.15~)
C. 간호과정 (p.21~)
Ⅳ. 결론&실습소감문․ ․ ․ ․ ․ ․ ․ ․ ․ ․ ․ (p.23)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본 론․ ․ ․ ․ ․ ․ ․ ․ ․ ․ ․ ․ ․ ․ ․ ․ ․ ․ (p.4~)
A. 문헌고찰 (p.4~)
B. 간호사정 (p.15~)
C. 간호과정 (p.21~)
Ⅳ. 결론&실습소감문․ ․ ․ ․ ․ ․ ․ ․ ․ ․ ․ (p.23)
본문내용
간: 10시
일어나는 시간: 6시
잠이 드는 시간: 3~4시 정도
⇒ 어제보다는 푹 잤다고 말씀하심.
② 낮잠을 줄이시라 이야기를 하고 낮잠을 주무실 때 설명 드리며 깨워 함께 이야기 를 하였다.
③ 병원 운동 시간(아침, 점심, 저녁 먹기 전)에 음악 끝나기 전까지 함께 복도를 걸 었다.
- 이완요법 시간에 함께 이완요법을 하였다.
④ 밤 사이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간호평가
① 2023.1.5(수) - 자리에 눕는 시간: 10시
일어나는 시간: 6시
잠이 드는 시간: 8시간
⇒ 중간에 화장실 때문에 1~2번 깨긴 하지만, 갔다 와서 자리에 누우면 잠이 금방 들고 아침에 일어나서 개운한 느낌을 받는다고 말씀하셨다.
② 낮잠은 잘 자지 않으려 한다고 말씀하셨다. (2023.1.5)
③ 가끔 귀찮다고 하실 때도 있었지만 다시 설명 드리면 수긍하시고 나와서 운동을 하셨다. (2023.1.4)
④ 밤 사이 어두운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2022.12.29)
#2.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간호사정
S : “퇴원 후에 사회생활 하는 것은 아직 자신감이 없어요”
“제가 남들보다 느리거든요. 일하는 것도 느리고.. 집중력도 없고..”
“전 잘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
O: - 아직 사회생활 하는 것은 자신이 없다고 말씀하실 때 고개를 숙이고 눈을 회 피하는 모습이 관찰됨.
- 퇴원 후 구체적인 사회생활 없이 약 먹고 쉴 거라고 말씀하심.
간호진단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간호계획
간호 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 일주일 이내로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한다.
- 2주일 내로 긍정적으로 자신을 표현함 으로써 자존감을 높인다.
구체적 간호지시
관련 근거
① 환자와 지속적으로 대화함으로써 자존감 저하의 원인을 사정한다.
②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 ‘나는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한 다음 일을 수행하기로 한다.
③ 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기 위해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참여를 유도한다.
- 환자와 대화함으로서 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 자기 암시를 함으로서 일을 하기 앞서 자신감을 증가 시킬 수 있다.
-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서 많은 경험을 해볼 수 있다.
간호수행
① 환자와 지속적으로 대화함으로서 자존감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②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 ‘나는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한 후 일을 실천할 것을 권장하였다. (2022.12.31)
③ 윷놀이, 미술치료, 이완요법(운동), 송연회 게임 등의 병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유도하였다.
간호평가
① 면담 시 아직까지는 사회에 나가면 자신이 없고, 위축된다고 말씀하셨다.
(2022.12.31)
② 처음에는 자기 암시가 어색하고 쑥스러웠지만 하다 보니 익숙해지고 자신감도 생기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③ 병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관찰 되었지만, 프로그램 속에서는 자기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면담도중 안마를 잘하시는 것을 발견하였고 집안일도 잘하신다 하시길래 그것으로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2023.1.4)
『 Ⅳ. 결론&실습소감문 』
사실 정신과 실습을 대동병원에서 1주간 해보았기에 처음 할 때처럼 긴장감과 두려움은 없었다. 하지만 대동병원에서 내가 실습한 층보다 더 증상이 심한 환자들이 많아 환자들의 다양한 양상을 접해보았던 것 같다. 첫날에는 눈 마주침도 없었던 분들이 점차 익숙해 짐에 따라 점차 먼저 인사도 해주시며 반겨 주셨다. 또한 약간은 수줍어 하면서도 그동안 사람을 많이 그리워하고 있었으며 자신이 갖고 있는 질병에 대해 거부하고 싶은 심정을 읽을 수 있었다.
더불어 뇌의 여러 가지 이유로 시작된 질병이기에 그들을 다루는 간호사 선생님들의 섬세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00%의 완치보다는 사회에 적응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며 자신을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치유된다면 나머지 인생이 행복하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혼자 스스로 이겨내기 보다는 가족들과 주변 친한 사람들의 도움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든다. 가정에서 감당하기 힘들어 하는 부분을 사회적으로도 수용할 수 있는 상담 시스템이 구체적으로 정부에서 세워줬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들이 평범한 사람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이에서 돌봐줄 수 있는 홈시스템이 있었으면 한다. 예를 들어 보건소에서 가정방문하여 그들을 도와 주듯이 정신병원내에서 가정방문을 하여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이나 기타 체계적이면서도 열린 상담방이 있었으면 한다.
또한 환자분들이 병원 생활을 하실 때 학생 간호사들이 환자분들의 예후에 영향을 많이 끼친다는 것을 몸소 느끼게 되었다. 음성증상이 있는 분들도 나와서 함께 탁구도 치고 오목도 두며, 위축되어 눈도 마주치지 않으시던 분들이 일주일 정도 계속 자극을 주니 먼저 인사하시는 분, 이야기에 반응하시는 분도 계시고 환하게 웃으실 때는 가슴이 뭉클하였다. 그걸 보면서 그들의 방어적인 태도에 미리 겁을 먹을 필요는 없으며 우리와 똑같은 인간으로 단지 조금 더 예민할 뿐이지만 충분히 대화로 기타 치료적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충분히 치유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실습을 2주 정도 하면서 마지막 날에는 환자들과 정들어서 헤어지기 너무 아쉬웠는데, 이번 정신과 실습은 유독 더 애착이 가는 것 같다.
시간과 기회가 된다면 봉사활동의 개념으로라도 가끔씩 병동에 찾아뵈며 지속적으로 환자분들과 많은 교감을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곳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지만 정신과 병동만큼 환자들에게 학생간호사들이 필요한 곳은 없는 것 같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자료 조사에 성의껏 답변해 주신 이OO환자분과 바쁘신 와중에도 많은 도움을 주신 병동 간호사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
<<참고문헌>>
- 정신간호학 下 이경순 외. 현문사 2007
- 성미혜 외(2022). 간호과정. 수문사
- 전시자 외. 2022년. 간호과정. 서울. 현문사
- 인터넷 :약품요약정보 http://www.druginfo.co.kr/
네이버 http://www.naver.com
일어나는 시간: 6시
잠이 드는 시간: 3~4시 정도
⇒ 어제보다는 푹 잤다고 말씀하심.
② 낮잠을 줄이시라 이야기를 하고 낮잠을 주무실 때 설명 드리며 깨워 함께 이야기 를 하였다.
③ 병원 운동 시간(아침, 점심, 저녁 먹기 전)에 음악 끝나기 전까지 함께 복도를 걸 었다.
- 이완요법 시간에 함께 이완요법을 하였다.
④ 밤 사이 편안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간호평가
① 2023.1.5(수) - 자리에 눕는 시간: 10시
일어나는 시간: 6시
잠이 드는 시간: 8시간
⇒ 중간에 화장실 때문에 1~2번 깨긴 하지만, 갔다 와서 자리에 누우면 잠이 금방 들고 아침에 일어나서 개운한 느낌을 받는다고 말씀하셨다.
② 낮잠은 잘 자지 않으려 한다고 말씀하셨다. (2023.1.5)
③ 가끔 귀찮다고 하실 때도 있었지만 다시 설명 드리면 수긍하시고 나와서 운동을 하셨다. (2023.1.4)
④ 밤 사이 어두운 환경이 유지되도록 하였으며 조용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2022.12.29)
#2.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간호사정
S : “퇴원 후에 사회생활 하는 것은 아직 자신감이 없어요”
“제가 남들보다 느리거든요. 일하는 것도 느리고.. 집중력도 없고..”
“전 잘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어요”
O: - 아직 사회생활 하는 것은 자신이 없다고 말씀하실 때 고개를 숙이고 눈을 회 피하는 모습이 관찰됨.
- 퇴원 후 구체적인 사회생활 없이 약 먹고 쉴 거라고 말씀하심.
간호진단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관련된 자존감 저하
간호계획
간호 목표
단기목표
장기목표
- 일주일 이내로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한다.
- 2주일 내로 긍정적으로 자신을 표현함 으로써 자존감을 높인다.
구체적 간호지시
관련 근거
① 환자와 지속적으로 대화함으로써 자존감 저하의 원인을 사정한다.
②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 ‘나는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한 다음 일을 수행하기로 한다.
③ 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기 위해 여러 가지 프로그램에 참여를 유도한다.
- 환자와 대화함으로서 환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 자기 암시를 함으로서 일을 하기 앞서 자신감을 증가 시킬 수 있다.
-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서 많은 경험을 해볼 수 있다.
간호수행
① 환자와 지속적으로 대화함으로서 자존감 저하의 원인을 파악하였다.
② 어떤 일을 시작하기 전 ‘나는 할 수 있다’라고 생각한 후 일을 실천할 것을 권장하였다. (2022.12.31)
③ 윷놀이, 미술치료, 이완요법(운동), 송연회 게임 등의 병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유도하였다.
간호평가
① 면담 시 아직까지는 사회에 나가면 자신이 없고, 위축된다고 말씀하셨다.
(2022.12.31)
② 처음에는 자기 암시가 어색하고 쑥스러웠지만 하다 보니 익숙해지고 자신감도 생기는 것 같다고 말씀하셨다.
③ 병원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관찰 되었지만, 프로그램 속에서는 자기 자신이 잘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면담도중 안마를 잘하시는 것을 발견하였고 집안일도 잘하신다 하시길래 그것으로 용기를 북돋아 주었다. (2023.1.4)
『 Ⅳ. 결론&실습소감문 』
사실 정신과 실습을 대동병원에서 1주간 해보았기에 처음 할 때처럼 긴장감과 두려움은 없었다. 하지만 대동병원에서 내가 실습한 층보다 더 증상이 심한 환자들이 많아 환자들의 다양한 양상을 접해보았던 것 같다. 첫날에는 눈 마주침도 없었던 분들이 점차 익숙해 짐에 따라 점차 먼저 인사도 해주시며 반겨 주셨다. 또한 약간은 수줍어 하면서도 그동안 사람을 많이 그리워하고 있었으며 자신이 갖고 있는 질병에 대해 거부하고 싶은 심정을 읽을 수 있었다.
더불어 뇌의 여러 가지 이유로 시작된 질병이기에 그들을 다루는 간호사 선생님들의 섬세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100%의 완치보다는 사회에 적응하고 사람들과 어울리며 자신을 관리할 수 있을 정도로 치유된다면 나머지 인생이 행복하게 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리고 혼자 스스로 이겨내기 보다는 가족들과 주변 친한 사람들의 도움과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든다. 가정에서 감당하기 힘들어 하는 부분을 사회적으로도 수용할 수 있는 상담 시스템이 구체적으로 정부에서 세워줬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들이 평범한 사람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가장 가까이에서 돌봐줄 수 있는 홈시스템이 있었으면 한다. 예를 들어 보건소에서 가정방문하여 그들을 도와 주듯이 정신병원내에서 가정방문을 하여 도울 수 있는 시스템이나 기타 체계적이면서도 열린 상담방이 있었으면 한다.
또한 환자분들이 병원 생활을 하실 때 학생 간호사들이 환자분들의 예후에 영향을 많이 끼친다는 것을 몸소 느끼게 되었다. 음성증상이 있는 분들도 나와서 함께 탁구도 치고 오목도 두며, 위축되어 눈도 마주치지 않으시던 분들이 일주일 정도 계속 자극을 주니 먼저 인사하시는 분, 이야기에 반응하시는 분도 계시고 환하게 웃으실 때는 가슴이 뭉클하였다. 그걸 보면서 그들의 방어적인 태도에 미리 겁을 먹을 필요는 없으며 우리와 똑같은 인간으로 단지 조금 더 예민할 뿐이지만 충분히 대화로 기타 치료적 프로그램과 병행하여 충분히 치유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항상 실습을 2주 정도 하면서 마지막 날에는 환자들과 정들어서 헤어지기 너무 아쉬웠는데, 이번 정신과 실습은 유독 더 애착이 가는 것 같다.
시간과 기회가 된다면 봉사활동의 개념으로라도 가끔씩 병동에 찾아뵈며 지속적으로 환자분들과 많은 교감을 나누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곳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지만 정신과 병동만큼 환자들에게 학생간호사들이 필요한 곳은 없는 것 같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자료 조사에 성의껏 답변해 주신 이OO환자분과 바쁘신 와중에도 많은 도움을 주신 병동 간호사 선생님들께 감사드린다.
<<참고문헌>>
- 정신간호학 下 이경순 외. 현문사 2007
- 성미혜 외(2022). 간호과정. 수문사
- 전시자 외. 2022년. 간호과정. 서울. 현문사
- 인터넷 :약품요약정보 http://www.druginfo.co.kr/
네이버 http://www.naver.com
추천자료
정신간호실습 Paranoid Schizophrenia (망상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조현병) 케이스스터디(ca...
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3개 과정 2개
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2개 과정 2개
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2개 과정 2개
A+받은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3개 과정2개
A+받은조현병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2개 과정2개
A+받은 조현병 케이스 스터디입니다. 진단2개 과정2개
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3개 과정 2개
A+받은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2개 과정 2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