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피난안전구역 개념 및 특징
2) 대피공간 개념 및 특징
3) 피난안전구역과 대피공간 차이점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피난안전구역 개념 및 특징
2) 대피공간 개념 및 특징
3) 피난안전구역과 대피공간 차이점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개방될 수 있어야 한다. 즉 피난안전구역과 대피공간의 차이점은 그 설치대상에 있다. 피난안전구역은 초고층, 중고층,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이 그 대상이지만, 대피공간은 아파트, 요양원, 산후조리원과 같이 비교적 공동주택이나 주거공간에 설치하는 특징이 있다.
3. 결론
대피안전구역은 고층·고층 건물(하늘 건물) 등 건물에서 화재·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건물 내 근로자·주민·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지역을 말한다. 1층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없을 때 임시로 대피하는 곳이기도 하며, 피난층이라고도 한다. 또한, \"대피 안전 구역\"은 대피와 안전을 위해 건물 중층에 설치된 \"대피 공간\"이다. 즉, \"대피 안전지대\"는 \"대피 공간\"의 범주에 존재한다. 최근 코로나 19 감염 확산으로 감염에 대한 경각심은 높아졌지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항상 화재를 인지하고 비상구를 최대한 빨리 찾거나, 대피가 여의치 않을 경우 피난안전구역의 위치를 파악해 신속히 대피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참고문헌]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 국토교통부(건축정책과), 044-201-3763
국토교통부(건축안전과-피난방화, 구조), 044-201-4992, 4991
최재필, 강범준, 박영섭, & 이윤재. (2005). 초고층 건축물의\'대피층\'및\'대피공간\'개념 도입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11), 147-154.
이진경, & 김찬주. (2019). 도시재난 대응 도시 피난안전구역에 관한 연구 고찰.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9(1), 230-231.
3. 결론
대피안전구역은 고층·고층 건물(하늘 건물) 등 건물에서 화재·지진 등의 재난이 발생했을 때 건물 내 근로자·주민·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지역을 말한다. 1층을 통해 밖으로 나갈 수 없을 때 임시로 대피하는 곳이기도 하며, 피난층이라고도 한다. 또한, \"대피 안전 구역\"은 대피와 안전을 위해 건물 중층에 설치된 \"대피 공간\"이다. 즉, \"대피 안전지대\"는 \"대피 공간\"의 범주에 존재한다. 최근 코로나 19 감염 확산으로 감염에 대한 경각심은 높아졌지만 안전에 대한 경각심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항상 화재를 인지하고 비상구를 최대한 빨리 찾거나, 대피가 여의치 않을 경우 피난안전구역의 위치를 파악해 신속히 대피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참고문헌]
발코니 등의 구조변경절차 및 설치기준, 국토교통부(건축정책과), 044-201-3763
국토교통부(건축안전과-피난방화, 구조), 044-201-4992, 4991
최재필, 강범준, 박영섭, & 이윤재. (2005). 초고층 건축물의\'대피층\'및\'대피공간\'개념 도입 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1(11), 147-154.
이진경, & 김찬주. (2019). 도시재난 대응 도시 피난안전구역에 관한 연구 고찰.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39(1), 230-23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