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협동학습 모형
2) 사례
3.
결론
서론
2.
본론
1) 협동학습 모형
2) 사례
3.
결론
본문내용
을 나누어서 수행하는 것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등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마지막의 사례는 사례 중에서 가장 최근에 있었던 일이다. 대학생 시절에 조별로 과제를 해야 하는 일이 있었다. 아무래도 대학생도 역시 배우는 과정이기도 하고 본인과 관련이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으나 반대로 그렇지 않은 분야에 있어서는 누구나 잘 모르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같은 조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과라서 그런지 전문적으로 알고 있는 분야도 달랐고 관심이 있는 것도 역시 달랐다. 그래서 그런지 혼자서 과제를 수행하는 것보다 검색해야 하는 일이 적었고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지식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물론 처음에는 서로 다른 성향과 다른 과의 사람들 그리고 역할이 상이한 상황에서 과연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그것을 수행하고 결과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지 등에서 의문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확실한 것은 시간이나 힘듦의 정도가 혼자서 하는 것보다 훨씬 줄어들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나중에 본인에게 혼자서 일을 할 것인지 반대로 다른 사람들과 협동해서 일을 할 것인지 등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본인은 당연히 후자를 선택할 것이다.
3. 결론
하지만 현재의 교육을 보면 학생들에게 있어서 개인주의적이며 경쟁적 사고방식 등을 조장해서 청소년 시기에 학생들에게 협동적인 능력과 동시에 다른 학생들과의 사회적 관게를 결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개인주의적이며 경쟁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은 서로의 역할을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문제를 보았을 때 우리는 앞으로 교육에서는 개인주의적이며 지나친 경쟁의식을 보이는 교육보다는 오히려 적극적인 참여, 서로 사이에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교육의 형태인 협동학습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본다.
사실 본인은 지금의 사회에서 청소년 시기를 보내는 아이들을 보면서 안타깝다는 생각을 한 적이 많다. 자신의 주변 친구들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계속해서 라이벌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경쟁하면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협동과는 반대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참고문헌]
-상생, 놀이, 학습하는 마을공동체/현순안/한국청소년활동학회/2018
-청소년기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학습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홍예라/단국대학교/2015
마지막의 사례는 사례 중에서 가장 최근에 있었던 일이다. 대학생 시절에 조별로 과제를 해야 하는 일이 있었다. 아무래도 대학생도 역시 배우는 과정이기도 하고 본인과 관련이 있는 분야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알고 있으나 반대로 그렇지 않은 분야에 있어서는 누구나 잘 모르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같은 조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과라서 그런지 전문적으로 알고 있는 분야도 달랐고 관심이 있는 것도 역시 달랐다. 그래서 그런지 혼자서 과제를 수행하는 것보다 검색해야 하는 일이 적었고 동시에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지식을 넓힐 수 있는 기회가 되었던 것도 사실이다.
물론 처음에는 서로 다른 성향과 다른 과의 사람들 그리고 역할이 상이한 상황에서 과연 하나의 목표를 가지고 그것을 수행하고 결과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지 등에서 의문을 가졌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확실한 것은 시간이나 힘듦의 정도가 혼자서 하는 것보다 훨씬 줄어들 수 있다고 말하고 싶다. 그리고 나중에 본인에게 혼자서 일을 할 것인지 반대로 다른 사람들과 협동해서 일을 할 것인지 등을 선택하라고 한다면 본인은 당연히 후자를 선택할 것이다.
3. 결론
하지만 현재의 교육을 보면 학생들에게 있어서 개인주의적이며 경쟁적 사고방식 등을 조장해서 청소년 시기에 학생들에게 협동적인 능력과 동시에 다른 학생들과의 사회적 관게를 결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개인주의적이며 경쟁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은 서로의 역할을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는 것에 있어서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러한 문제를 보았을 때 우리는 앞으로 교육에서는 개인주의적이며 지나친 경쟁의식을 보이는 교육보다는 오히려 적극적인 참여, 서로 사이에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는 교육의 형태인 협동학습을 적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본다.
사실 본인은 지금의 사회에서 청소년 시기를 보내는 아이들을 보면서 안타깝다는 생각을 한 적이 많다. 자신의 주변 친구들과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계속해서 라이벌의 관계를 기초로 하여 경쟁하면서 시간을 보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협동과는 반대의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참고문헌]
-상생, 놀이, 학습하는 마을공동체/현순안/한국청소년활동학회/2018
-청소년기 사회성 향상을 위한 협동학습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홍예라/단국대학교/2015
추천자료
최근 청소년과 관련한 사례(학생의 집단따돌림) 해결방안 제시 & 현대사회의 기본적 특성...
[청소년지도방법론 3A형] 청소년교육시설을 방문하여 리더십계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 후 이...
[청소년 문화과제]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또는 관심 갖는 청소년문화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고...
3주차 1교시에 학습한 지역사회복지이론을 택1하여 주요개념 및 한계를 논하고 현재 지역사회...
[지역사회복지이론을 택1하여 주요개념 및 한계를 논하고 현재 지역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적...
지역사회복지이론 중 택1하여 주요개념 및 한계를 논하고 현재 지역사회복지실천 현장에서 적...
4주차에 학습한 인사선발방법(심리평가방법, 질적 선발체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주요개...
4주차에 학습한 지역사회복지이론 중 택1하여 주요개념 및 한계를 논하고 현재 지역사회복지...
아동발달_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3주차 2교시)과 동물행동학적 이론(4주차 2교시)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