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에릭슨 이론의 특성 - ego의 발달과 기능에 관심을 둔다.
2) 전 생애 발달단계
(2) 동물행동학적 이론
1) 로렌츠의 각인이론
2) 보울비 애착법칙
3) 할로우 연구
(3) 애착의 관점에서 두 이론이 아동보육현장 및 보육현장의 부모 상담에 적용되는 사례 (본인의 경험, 본인의 생각)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1) 에릭슨 이론의 특성 - ego의 발달과 기능에 관심을 둔다.
2) 전 생애 발달단계
(2) 동물행동학적 이론
1) 로렌츠의 각인이론
2) 보울비 애착법칙
3) 할로우 연구
(3) 애착의 관점에서 두 이론이 아동보육현장 및 보육현장의 부모 상담에 적용되는 사례 (본인의 경험, 본인의 생각)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니와 강한 정서적 유대를 맺게 된다. 이것을 애착 관계라 하고, 아기의 애착 행동으로 미소 짓기나 옹알이하기, 잡기, 매달리기, 울기 등으로 선천적인 사회적 신호를 보낸다. 유아의 애착 발달은 어머니 또는 양육자와 장기간에 걸친 유대관계를 형성한다.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하였으며, 애착이 배고픔과 같은 일차적 욕구 충족과 관계없이 발달한다.
3) 할로우 연구
원숭이 실험으로 원숭이 새끼들은 엄마와 격리되어 철사 엄마와 헝겊 엄마의 두 대리모에 의해 양육된다. 철사 엄마나 헝겊 엄마는 우유병을 부착해서 반은 철사 엄마에게, 반은 헝겊 엄마에게 우유를 먹게 했다. 이때 새끼들은 두 엄마와 상관없이 모두 헝겊 엄마를 더 좋아했다. 그리고 젖 먹는 시간에만 철사 엄마에게 가고 그 외 시간은 헝겊 엄마와 함께했다. 또 낯선 물체가 나타나면 두려워하는 반응을 보이고 모두 헝겊 엄마에게 달려가 매달렸다. 또 배고픔을 덜어 준 것이 철사 엄마였지만, 연구 결과는 수유가 애착 형성에 결정적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 영아의 애착 발달은 새끼 새의 각인 형성과 달리 양육자와의 장기간의 과정을 통하여 깊은 애정 관계를 형성한다.
(3) 애착의 관점에서 두 이론이 아동보육현장 및 보육현장의 부모 상담에 적용 되는 사례 (본인의 경험, 본인의 생각)
로렌츠의 각인이론에서 애착은 보통 아동보육현장 3월이 되면 볼 수 가있다. 아동들이 새로 입학하여 적응하는 시기에 자신의 담임선생님을 각인하고 생활을 하면 분리불안이 있는 아동의 경우는 자신의 담임선생님만 졸졸 따라다니다. 예전 조카도 첫 입학을 하고 부모와 떨어질 때 눈물도 많이 흘리고 하였지만, 부모가 돌아가고 기관에 남으면 자신의 담임만 보게 된다. 그래서 선생님 뒤만 따라다니고 애착의 모습을 볼 수 있다.
3. 결론
인간 발달 과정에서 인간은 역사적이나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주고 받아왔다. 그래서 인간은 환경에 반응하는 것 말고도 상호작용하며 변화도 한다. 또 전쟁이나 컴퓨터의 발명처럼 과학기술의 발전과 여성해방운동과 같이 사회운동의 전개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이 발달함에 따라 어떤 애착 형성을 이뤄졌는가에 보면 인간성을 다시 한번 더 살펴볼 수 가 있다.
4. 참고문헌
1. 윤영애 외, 아동발달, 태영출판사, 2011.
2.문혁준 외, 아동학개론, 창지사, 2011.
3. 장기덕 외, 교육심리학, 수양재, 2016.
3) 할로우 연구
원숭이 실험으로 원숭이 새끼들은 엄마와 격리되어 철사 엄마와 헝겊 엄마의 두 대리모에 의해 양육된다. 철사 엄마나 헝겊 엄마는 우유병을 부착해서 반은 철사 엄마에게, 반은 헝겊 엄마에게 우유를 먹게 했다. 이때 새끼들은 두 엄마와 상관없이 모두 헝겊 엄마를 더 좋아했다. 그리고 젖 먹는 시간에만 철사 엄마에게 가고 그 외 시간은 헝겊 엄마와 함께했다. 또 낯선 물체가 나타나면 두려워하는 반응을 보이고 모두 헝겊 엄마에게 달려가 매달렸다. 또 배고픔을 덜어 준 것이 철사 엄마였지만, 연구 결과는 수유가 애착 형성에 결정적 요인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또 영아의 애착 발달은 새끼 새의 각인 형성과 달리 양육자와의 장기간의 과정을 통하여 깊은 애정 관계를 형성한다.
(3) 애착의 관점에서 두 이론이 아동보육현장 및 보육현장의 부모 상담에 적용 되는 사례 (본인의 경험, 본인의 생각)
로렌츠의 각인이론에서 애착은 보통 아동보육현장 3월이 되면 볼 수 가있다. 아동들이 새로 입학하여 적응하는 시기에 자신의 담임선생님을 각인하고 생활을 하면 분리불안이 있는 아동의 경우는 자신의 담임선생님만 졸졸 따라다니다. 예전 조카도 첫 입학을 하고 부모와 떨어질 때 눈물도 많이 흘리고 하였지만, 부모가 돌아가고 기관에 남으면 자신의 담임만 보게 된다. 그래서 선생님 뒤만 따라다니고 애착의 모습을 볼 수 있다.
3. 결론
인간 발달 과정에서 인간은 역사적이나 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주고 받아왔다. 그래서 인간은 환경에 반응하는 것 말고도 상호작용하며 변화도 한다. 또 전쟁이나 컴퓨터의 발명처럼 과학기술의 발전과 여성해방운동과 같이 사회운동의 전개는 사회적 변화에 따라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인간이 발달함에 따라 어떤 애착 형성을 이뤄졌는가에 보면 인간성을 다시 한번 더 살펴볼 수 가 있다.
4. 참고문헌
1. 윤영애 외, 아동발달, 태영출판사, 2011.
2.문혁준 외, 아동학개론, 창지사, 2011.
3. 장기덕 외, 교육심리학, 수양재, 2016.
추천자료
유아발달이론
애착발달이론 (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 동물행동학적이론) 각각에 대해 설명...
애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 학습이론, 인지발달이론, 동물행동학적이론) 각각에 대해 설명...
에릭슨(Erikson)의 사회심리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사회심리적 발달이론의 특징, 발달단계, ...
유아발달의 이론들의 이해와 고찰 - 정신분석이론(프로이트,에릭슨), 학습이론(파블로프,왓슨...
애착이론 (attachment theory) [교육심리학] {애착의 정의, 프로이트의 견해, 학습이론에서의...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동물행동학적 이론 - 각인이론(각인, 결정적 시기), 보울비...
[아동발달이론] 아동발달의 정신분석이론(심리성적이론 심리사회적이론) 인지발달이론 사회문...
유아발달 ) 1. 로렌츠(Lorenz)의 각인이론과 보울비(Bowlby)의 애착이론에 해당하는 사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