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 요로감염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UTI 요로감염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대상자 질환 고찰(Urinary tract infection)
2. 간호과정

본문내용

인 상태를 사정한다.
5. 주 2회(월요일, 금요일) 오전 10시에 Braden scale을 사용하여 욕창 위험도를 평가한다.
- 평가함으로써 대상자의 욕창 발생위험을 높이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뼈 돌출 부위를 베개로 지지한다.
2. 엉덩이에 바람 통하게 한다.
3. 뼈 돌출 부위에 패드를 대어준다.(발꿈치, 천골, 팔꿈치, 뒷머리, 견갑골 등)
4. 6시간 마다 back massage를 시행한다.
- 마사지는 피부와 조직에 대한 순환을 자극하여 피부 통합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5.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한다.
- 피부가 습기가 많고 깨끗하기 않다면 피부통합성 장애가 생기기 쉽다.
6.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한다.
- 잦은 체위 변경은 한 부위에 지속되는 압력을 제거하여 욕창을 예방해준다.
교육적 계획
1. 대상자에게 피부 손상 위험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교육한다.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톱을 짧고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 손톱 안에 세균이 많이 분포하고 피부를 긁을 시 감염의 위험성과 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교육함으로써 피부 손상의 위험을 줄인다.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 접촉 전 손씻기에 대해서 교육한다.
- 손에 있는 세균으로 인해 피부 감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전 후 꼭 손을 깨끗이 씻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한다.
4. 간병인에게 침대 시트가 주름이 생기지 않게 하고 건조하고 청결하게 관리해야하며 시트가 젖었을 때 즉시 교체하도록 교육한다.
5. 대상자에게 불편감을 주는 요소가 발생 시 말해줄 것을 교육한다.
- 불편감을 주는 요소(피부 압력, 걸림 등)가 발생 시 즉각적으로 말하도록 하여 불편감을 제거하고 피부 통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간 호 수 행 및 평 가
진단번호
날짜
수행
평가
#3
<진단적 수행>
1. 대상자의 피부 상태를 확인함. (11/01~11/05)
2. 매일의 피부의 손상 정도를 사정함.(11/01~11/05)
3. 환자의 피부 청결도를 관찰함. (11/01~11/05)
4. 매 duty마다 V/S를 사정함.(11/01~11/05)
5. 주 2회(월요일, 금요일) 오전 10시에 Braden scale을 사용하여 욕창 위험도를 평가함.(11/01,11/05)
1. 피부 상태 확인 결과 C-line site oozing 없음. abrasion Dx(Dressing) 완료, 엉덩이, 발꿈치, 천골 등의 부위에 욕창 없음 확인하였음.(11/01~11/05)
2. C-line 이외의 피부 침습적 처치 가해지지 않음.(11/01~11/05)
3. 대상자의 피부가 청결하게 유지되는 것을 관찰하였음.(11/01~11/05)
4. V/S 평가를 위한 자료 수집하였음.
11/01
11/02
11/03
11/04
11/05
37.6
37.6
37.3
36.7
36.8
5. 욕창위험도 사정을 위한 자료 수집함
11/01
11/05
13
18
<치료적 수행>
1. 뼈 돌출 부위를 베개로 지지함.(11/01~11/05)
2. 엉덩이에 바람 통하게 함.(11/01~11/05)
3. 뼈 돌출 부위에 패드를 대어줌(11/01~11/05)
4. 6시간 마다 back massage를 시행함.(11/01~11/05)
5. 피부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함.(11/01~11/05)
6. 2시간 마다 체위변경을 시행함.(11/01~11/05)
1-3. 욕창 위험도 높은 부위에 욕창이 발생하지 않음.(11/05)
4. 순환이 자극되면서 피부 통합성이 유지되었음.(11/05)
5. 피부가 깨끗하게 건조하게 유지되었음.(11/01~11/05)
6. 체위변경이 Supine → lateral 등의 체위로 지속적으로 변경되었음.(11/01~11/05)
<교육적 수행>
1. 대상자에게 피부 손상 위험을 완화시키는 방법을 교육함.(11/01)
2.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손톱을 짧고 청결하게 유지하도록 교육함.(11/01)
3.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피부 접촉 전 손씻기에 대해서 교육함. (11/01)
4. 간병인에게 침대 시트가 주름이 생기지 않게 하고 건조하고 청결하게 관리해야하며 시트가 젖었을 때 즉시 교체하도록 교육함.(11/01)
5. 대상자에게 불편감을 주는 요소가 발생 시 말해줄 것을 교육하였음.(11/01)
대상자가 피부손상 위험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듣던 중 간병인에게 교육하라고 말하심.(11/01)
대상자와 간병인의 손톱이 짧고 청결히 유지되는 것을 관찰하였음.(11/01~11/05)
보호자와 간병인이 피부 접촉 전 손씻기를 실천하는 모습을 관찰하였음(11/01~11/05)
간병인이 침대 시트가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건조하고 청결하게 관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음. 시트가 젖었을 시 즉시 교체하는 모습을 보였음. (11/01~11/05)
대상자가 불편함을 느낄 때마다 간병인을 통해 간호사를 부르는 모습이 관찰되었음.(11/01~11/05)
√ 기대결과에 따른 평가
기대결과와 지표
평가진술문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침습적 처치 부위에 oozing이 생기지 않는다.
11/05 목표 달성됨. 대상자의 C-line site에 oozing이 발생하지 않음.
대상자와 간병인은 교육 즉시 피부손상위험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말할 수 있다.
11/05 목표가 부분 달성됨. 대상자가 피부손상 위험을 완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교육을 듣던 중 간병인에게 교육하라고 말하심.
-> 대상자의 낙상 위험요인을 사정하였는데 휠체어 사용, 침대 근처의 수액 라인과 카테터 라인으로 인한 낙상 위험 요인을 새롭게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대상자 주변의 수액 라인을 정리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행한 중재내용
1. 대상자 주변의 수액 라인을 정리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기에 대상자에게 약물 투여 시, 수액 라인을 테이프로 정리하였음.(11/05)
-> 추가적으로, 대상자 주변의 수액 라인을 테이프로 정리하여, 대상자 주변에 존재하는 낙상 위험요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낙상 예방 방법을 체계적으로 교육함으로써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고 피부통합성도 적절히 유지되었다고 평가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23.05.15
  • 저작시기202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70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