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의이해_아동중심 놀이치료 이해하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놀이치료의이해_아동중심 놀이치료 이해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아동중심 개념

2) 아동중심교육 재개념

3) 놀이 개념

4) 아동중심 놀이치료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적 위축의 변인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에 각 회기 2시간 (120분)으로 마음 놀이 4회, 몸놀림 4회의 놀이치료를 실시하였는데 마음 놀이는 감정 인식하기, 감정 표현하기,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기 등으로 자신의 감정 및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는 시간이었다. 몸놀림은 그대로 표현하기 등으로 달걀 상자에 흙과 달걀 껍데기를 섞어서 채우고 씨앗 심기 등의 감정 화분, 나의 그림자와 소통하기 등의 프로그램으로 아동 중심적인 놀이치료를 해보았다.
이러한 놀이치료는 공격적이고 부정적이었던 아동을 긍정적인 아동으로 변화시켜주었다. 즉 놀이는 아동의 욕구 소통의 창고이며 아동기의 욕구 해소에 대한 놀이는 중요하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인식시켜준 것과 같다.
3. 결론
아동에게 있어서 놀이는 가치 있는 행위이고 학습이며 무한한 그 무언가를 창출해내는 공간이다. 아동 중심 놀이치료는 꼭 치료기관에서만 가능할까? 아동에게 충분한 욕구 해소의 공간을 가정에서도 마련해서 아동이 욕구 불만이나 감정적인 오류가 생겼을 때 놀이를 통해서 소통하고 자신을 충분히 표현하는 공간이 있다고 하면 아동은 긍정적으로 성장하리라 생각한다. 영유아기에 아동이 자라면서 뇌 또한 사물과 공간에 대한 복잡하고 연결되는 조직화의 과정이 만들어지듯 아동의 공간은 마치 그러한 조직화한 뇌 공간이 그대로 표현된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아동이 상상하는 혹은 호기심을 가지는 그 무언가를 실제로 제공함에 따라서 그 아동은 또 다른 성장을 준비하게 될 것이다. 이에 놀이치료는 이러한 본래의 아동의 정상적인 발달의 과정인 놀이를 통해서 정상적인 발달을 돕는 중요한 하나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동의 문제는 가장 작은 상처가 났을 때도 신속하게 대처하고 치료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1. 나성식 (2001) John Dewey의 아동중심교육철학에 나타난 교육적 경험의 개념과 관련개념 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 이유미 (2020) 아동중심교육 재개념화를 위한 철학적 탐구 : 초등교육의 맥락에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3. 보건복지부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 부모교육 2020-가정양육지원-019 자녀놀이에 어떻게 참여하나요?
4. 이행숙 (2012)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의 아동과 치료자 반응 관찰척도 개발 및 적용 명지대학교 대학원
5. 아동중심놀이치료의 공격성감소효과 : 자동적 사고와 자아상을 중심으로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7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78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