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놀이의 개념과 특성
1) 놀이의 기능
2) 놀이의 심리 치료적 요소
2. 놀이치료의 정의와 필요성
1) 놀이치료의 정의와 필요성
2) 놀이치료의 이론
3) 놀이치료의 유형
3. 아동중심 놀이치료
1)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목표
2) 유아교육과 놀이치료
4. 놀이치료를 위한 놀이실과 놀이도구
5. 치료자의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6. 놀이치료의 대상아동과 치료자
1) 관계의 시작 : 아동의 시간
2) 놀이치료교사의 반응과 치료적 제한설정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1. 놀이의 개념과 특성
1) 놀이의 기능
2) 놀이의 심리 치료적 요소
2. 놀이치료의 정의와 필요성
1) 놀이치료의 정의와 필요성
2) 놀이치료의 이론
3) 놀이치료의 유형
3. 아동중심 놀이치료
1) 아동중심 놀이치료의 목표
2) 유아교육과 놀이치료
4. 놀이치료를 위한 놀이실과 놀이도구
5. 치료자의 자기이해와 자기수용
6. 놀이치료의 대상아동과 치료자
1) 관계의 시작 : 아동의 시간
2) 놀이치료교사의 반응과 치료적 제한설정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안 좋게 보일 수도 있다. 그럴 때 아무도 “즐거워야해”라고 말하지 않는다. 아동은 아무것도 안 할 수 있으며 가만히 있어도 된다. 아무도 “어서 해, 무엇이라고 해야지”라고 말하지 않는다. 크게 소리 지르고 시끄럽게 하고 물건을 두들겨도 아무도 “조용히 해”라고 하지 않는다. 아동은 바보처럼 낄낄거리거나 큰 소리로 갑자기 웃어댈 수도 있다. 그럴 때 아무도 “네 나이답게 굴어라”라고 하지 않는다. 아동이 어린아이처럼 우유병을 빨 때, 아무도 “너가 그 짓을 하기엔 너무 크지 않니”라고 하지 않는다. 아동은 접착제, 풀, 가위를 가지고 우주선을 만들 수 있다. 아무도 “그걸 만들기엔 넌 아직 어려”라고 말하지 않는다. 사실 아동이 완전히 수용되는 가운데 아동자신이 모든 것을 이 순간에 표현하고 경험할 수 있는 시간과 장소, 관계가 허용되는 경우는 흔한 일이 아니다. 이것이 바로 아동의 시간을 만들어 주는 것이다. 치료자는 아동의 성장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성장을 강요하거나 서둘러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 시간은 아동이 마음의 긴장을 풀고 강제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성장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특별한 관계를 형성하는 시간이다.
2) 놀이치료교사의 반응과 치료적 제한설정
제한설정은 놀이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의 하나이면서 대부분의 치료자들에게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다. 제한은 치료관계의 발전에 구조를 제공하며 실제 생활경험을 하게 만든다. 제한 없는 관계는 거의 가치가 없다. 치료자가 제한을 설정하려고 애쓴다는 사실은 자기 자신, 아동, 그리고 관계의 가치를 큰 소리로 주장하는 것이다.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 말하는 허용은 모든 행동을 수용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치료는 배우는 경험이며 제한은 아동이 자기통제, 자신이 선택권을 가진 , 선책이 어떤 느낌이진 그리고 책임은 어떠한 것인지를 학습하는 기회를 준다. 따라서 제한을 설정해야 할 때 설정하지 않으면 아동은 자신에 관한 중요한 어떤 것을 학습할 기회를 잃게 된다. 치료적 제한설정을 할 때 아동은 선택할 기회를 얻는다. 따라서 아동은 스스로와 자신의 복지에 대해 책임이 있다.
놀이실에서의 제한설정은 최소화하면서 실해 가능해야 한다. 제한을 많이 설정하며 아동은 자신에 고나하여 학습할 수 없고 적절히 자신을 표현할 수 없다. 실행 불가능한 제한은 신뢰의 발전을 방해하여 치료관계에 큰 해를 준다.
Ⅲ 결 론
아동들의 놀이는 그들의 자연스런 의시소통의 매개체로 여겨질 때 좀 더 충분히 인정될 수 있다. 아동들은 놀이를 통해서만이 좀 더 편안할 수 있으므로 언어적으로 하는 것보다 자신이 창조한 자발적인 놀이를 통해서 좀 더 직접적이고 충분히 그들 스스로를 표현하게 된다. 아동들이 그들의 경험과 감정을 “놀이로 표현하는 것”은 아동들이 할 수 있는 가장 자연적인 역동이며 치유과정을 뜻한다.
아동들과의 치료적 관계는 놀이를 통해서 가장 잘 이루어지고 그 관계는 우리가 치료하고 말한 활동에서는 중요한 것이다. 놀이는 갈등을 해결하고 감정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놀이감들이 아동의 표현 매개체이기 때문에 놀이감은 표현과정을 이행하게 한다. 아동들의 자유로운 놀이는 하고자 하는 것의 표현이다. 아동이 지시받지 않고 자유롭게 놀 때 독립적인 사고와 행동을 표현한다. 아동은 감정과 태도를 개방하도록 강요받아 힘들었던 점을 풀어놓게 된다” (Axline, 1969) 아동들의 놀이는 언어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영역까지도 놀이를 통해 표현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놀이는 의미 있고 중요하다. 아동들은 그들이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 편치 않은 일이라고 여기는 일들을 하고 언어로 표현하기에는 곤란한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서 장난감을 사용한다. 놀이는 아동의 상징적 자기표현 언어이다. 놀이의 목표를 보면 결코 어린이답다 보다는 성숙한 성인의 모습이 연상된다. 놀이라고 하는 얼핏 미숙해 보이는 것 같은 행동을 통해서 아주 성숙한 인격을 갖추게 하는 역설적 힘을 지닌 것이 바로 놀이치료이다.
Ⅳ 참고문헌
송영혜(1991). 놀이치료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명희 편저(1989) 놀이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문사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 학지사
표현예술심리치료(한국표현예술치료협회)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 : 1983 이재훈 옮김
<놀이를 통한 가족치료> 그리프(M. Griff, 1983) 논문
김지예(1995) 아동놀이 발달검사 구성을 위한 연구 . 대구대학교 석사논문
2) 놀이치료교사의 반응과 치료적 제한설정
제한설정은 놀이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의 하나이면서 대부분의 치료자들에게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이다. 제한은 치료관계의 발전에 구조를 제공하며 실제 생활경험을 하게 만든다. 제한 없는 관계는 거의 가치가 없다. 치료자가 제한을 설정하려고 애쓴다는 사실은 자기 자신, 아동, 그리고 관계의 가치를 큰 소리로 주장하는 것이다.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 말하는 허용은 모든 행동을 수용한다는 의미가 아니다. 치료는 배우는 경험이며 제한은 아동이 자기통제, 자신이 선택권을 가진 , 선책이 어떤 느낌이진 그리고 책임은 어떠한 것인지를 학습하는 기회를 준다. 따라서 제한을 설정해야 할 때 설정하지 않으면 아동은 자신에 관한 중요한 어떤 것을 학습할 기회를 잃게 된다. 치료적 제한설정을 할 때 아동은 선택할 기회를 얻는다. 따라서 아동은 스스로와 자신의 복지에 대해 책임이 있다.
놀이실에서의 제한설정은 최소화하면서 실해 가능해야 한다. 제한을 많이 설정하며 아동은 자신에 고나하여 학습할 수 없고 적절히 자신을 표현할 수 없다. 실행 불가능한 제한은 신뢰의 발전을 방해하여 치료관계에 큰 해를 준다.
Ⅲ 결 론
아동들의 놀이는 그들의 자연스런 의시소통의 매개체로 여겨질 때 좀 더 충분히 인정될 수 있다. 아동들은 놀이를 통해서만이 좀 더 편안할 수 있으므로 언어적으로 하는 것보다 자신이 창조한 자발적인 놀이를 통해서 좀 더 직접적이고 충분히 그들 스스로를 표현하게 된다. 아동들이 그들의 경험과 감정을 “놀이로 표현하는 것”은 아동들이 할 수 있는 가장 자연적인 역동이며 치유과정을 뜻한다.
아동들과의 치료적 관계는 놀이를 통해서 가장 잘 이루어지고 그 관계는 우리가 치료하고 말한 활동에서는 중요한 것이다. 놀이는 갈등을 해결하고 감정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놀이감들이 아동의 표현 매개체이기 때문에 놀이감은 표현과정을 이행하게 한다. 아동들의 자유로운 놀이는 하고자 하는 것의 표현이다. 아동이 지시받지 않고 자유롭게 놀 때 독립적인 사고와 행동을 표현한다. 아동은 감정과 태도를 개방하도록 강요받아 힘들었던 점을 풀어놓게 된다” (Axline, 1969) 아동들의 놀이는 언어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운 영역까지도 놀이를 통해 표현하기 때문에 그들에게 놀이는 의미 있고 중요하다. 아동들은 그들이 말할 수 없는 것을 말하기 위해서 편치 않은 일이라고 여기는 일들을 하고 언어로 표현하기에는 곤란한 느낌을 표현하기 위해서 장난감을 사용한다. 놀이는 아동의 상징적 자기표현 언어이다. 놀이의 목표를 보면 결코 어린이답다 보다는 성숙한 성인의 모습이 연상된다. 놀이라고 하는 얼핏 미숙해 보이는 것 같은 행동을 통해서 아주 성숙한 인격을 갖추게 하는 역설적 힘을 지닌 것이 바로 놀이치료이다.
Ⅳ 참고문헌
송영혜(1991). 놀이치료 서울 : 도서출판 특수교육
김명희 편저(1989) 놀이지도의 이론과 실제. 서울 : 교문사
송명자(1995) 발달심리학. 서울 : 학지사
표현예술심리치료(한국표현예술치료협회)
정신분석학적 대상관계이론 : 1983 이재훈 옮김
<놀이를 통한 가족치료> 그리프(M. Griff, 1983) 논문
김지예(1995) 아동놀이 발달검사 구성을 위한 연구 . 대구대학교 석사논문
추천자료
놀이치료(치료놀이) 개념,특징,과정,규칙및효과,치료자 자질과역할
분석학적 놀이치료(모래놀이치료,미술치료)
★우수자료★[아들러 놀이치료 Adlerian Play Therapy] 아들러의 놀이치료, 아들러 생애, 아들...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놀이치료 (Play Therapy) - 놀이치료의 개념과 역사 및 놀...
[발달놀이치료] 발달놀이치료의 정의(개념)와 준비 - 발달놀이치료 원리 및 대화
놀이방과 놀이도구,놀이치료,놀잇감의 범주,토트백 놀이방,놀이치료 프로그램,학교 놀이치
(부모 자녀 놀이치료) 가족놀이치료, 부모-자녀 놀이치료
모래놀이치료의 개념과 역사(모래놀이치료의 정의와 특징 및 모래놀이발달단계)
[모래놀이치료] 모래 놀이치료기법, 모래놀이치료의 방법과 기술
[놀이치료이론] 놀이치료의 정의와 치료적 가치
아동중심 놀이치료(분석놀이치료, 생태학적 놀이치료)
학교에서의 놀이치료(놀이치료교사, 학교에서 놀이치료실의 준비)
[놀이치료기법] 놀이치료의 개념과 역사, 놀이치료과정 및 방법
정신분석 놀이치료(정신분석적 놀이치료의 대상과 절차 및 치료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