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를 활용해서 경영의 패러다임 변화에 성공한 하나의 기업 사례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IT를 활용해서 경영의 패러다임 변화에 성공한 하나의 기업 사례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서론
2.본론
(1) 전통적인 인사관리
(2) 혁신의 바탕
(3) HR 대신 PO
(4) 혁신의 구체적인 내용
7.결론

본문내용

습해야 하는데, 이것은 절대로 쉬운 일이 아닙니다.
그래서 호기롭게 시작했지만, 관성의 법칙 앞에서 주춤거리다가 아까운 시간과 자원만 낭비하게 될 것 같습니다.
(2) 데이터 축적과 활용의 어려움
‘이 세상에 쓰레기는 없다. 잘못된 곳에 버려진 보물만 있을 뿐이다’라는 문장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습니다. 우리가 집에서 쓰레기를 처리할 때, 일차적으로 종량제 봉투에 담을 수 있는 것과 재활용을 할 수 있는 것을 ‘구분’합니다. 만약 이러한 구분이 없다면 종량제 봉투에 담기는 쓰레기의 양은 더욱 늘어날 것이며, 재사용이 가능했지만 그러지 못하는 것들은 쓰레기로 버려진 양만큼 또다시 생산해야 하므로 소중한 자원을 낭비하게 됩니다.
전 데이터를 축적하고 활용하는데 이와 비슷한 문제가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분석이 가능할 정도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만들 수 있을까?’ 그리고 ‘이렇게 쌓인 데이터를 어떻게 ‘구분’하여 유의미하게 만들 것인가? ‘하는 문제가 그것입니다.
데이터가 많은 건 그냥 쓰레기가 많은 것일 뿐, ‘분류’ 가능한 정제된 데이터가 많아야 의미가 있는데, 이처럼 분류 가능한 데이터가 쌓일 수 있게 프로세스를 만들고, 이를 분석하여 유의미하게 만들기 위해선 통계, 수학, 전산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통계, 수학, 전산을 전공한 사람들 말입니다.
그런데 전통적인 기업에서 인사관리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전공과 거리가 먼 것이 사실이라서 그들을 재교육하거나 아니면 이를 전담할 수 있는 사람을 새로 뽑아야 할 텐데 이것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제가 위에 이야기한 것들을 근거로 저항하는 사람들 때문에 혁신이 쉽지는 않겠지만,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정성적인 부분을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측정이 가능하게 정량적으로 만들고, 임직원들은 이렇게 정량적으로 만들어진 기준을 신뢰하며, 기업은 적극적으로 이를 활용하여 혁신을 만들어낸 구글의 인사제도는 IT 기반 회사를 중심으로 급속히 퍼지고 있으며, 인사가 만사라는 기업 경영 제1원칙에 따라 이 혁신을 받아들인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의 흥망성쇠는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4. 참고 문헌
강정우 『아마존 vs. 구글 미래 전쟁』시크릿하우스(2019.05.29.)
라즐로 복 『구글의 아침은 자유가 시작된다』알에이치코리아(2015.05.14)
존 도어, 래리 페이지 『OKR 전설적인 벤처투자자가 구글에 전해준 성공 방식』세종서적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5.18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8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