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써머힐 학교의 성공비결
2) 키노쿠니학교와 서머힐학교
3) 나의 자녀
3.
결론
서론
2.
본론
1) 써머힐 학교의 성공비결
2) 키노쿠니학교와 서머힐학교
3) 나의 자녀
3.
결론
본문내용
그러한 순간이 오기 이전에 마음껏 모든 것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영국 학교에서는 아이들에게 기회를 제공해야 하는 것은 동의한다. 그리고 아이들의 자유도 중요하다는 것도 역시 의견이 일치한다. 그러나 반대로 무조건적으로 그들에게 모든 것을 맡기는 것은 따르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선생님이 존재하는 이유는 아이들에게 바람직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지도하기 위함이다. 그렇기에 방향 정도를 제시하는 것은 필요하고 중요한 것은 그러한 제시가 아이들의 기회를 빼앗으면 안 된다고 보는 것이다.
3) 나의 자녀
(1) 선택
본인은 먼저 이 학교에 자녀를 보낼 것 같다. 다큐를 보면서 기억에 남는 것은 아이들의 표정이었다. 책상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책만 보면서 지내는 아이들의 얼굴에는 생기가 없었다. 그러나 책상에서 벗어나 운동장 그리고 외부에 나가는 것만으로 아이들의 표정은 달라지게 되었다. 본인은 개인적으로 똑똑한 자녀보다는 스스로의 삶에 대해서 만족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자녀를 원한다. 그리고 그러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써머힐 학교라고 하는 생각이 든다. 조금 더 아이가 학교를 감옥과 같이 생각하지 않고 놀이터와 같은 놀이 공간으로 느꼈으면 한다. 그리고 다양한 경험을 기초로 하여 학교에서 충분히 지식만이 아니라 여러 부문의 것을 배웠으면 하기에 본인은 개인적으로 이 학교에 입학하는 것을 희망하는 것이다.
3. 결론
이번 시간에 다큐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학생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나라의 학교는 다큐에서 나오는 학교와는 정반대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물론 아이들이 이후에 조금 더 성숙한 성인, 지적인 성인이 되는 것에는 우리나라의 학교가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가 존재하는 이유는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목적인 학교는 우리나라와는 매우 다르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의 학생들에 대해서 굉장히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평생 학교는 아이들에게 경쟁을 강요할 것이고 결코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최소한 그들이 성인이 되기 이전에 행복함이라고 하는 것을 느낄 수 있게 우리는 그들을 위한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
[참고문헌]
-https://youtu.be/nc5h73S1E1rg/EBS다큐
-함께 행복한 학교 만들기/구학초등학교/교육인적자원부/2003
3) 나의 자녀
(1) 선택
본인은 먼저 이 학교에 자녀를 보낼 것 같다. 다큐를 보면서 기억에 남는 것은 아이들의 표정이었다. 책상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책만 보면서 지내는 아이들의 얼굴에는 생기가 없었다. 그러나 책상에서 벗어나 운동장 그리고 외부에 나가는 것만으로 아이들의 표정은 달라지게 되었다. 본인은 개인적으로 똑똑한 자녀보다는 스스로의 삶에 대해서 만족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자녀를 원한다. 그리고 그러한 삶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로 써머힐 학교라고 하는 생각이 든다. 조금 더 아이가 학교를 감옥과 같이 생각하지 않고 놀이터와 같은 놀이 공간으로 느꼈으면 한다. 그리고 다양한 경험을 기초로 하여 학교에서 충분히 지식만이 아니라 여러 부문의 것을 배웠으면 하기에 본인은 개인적으로 이 학교에 입학하는 것을 희망하는 것이다.
3. 결론
이번 시간에 다큐를 보면서 우리나라의 학생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나라의 학교는 다큐에서 나오는 학교와는 정반대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물론 아이들이 이후에 조금 더 성숙한 성인, 지적인 성인이 되는 것에는 우리나라의 학교가 도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학교가 존재하는 이유는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목적인 학교는 우리나라와는 매우 다르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나라의 학생들에 대해서 굉장히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평생 학교는 아이들에게 경쟁을 강요할 것이고 결코 아이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최소한 그들이 성인이 되기 이전에 행복함이라고 하는 것을 느낄 수 있게 우리는 그들을 위한 학교를 만들어야 한다.
[참고문헌]
-https://youtu.be/nc5h73S1E1rg/EBS다큐
-함께 행복한 학교 만들기/구학초등학교/교육인적자원부/2003
추천자료
행동수정 이론 질의응답발제
노인을 위한 교육, 노화와 노인의 정의, 교육의 필요성, 주요국의 노년 교육 프로그램
[과학교과평가]과학과평가(과학교육평가)의 분류와 과학과평가(과학교육평가)의 측정, 과학과...
[독일어교육][독일어교육 영상강의 사례]독일어교육의 중요성, 독일어교육의 역사, 독일어교...
진단평가 과연 필요한가
아이의 사생활 EBS 도덕성 2화 동영상 시청 후 느낀 점과 부모, 아이의 도덕성에 관한 의견.
텔레비전이 아이들의 교육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한국어교육학개론 4) 문법 교수 모형 중 PPP 모형과 TTT 모형을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