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 참고문헌
II. 본론
III.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 필자의 생각을 밝혔다. 우리는 더 이상 과거시험을 보지 않는다. 하지만 훨씬 더 많은 시험들을 준비하고, 그 시험을 치른다. 과거에 유생들에게 과거시험이 큰 부담이 되었다면, 우리에게도 수능시험과 고시, 입사시험은 엄청난 무게로 다가온다.
하지만, 시험은 우리에게 불편하고 괴로운 과정만은 아니다. 시험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이 공부한 것을 되돌아볼 수 있다. 제대로 이해한 것과 오해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자신에게 필요한 공부와 방법을 깨달을 수 있다.
시험에는 미래적인 기능도 들어있다. 그리고 입시나 입사에 성공적으로 합격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무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의 날씨를 이기고 공부할 수 있다.그런 과정을 통해 학생은 한 사람의 인격으로 성장하는 것을 경험한다. 그렇게 본다면, 시험은 수험생 한 사람 한 사람의 인격적 성장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변화의 과정에서 꽃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이 되게 해주는 고마운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이 모든 일에는 선한 측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과거시험의 긍정적인 면만 이야기하지 않는다. 우리사회의 고질병으로 여겨지는 학력병의 뿌리를 과거합격에만 매달렸던 과거시험에서 찾고 있다. 또한 과거시험과 수능시험, 공무원고시 모두에 적용되어야 할 핵심을 밝히고 있다. 그것은 바로 공정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입학사정관제도를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무리 공정하게 집행한다고 해도 차별적인 선발제도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과거시험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 저자의 진술은 오늘 그리고 여기에 사는 우리들의 교육선발제도 전반은 물론 우리사회의 공정성을 되돌아보게 하는 화두를 제시한다. 고액의 수업료를 낼 수 있는 일부만 다닐 수 있는 로스쿨의 출발은 더 이상 우리 사회에는 “개천에서 용 날 일”이 없을 것임을 알리는 신호탄으로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고 나니 마음 한 구석이 무겁게 느껴진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개선할 교육 분야의 난제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전보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었다. 우리는 어느 사회보다도 교육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강한 의지를 가진 나라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우리 교육 전반과 우리사회의 미래를 위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이원재(2011). 과거공부를 알아야 우리교육이 보인다. 문음사
하지만, 시험은 우리에게 불편하고 괴로운 과정만은 아니다. 시험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자신이 공부한 것을 되돌아볼 수 있다. 제대로 이해한 것과 오해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자신에게 필요한 공부와 방법을 깨달을 수 있다.
시험에는 미래적인 기능도 들어있다. 그리고 입시나 입사에 성공적으로 합격한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무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의 날씨를 이기고 공부할 수 있다.그런 과정을 통해 학생은 한 사람의 인격으로 성장하는 것을 경험한다. 그렇게 본다면, 시험은 수험생 한 사람 한 사람의 인격적 성장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변화의 과정에서 꽃보다 더 아름다운 사람이 되게 해주는 고마운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모든 일이 그렇듯이 모든 일에는 선한 측면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저자는 과거시험의 긍정적인 면만 이야기하지 않는다. 우리사회의 고질병으로 여겨지는 학력병의 뿌리를 과거합격에만 매달렸던 과거시험에서 찾고 있다. 또한 과거시험과 수능시험, 공무원고시 모두에 적용되어야 할 핵심을 밝히고 있다. 그것은 바로 공정성이다. 그런 의미에서 저자는 입학사정관제도를 유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아무리 공정하게 집행한다고 해도 차별적인 선발제도가 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이렇게 볼 때, 과거시험에 대한 논의에서 시작한 저자의 진술은 오늘 그리고 여기에 사는 우리들의 교육선발제도 전반은 물론 우리사회의 공정성을 되돌아보게 하는 화두를 제시한다. 고액의 수업료를 낼 수 있는 일부만 다닐 수 있는 로스쿨의 출발은 더 이상 우리 사회에는 “개천에서 용 날 일”이 없을 것임을 알리는 신호탄으로도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책을 읽고 나니 마음 한 구석이 무겁게 느껴진다. 건강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가 개선할 교육 분야의 난제가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전보다 긍정적인 생각을 가질 수 있었다. 우리는 어느 사회보다도 교육을 통해 사회를 변화시키려는 강한 의지를 가진 나라였기 때문이다. 여기에 우리 교육 전반과 우리사회의 미래를 위한 변화의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참고문헌
이원재(2011). 과거공부를 알아야 우리교육이 보인다. 문음사
추천자료
과거공부를 알아야 우리 교육이 보인다
[교육사] 조선의 과거제도
과거공부를 알아야 우리 교육이 보인다
사교육의 실태와 대책 -사교육 개념과 역사, 해결방안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교육사상가 및 실천가 중 1명을 선정...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
[방통대 교육학과 4학년 교육사 공통] 『교육사』 교재에 소개된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