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해할 수 있도록 ‘부모님의 은덕’의 구체적 내용을 제시하고 명확하게 의도를 전달하였다. 따라서 이처럼 쉽게 작성된 시조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도 효용이 있을 것이다. ‘백성을 가르치는 노래’라는 제목에 걸맞게 외국인을 가르치는 노래로서도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나)는 사랑하는 임에 대한 그리움과 기다림을 노래한 시조이다. 일상적인 한국어를 탁월하게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을 ‘베어’내겠다는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이 돋보인다. 이 시조는 초장에서 물리적 개념이 아닌 ‘시간’을 베어내겠다는 상상력을 통해 청자(또는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의 시간을 잘라놓겠다는 것이다. 중장에서는 잘라낸 시간을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어두겠다고 한다. 겨울이라는 현재의 시간이 ‘봄’에 대한 기다림으로 치환되는 부분이다. 마지막 종장에서는 잘라서 넣어 두었던 시간을 ‘고운 임’이 오신 날에 ‘굽이굽이’ 펴서 쓰겠다고 서술한다. 결국, 임을 기다리는 현재는 화자에게 ‘겨울’과 같은 시간이지만, 임이 오는 날은 ‘봄바람’과 같이 따스할 것임을 에둘러 말하며 임에 대한 연정을 표출한 것이다.
이 작품은 특히 한국의 청소년에게도 곧잘 교육하는 시조이다. 황진이의 탁월한 상상력과 내용 전개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서리서리’나 ‘굽이굽이’와 같은 음성상징어는 우리말 표현을 더욱 풍부하고 다채롭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한국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어휘 연습에 도움이 되는 작품으로 이만한 것이 없다.
(나)는 사랑하는 임에 대한 그리움과 기다림을 노래한 시조이다. 일상적인 한국어를 탁월하게 사용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을 ‘베어’내겠다는 작가의 문학적 상상력이 돋보인다. 이 시조는 초장에서 물리적 개념이 아닌 ‘시간’을 베어내겠다는 상상력을 통해 청자(또는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데에서 시작한다. 밤이 가장 긴 날인 동지의 시간을 잘라놓겠다는 것이다. 중장에서는 잘라낸 시간을 봄바람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어두겠다고 한다. 겨울이라는 현재의 시간이 ‘봄’에 대한 기다림으로 치환되는 부분이다. 마지막 종장에서는 잘라서 넣어 두었던 시간을 ‘고운 임’이 오신 날에 ‘굽이굽이’ 펴서 쓰겠다고 서술한다. 결국, 임을 기다리는 현재는 화자에게 ‘겨울’과 같은 시간이지만, 임이 오는 날은 ‘봄바람’과 같이 따스할 것임을 에둘러 말하며 임에 대한 연정을 표출한 것이다.
이 작품은 특히 한국의 청소년에게도 곧잘 교육하는 시조이다. 황진이의 탁월한 상상력과 내용 전개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했다는 점이 두드러진다. ‘서리서리’나 ‘굽이굽이’와 같은 음성상징어는 우리말 표현을 더욱 풍부하고 다채롭게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한국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어휘 연습에 도움이 되는 작품으로 이만한 것이 없다.
추천자료
「Ghost」를 통해 살펴본 Henrik Ibsen의 인물창조의 극작기교에 관하여
[오리엔탈리즘]오리엔탈리즘(오리엔탈리즘의 정의, 오리엔탈리즘의 용어, 오리엔탈리즘과 영...
모세오경 최종 주해
미술과(미술교육)의 특징과 목표,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기본학습, 초등학교 미술과(...
낭만주의(낭만파) 문학 의의, 낭만주의(낭만파) 문학 특징, 낭만주의(낭만파) 문학 전개과정,...
환상서사 이론을 통해 살펴본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과 <그렇습니까? 기린입니다>
다양한 한국문학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개념을 설명하고 대표 문학 작품들에 대해 서술하시오
한국문학개론 ) 다양한 한국문학 중 하나를 선택하여 개념을 설명하고 대표 문학 작품들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