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보더트레이드_CBT 활용 전략-대표적인 크로스보드 이커머스 기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의 크로스보드 시장에 대한 분석과 활용 전략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크로스보더트레이드_CBT 활용 전략-대표적인 크로스보드 이커머스 기업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의 크로스보드 시장에 대한 분석과 활용 전략에 대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마켓플레이스

1) 아마존

2) 알리바바

(2) 한국의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1) 현황

2) 활용방안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상 상담회에는 국가 공동브랜드인 ‘브랜드K’를 비롯하여 뷰티, 패션, 생활소비재 등 국내 50개 사와 중동 9개국의 바이어 197개 사가 참가하였다. 한편으로 현지에 진출해 있는 유통망을 활용한 수출 확대 계획도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유망 중소기업의 제품을 위한 전용 오프라인 쇼룸을 구축한 후 온라인 판매로의 연계를 기획하는 것이다. 영상 콘텐츠와 현지 전문가를 바이어 상담 MD로 활용하고, 현지 인플루언서를 통한 온라인 마케팅을 추가한다면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19라는 위기를 전환점으로 삼고 오히려 새로운 시장으로 도약할 발판으로서 온라인 중심 시장으로 옮겨간 우리의 수출 패러다임이 현지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결합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3. 결론
이제는 한정된 국내 시장만으로는 기업이 생존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모든 기업에 있어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시장 진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고 있다. 한정된 시장 안에서의 가격 인하와 쿠폰 서비스를 이용한 출혈 경쟁보다는 크로스보더 이커머스의 확장된 시장을 통해 돌파구를 찾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하지만 이커머스는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는 센스와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예측하여 적재적소에 내놓을 수 있어야 성과를 거둘 수 있다. 특히, 국내 패션 브랜드의 경우 포화한 국내 시장을 벗어나 한류의 열풍을 이용한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더욱 현명한 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아마존 글로벌셀링의 대표인 이성한 사장은 크로스보더 이커머스의 성장에서 한국은 잠재력이 높은 시장임을 시사하며 한국 제품이 세계적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크로스보더 시장에서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한 가지 플랫폼에만 의지하는 것보다 멀티채널 판매에 대한 고민도 함께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아마존에서만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이베이, 알리바바 등 다른 이커머스를 통한 판매를 병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단순히 판매처만 늘려 놓는다고 해서 매출이 창출되는 것은 아니므로 안정적인 매출 창출을 위해서는 아마존의 FBA나 AWS와 같은 시스템 변화를 통해 배송과 전자결재, CS, A/S 등도 함께 수정해 나가야 한다. 안전하고 빠른 물류 시스템이 정비되어야 한다는 이야기다. 이에 따라 직구와 역직구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한국 시장의 중요성을 증명하듯이 최근 물류 플랫폼인 큐익스프레스가 한국과 중국의 원활한 직구 물류를 위해 업무협약 MOU를 체결하였다.
크로스보더 이커머스라는 어려운 단어를 알지 못하더라도 아마존과 알리바바, 큐텐과 같은 해외 직구 사이트는 많은 사람이 알고 있을 것이다. 사람들에게 이곳은 그저 해외 제품을 저렴하고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일 뿐, 개인이 기업을 상대로 수입했다고 인지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크로스보더 이커머스는 이렇듯 수입과 수출을 국가나 기업이 이루어내는 어려운 것이 아닌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직접 이루어낼 수 있는 생활의 일부로서 변화시켜 주었다고 생각한다. 나 역시도 국내에서 판매되지 않는 제품을 사거나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매하기 위하여 해외 직구 사이트를 통해 구매한 경험이 여러 차례 존재한다. 긴 배송 기간과 파손의 우려만 제외한다면 충분히 좋은 거래라고 생각되었다. 여기에 전문적인 물류 서비스가 더해져 빠르고 안전한 배송까지 보장된다면 아마 더 이상 국내 쇼핑몰 사이트에만 얽매여 있을 소비자는 아마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아마존과 알리바바에 비하면 한국의 이커머스 시장은 미국이나 중국과 달리 아직 춘추전국시대와 같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을 대표할 만한 거대한 이커머스 기업이 나타나지 않은 채 내수 시장에만 머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도 쿠팡이나 무신사와 같은 성장 가능성을 지닌 플랫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점점 더 덩치를 키워갈 크로스보더 이커머스 시장에 한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이 나타나지 않을까 기대를 남겨본다.
[참고문헌]
1. 크로스보더트레이드 교안
2. [데이터로 보는 글로벌 이커머스] 아마존, 누구나 돈 벌 수 있는 황금 어장?
https://www.venturesquare.net/816903
3.[kotra]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중국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시장
- 상하이무역관 장덕환, 2019.05.28.
https://news.kotra.or.kr/user/globalAllBbs/kotranews/album/2/globalBbsDataAllView.do?dataIdx=175109&searchNationCd=101046
4.[두트레이드] 아마존 vs 이베이 vs 알리바바 급성장하는 크로스보더 트레이드 (Cross-Border Trade) - 2017.7.24.
https://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dotradenet&logNo=221058575264&parentCategoryNo=&categoryNo=6&viewDate=&isShowPopularPosts=true&from=search
5. [FASHION INSIGNT] 3.5조 달러 보더리스 마켓이 열렸다
- 황연희 기자, 2020.01.20.
http://www.fi.co.kr/main/view.asp?idx=68278
6. [한국무역신문]팬데믹 시대 급성장 ‘역직구’ 잡아라… 활성화 대책 발표
- 2020.09.18.
https://www.kita.net/cmmrcInfo/cmmrcNews/cmmrcNews/cmmrcNewsDetail.do?pageIndex=1&nIndex=60076&sSiteid=1&searchReqType=detail&searchCondition=TITLE&searchStartDate=&searchEndDate=&categorySearch=&searchKeyword&logGb=A9400_20200921
7. [신아일보] 중동바이어, 한국 소비재 \'엄지척\'…무협, 수출상담회 1487만달러 성과 - 박성은 기자, 2020.11.18.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4262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3.05.19
  • 저작시기2023.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090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