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네 가지 차원의 문화적 차이
1)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2) 권력거리
3)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
4) 남성다움과 여성다움
(2) 권력거리의 예
(3)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의 예
결론
본론
(1) 네 가지 차원의 문화적 차이
1) 개인주의 대 집단주의
2) 권력거리
3)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
4) 남성다움과 여성다움
(2) 권력거리의 예
(3)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의 예
결론
본문내용
혀 없으며, 심지어 군대에서도 상급자의 명령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하급자가 고분고분 명력에 복종하지 않는다. 시민들이 참여하는 행사에서 직책과 상관없이 총리도 다른 일발 사람들과 같은 대접을 받으며, 총리실의 응접세트도 한국에서는 상상하기 힘든 일반적인 제품을 사용한다. 시몬 페레스는 국가의 총리였으나, 총리를 지낸 이후 부총리 및 장관직을 맡기도 했다. 한국 사회에서는 상상을 할 수 없는 일이다. 이처럼 권력거리가 멀고 좁은 정도에 따라 문화적 차이가 나타난다.
(3)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의 예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한국과 약한 프랑스를 비교로 예를 들어 비교해 보고자 한다.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나라에서는 외국인 공포증이 나타나고, 약한 나라에서는 외국인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한국은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나라이다. 지하철에서 외국인을 보면 슬슬 피하고 혹시 말을 걸지 않을까 하면서 영어를 못하는 자신을 자책한다. 하지만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다른 프랑스 사람들은 다르다. 길을 물어보는 동양인 관광객에게 자신 있게 자신들의 언어로 길을 알려준다.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한국 사람들은 열심히 일하는 것을 좋아하고 전 세계적으로 일을 좋아하는 민족으로 인식되고 있다. 잠시도 쉴 수 없고 항상 무언가로 바빠야 한다고 생각을 하며 시간은 돈이며, 근면하지 않으면 사회에서 도태된다고 생각한다. 유럽 사람들은 어떠한가? 점심을 2-3시간 동안 먹고 여유롭다. 필요하다면 열심히 일하겠지만 눈치를 보거나 어떤 압력 때문에 뭐라도 하려고 하지 않는다.
3. 결론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몇 가지 예를 들어 권력거리에 의한 문화 차이와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에 의한 문화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홉스테드의 연구 결과는 권력거리 성향이 강하고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 강한 한국의 문화 및 한국인들의 특성을 잘 설명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각 국가별로 그 동안의 역사, 종교, 경제적인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문화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스스럼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 2018
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 강정원 / 2013
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 2018
4. 유태인 & 이스라엘 있는 그대로 보기 / 손혜신 / 2001
(3)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의 예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한국과 약한 프랑스를 비교로 예를 들어 비교해 보고자 한다.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나라에서는 외국인 공포증이 나타나고, 약한 나라에서는 외국인에 대해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한국은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나라이다. 지하철에서 외국인을 보면 슬슬 피하고 혹시 말을 걸지 않을까 하면서 영어를 못하는 자신을 자책한다. 하지만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다른 프랑스 사람들은 다르다. 길을 물어보는 동양인 관광객에게 자신 있게 자신들의 언어로 길을 알려준다.
불확실성 회피 문화가 강한 한국 사람들은 열심히 일하는 것을 좋아하고 전 세계적으로 일을 좋아하는 민족으로 인식되고 있다. 잠시도 쉴 수 없고 항상 무언가로 바빠야 한다고 생각을 하며 시간은 돈이며, 근면하지 않으면 사회에서 도태된다고 생각한다. 유럽 사람들은 어떠한가? 점심을 2-3시간 동안 먹고 여유롭다. 필요하다면 열심히 일하겠지만 눈치를 보거나 어떤 압력 때문에 뭐라도 하려고 하지 않는다.
3. 결론
단편적이기는 하지만 몇 가지 예를 들어 권력거리에 의한 문화 차이와 불확실성에 대한 회피에 의한 문화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홉스테드의 연구 결과는 권력거리 성향이 강하고 불확실성 회피 성향이 강한 한국의 문화 및 한국인들의 특성을 잘 설명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각 국가별로 그 동안의 역사, 종교, 경제적인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문화적인 차이가 발생한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문화적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스스럼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글로벌 마인드를 함양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 2018
2.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 강정원 / 2013
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 2018
4. 유태인 & 이스라엘 있는 그대로 보기 / 손혜신 / 2001
추천자료
문화의 다학문적 접근
[글로벌마케팅] 홉스테드의 문화모형이론 및 사례 적용 연구(한국과 영국)
네덜란드와 광고(먼나라 이웃나라-네덜란드-를 읽고)
삼성중공업의 해외진출<담당자인터뷰포함>
홉스테드는 문화적 차이에 크게 네 가지 차원으로 나뉘었다. 그중 권력거리와 불확실성 회피...
[홉스테드는 문화적 차이에 크게 네 가지 차원으로 나뉘었다. 그중 권력거리와 불확실성 회피...
홉스테드는 문화적 차이에 크게 네 가지 차원으로 나뉘었다 그 중 권력거리와 불확실성 회피...
[국제경영] 홉스테드는 문화적 차이에 크게 네 가지 차원으로 나뉘었다 그중 권력거리와 불확...
국제경영_국제 합작투자의 동기와 주요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