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광주시의 결혼/출산/보육 현황
2) 광주시의 추진 정책
3) 현 정책의 문제점
4) 세종시의 환경 분석
5) 광주시 개선방안 제안
결론
본론
1) 광주시의 결혼/출산/보육 현황
2) 광주시의 추진 정책
3) 현 정책의 문제점
4) 세종시의 환경 분석
5) 광주시 개선방안 제안
결론
본문내용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c. 도시 이미지 개선
물론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지원 정책들은 모두 필요한 부분들이며 구지 광주시뿐만이 아닌 전국적으로 시행되어야 하고 보장되어야 하는 사항들이라고 생각한다. 살기 좋고 행복한 광주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광주시에 대한 이미지부터 바꾸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한다.
광주는 오랜 시간동안 정치적인 색깔이 강한 도시이다. 5/18 광주 민주화 사태를 비롯하여,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김대중 대통령 등 영화 및 드라마 속에서도 광주는 정치적인 이미지로 많이 비춰지고 있다.
서울은 경제/문화/교육의 중심지, 세종은 행정도시이자 계획된 신도시, 부산은 첨단 해양도시 등 많은 특별시, 광역시 들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반면, 광주의 경우 시에서는 좋은 말들을 많이 홍보하려 하지만 아직까지는 모두가 수긍할만한 긍정적인 도시의 정체성이 없다고 생각한다.
최근 MBC의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당대 최고의 스타들인 유재석, 비, 이효리가 뭉쳐서 싹쓰리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관련된 첫 회가 방송된 이후부터 온갖 포털은 뜨겁게 달궈졌고, 시작과 동시에 성공을 예감하게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이미지의 힘이다. 스타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시작도 전에 기대를 하게 만든다.
광주시에서 어떤 지원 정책을 펼치고, 어떤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젊은이들이 가지고 있는 광주시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되지 않으면 보다 많은 인구유입 및 출산율 상승, 또한 출산 이후 지속적으로 정착하는 문화가 형성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의 주민들에게는 광주시는 대도시로써 매력이 충분하지만, 서울에서도 부산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은 있어도, 연고가 없다면 광주에서 살고 싶다는 사람은 극히 드물 것이다.
d. 지속적인 도시 홍보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거라 생각한다. 몇 년 또는 몇 십 년 동안 도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많은 정치인들과 전문가들, 또한 주민들이 함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도시의 정체성을 찾았다고 하더라도 광주시 내에서만 그쳐서는 소용이 없다. 전국의 다른 지역에서 광주시의 변화된 이미지를 알게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도시의 홍보활동 및 타 지역을 연계한 정책 또는 사업 등을 통해서 지속적인 홍보활동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광주 출신의 연예인들을 적극 활동하는 것도 방법이며,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최근 유행하는 TV의 관찰예능들에 살기 좋은, 아이 키우기 좋은 광주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연예인인 이효리의 경우, 제주도에서 촬영한 ‘효리네 민박집’의 여파로 제주도의 땅값이 오를 정도로 어마어마한 파급력을 보여주었다. 몇 년 전 송일국과 3명의 아들이 출연했던 ‘슈퍼맨이 돌아왔다’ 방영 후 인천 송도신도시의 아파트 가격이 급속도로 올랐던 경우도 있다.
보다 창의적인 방법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광주시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인 이미지는 쉽게 고쳐지지 않고, 또한 모두가 공감하는 정체성을 찾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 판단한다.
3. 결론
광주시의 결혼/출산/육아와 관련된 지원 정책은 타 지역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출산율을 높이고 아이들이 자라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는 성공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만, 이러한 정책들은 현 상황에서 광주시라는 틀 안에서의 개선을 위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벤치마킹을 위해서 본론에서 세종시를 예로 들은바 있다. 세종시를 선정한 이유는 단순히 세종시의 주민들이 만족도가 높아서가 아니다. 계획적으로 탄생한 신도시인 만큼, 또한 주요 정부 행정부가 있는 도시인만큼 생활수준 및 만족도, 기본적인 생활 여건(출산 및 육아여건 포함)이 만족스러울 것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이유는 세종시는 타 지역의 사람들의 유입에 굉장히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각 도시마다 산업적으로, 또한 정치적으로 고유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시도마다 각각의 전통이 있고, 특산물이 있고, 주요 산업이 있고 국가차원에서의 역할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전통을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도시가 얼마나 매력적인 도시인가 하는 매력도는 노력을 통해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 낳아서 키우기 좋은 행복 광주 건설”이라는 목표를 정말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지원 정책들이 뒷받침 되는 상황에서, 한 걸을 더 나아가 다른 지역에서 봐도 이사 가서 살고 싶은, 매력적인 광주시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저출산 시대, 해법을 찾아라 / 유레카 편집부 / 2019
2. 2018 유아교육-보육 통계 /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자료 2019-01
3. 광역시도별 경제활동 특성에 대한 연구 / 최윤기 저 / 산업연구원 / 2017
[참고기사]
1. 저출산 시대, 두 도시 이야기 / 경향신문 / 2020.06.29.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6271128001&code=940100
2. 함께 키우고 함께 행복한 광주,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 만들기 본격 추진 / 파이낸스 투데이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061 / 2019.12.30.
3. 심층기획 - 눈덩이 현금복지 해부 / 세계일보 / 2019.12.05.
http://www.segye.com/newsView/20191204513639?OutUrl=naver
[참고사이트]
1.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 https://www.gwangju.go.kr
2.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 https://www.childcare.go.kr
3. 저출산 고령사회 위원회 / https://www.betterfuture.go.kr
4. 육아정책연구소 / https://www.kicce.re.kr
5. KOSIS 국가통계포털 / https://www.kosis.kr
c. 도시 이미지 개선
물론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지원 정책들은 모두 필요한 부분들이며 구지 광주시뿐만이 아닌 전국적으로 시행되어야 하고 보장되어야 하는 사항들이라고 생각한다. 살기 좋고 행복한 광주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광주시에 대한 이미지부터 바꾸는 것이 필수라고 생각한다.
광주는 오랜 시간동안 정치적인 색깔이 강한 도시이다. 5/18 광주 민주화 사태를 비롯하여, 민주주의를 대표하는 김대중 대통령 등 영화 및 드라마 속에서도 광주는 정치적인 이미지로 많이 비춰지고 있다.
서울은 경제/문화/교육의 중심지, 세종은 행정도시이자 계획된 신도시, 부산은 첨단 해양도시 등 많은 특별시, 광역시 들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반면, 광주의 경우 시에서는 좋은 말들을 많이 홍보하려 하지만 아직까지는 모두가 수긍할만한 긍정적인 도시의 정체성이 없다고 생각한다.
최근 MBC의 예능 프로그램 “놀면 뭐하니”에서 당대 최고의 스타들인 유재석, 비, 이효리가 뭉쳐서 싹쓰리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관련된 첫 회가 방송된 이후부터 온갖 포털은 뜨겁게 달궈졌고, 시작과 동시에 성공을 예감하게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이미지의 힘이다. 스타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시작도 전에 기대를 하게 만든다.
광주시에서 어떤 지원 정책을 펼치고, 어떤 노력을 기울이더라도 젊은이들이 가지고 있는 광주시에 대한 이미지가 개선되지 않으면 보다 많은 인구유입 및 출산율 상승, 또한 출산 이후 지속적으로 정착하는 문화가 형성되기는 힘들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전라북도 및 전라남도의 주민들에게는 광주시는 대도시로써 매력이 충분하지만, 서울에서도 부산에서 살고 싶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은 있어도, 연고가 없다면 광주에서 살고 싶다는 사람은 극히 드물 것이다.
d. 지속적인 도시 홍보
도시의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거라 생각한다. 몇 년 또는 몇 십 년 동안 도시의 정체성을 찾기 위해 많은 정치인들과 전문가들, 또한 주민들이 함께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아무리 도시의 정체성을 찾았다고 하더라도 광주시 내에서만 그쳐서는 소용이 없다. 전국의 다른 지역에서 광주시의 변화된 이미지를 알게 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도시의 홍보활동 및 타 지역을 연계한 정책 또는 사업 등을 통해서 지속적인 홍보활동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광주 출신의 연예인들을 적극 활동하는 것도 방법이며, 미디어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최근 유행하는 TV의 관찰예능들에 살기 좋은, 아이 키우기 좋은 광주의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연예인인 이효리의 경우, 제주도에서 촬영한 ‘효리네 민박집’의 여파로 제주도의 땅값이 오를 정도로 어마어마한 파급력을 보여주었다. 몇 년 전 송일국과 3명의 아들이 출연했던 ‘슈퍼맨이 돌아왔다’ 방영 후 인천 송도신도시의 아파트 가격이 급속도로 올랐던 경우도 있다.
보다 창의적인 방법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광주시가 가지고 있는 정치적인 이미지는 쉽게 고쳐지지 않고, 또한 모두가 공감하는 정체성을 찾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 판단한다.
3. 결론
광주시의 결혼/출산/육아와 관련된 지원 정책은 타 지역과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준으로 나타난다.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 출산율을 높이고 아이들이 자라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데는 성공적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다만, 이러한 정책들은 현 상황에서 광주시라는 틀 안에서의 개선을 위한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벤치마킹을 위해서 본론에서 세종시를 예로 들은바 있다. 세종시를 선정한 이유는 단순히 세종시의 주민들이 만족도가 높아서가 아니다. 계획적으로 탄생한 신도시인 만큼, 또한 주요 정부 행정부가 있는 도시인만큼 생활수준 및 만족도, 기본적인 생활 여건(출산 및 육아여건 포함)이 만족스러울 것이다. 하지만, 더 중요한 이유는 세종시는 타 지역의 사람들의 유입에 굉장히 매력적인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점이다.
각 도시마다 산업적으로, 또한 정치적으로 고유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시도마다 각각의 전통이 있고, 특산물이 있고, 주요 산업이 있고 국가차원에서의 역할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전통을 바꿀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도시가 얼마나 매력적인 도시인가 하는 매력도는 노력을 통해서 끌어올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 낳아서 키우기 좋은 행복 광주 건설”이라는 목표를 정말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지원 정책들이 뒷받침 되는 상황에서, 한 걸을 더 나아가 다른 지역에서 봐도 이사 가서 살고 싶은, 매력적인 광주시의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저출산 시대, 해법을 찾아라 / 유레카 편집부 / 2019
2. 2018 유아교육-보육 통계 /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자료 2019-01
3. 광역시도별 경제활동 특성에 대한 연구 / 최윤기 저 / 산업연구원 / 2017
[참고기사]
1. 저출산 시대, 두 도시 이야기 / 경향신문 / 2020.06.29.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6271128001&code=940100
2. 함께 키우고 함께 행복한 광주, 아이 낳아 키우기 좋은 광주 만들기 본격 추진 / 파이낸스 투데이
http://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0061 / 2019.12.30.
3. 심층기획 - 눈덩이 현금복지 해부 / 세계일보 / 2019.12.05.
http://www.segye.com/newsView/20191204513639?OutUrl=naver
[참고사이트]
1. 광주광역시 홈페이지 / https://www.gwangju.go.kr
2.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 https://www.childcare.go.kr
3. 저출산 고령사회 위원회 / https://www.betterfuture.go.kr
4. 육아정책연구소 / https://www.kicce.re.kr
5. KOSIS 국가통계포털 / https://www.kosis.kr
추천자료
스마트 러브
입양에 대해서
입양의 자격요건 및 절차와 입양관련 정책 및 서비스
토론학습(토론식수업, 토의학습)의 정의, 토론학습(토론식수업, 토의학습) 접근방법, 토론학...
[유아 성교육][유아교육][유치원교육]유아 성교육의 목적, 유아 성교육의 중요성, 유아 성교...
[★★저출산 정책 변화와 저출산 해결방안★★]시대별 출산정책의 변화, 출산율 저하 현황, 출산...
경희
[전략경영] 전략경영의 의의, 전략적 사업단위, 전략적 도구와 전략의 유형, 전략적 제휴, 철...
성사랑사회 기말 2021 우리 사회의 저출산(저출생) 문제와 인구감소 현상의 양상과 이를 해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