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 자폐범주성 장애의 개념
2. 자폐범주성 장애의 언어적 특성
3. 교사로서 효과적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중재방법
결론
참고문헌
본론
1. 자폐범주성 장애의 개념
2. 자폐범주성 장애의 언어적 특성
3. 교사로서 효과적인 의사소통 지원을 위한 중재방법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화용언어에 대한 결함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적장애 아동의 경우, 일반아동과 비교해서 동일한 어휘연령을 보이지만 화용언어 능력 부분에서 어려움을 보이면서 사회적인 의사소통의 결함을 가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러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사회적 의사소통 결함은 다양한 장애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특성이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교사는 이러한 의사소통 결함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인쇄물이나 단어카드, 그룹수업, 동영상 등과 같이 다양한 컨텐츠와 교육을 통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컴퓨터를 활용한 중재방법 또한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의 개별적인 요구에 맞춰서 맞춤형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운드와 이미지 같은 다양한 시청각적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현재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은 그리 많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현시대를 반영하지 못한 중재 프로그램이 활용되면서 중재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되며,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개인마다 정도와 유형의 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에도 획일화된 중재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그 효과성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특수교사의 지속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또래와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회적인 맥락과 활동이 장애아동으로 하여금 관심과 흥미를 끌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자폐성장애 아동에게 통합 교육적 접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교사는 일반아동과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소통의 장을 마련해야하며, 그 안에서 자연스럽게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능력 발달할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이소현, 박은혜(2011).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김영태(2011).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손은헌(2009). 자폐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에 관한 연구: 한 낱말~두 낱말 수준, 세 낱말~네 낱말 수준의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정경희, 송병섭(2018).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에 관한 전문가들의 경험 및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Bishop, D. V. M. (2000).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a correlate of SLI, a distinct subgroup, or part of the autistic continuum? In L, B. Leonard & D. V. M Bishop(Eds.), Speech language impairments in children: causes,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and outcome(pp. 99-113).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Ⅳ. 참고문헌
이소현, 박은혜(2011). 특수아동교육. 학지사.
김영태(2011).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학지사.
손은헌(2009). 자폐성 장애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에 관한 연구: 한 낱말~두 낱말 수준, 세 낱말~네 낱말 수준의 비교.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정경희, 송병섭(2018). 사회적 의사소통장애 아동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및 콘텐츠에 관한 전문가들의 경험 및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Bishop, D. V. M. (2000). Pragmatic language impairment: a correlate of SLI, a distinct subgroup, or part of the autistic continuum? In L, B. Leonard & D. V. M Bishop(Eds.), Speech language impairments in children: causes, characteristics, intervention and outcome(pp. 99-113).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추천자료
그림교환의사소통체계의 교수단계 6가지와 자폐범주성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에...
아동발달 > 현재까지 개발되어 시행되어 온 자폐범주장애를 가진 아동들을 위한 의사소통 중...
자폐범주성 장애 아동에 대한 중재 및 치료방법 중 실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중재방법에...
언어발달장애의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 보완대체의사소통(aac)를 어떻게 사용 할 수 있을지 예...
자폐 범주성 장애아동의 언어발달 특성에 대해 기술하고, 어린이집 일과 안에서 자폐 범주성 ...
자폐범주성 장애의 언어적 특성을 설명하고 교사로서 어떻게 중재를 하면 효과적으로 의사소...
자페장그림교환의사 소통체계의 교수 단계 6가지와 자폐장애아동에게 적용 시 기대되는 효과 ...
정신건강론4)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에 발생할 수 있는 정신장애와 관련된 영화를 1편 감상...
자폐범주성 장애의 언어적 특성을 설명하고, 교사로서 어떻게 중재를 하면 효과적으로 의사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