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위한 연습 활동
문법에 대한 설명이 마무리되면 적용할 수 있는 예문이 나열된 연습 문제 학습지를 배부한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경우, 파생적 사동문과 통사적 사동문의 경우를 적절하게 섞어 문제지를 만든다. 예시는 주변에서 최대한 흔히 접할 수 있는 친근한 문장으로 구성한다. 학습지를 마무리하면 여러 팀을 구성해 팀마다 사동 표현이 들어간 간단한 역할극이 적힌 대본을 뽑는다. 그리고 대본에서 사동 표현을 찾아 주동표현으로 바꾸어보고 상황 이해를 위해 역할극을 이때 교사가 돌아다니며 각 팀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더딘 팀이 있으면 도움을 준다. 각자 만들어진 역할극을 직접 읽으면서 연기해보고, 혹시 발표하고 싶은 조가 있다면 발표시간을 가진다.
교사: 여러분, 지금까지 사동 표현을 공부해보았습니다. 다들 학습지 받으셨죠?
학생: 네.
교사: 학습지에 있는 문장을 사동문으로 바꾸는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사동문으로 바꾸고 주동문의 어떤 것이 사동문의 어떤 것으로 바뀌었는지도 써주세요. 어려우시면 조용히 손을 들어주세요. 바로 찾아가 도와드리겠습니다.
학생: 네.
(일정 시간 후)
교사: 모두 마치신 것 같네요. 그렇다면 이번 시간에는 역할극을 해보겠습니다. 부끄러워하실 것 없어요. 가까이 앉으신 분들끼리 팀을 이루어서 팀 안에서만 역할극을 할 예정입니다. 혹시라도 앞에 나와서 발표해주실 팀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세요. 함께 나누는 것도 큰 공부입니다. 먼저 제가 팀마다 종이를 뽑게 할 거예요. 여러분은 그 종이에 적힌 대본을 보고 사동 표현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주동문으로 고쳐주세요. 마지막으로 대본에 나오는 사람을 하나씩 골라서 연기하시면 됩니다. 어려우시면 바로 손들어주세요.
<대본 예시>
영희: 오늘 엄청나게 웃었어.
철수: 왜?
영희: 내가 오늘 본 글이 나를 웃겼거든.
철수: 그렇구나, 무슨 내용이었는데?
영수: 무슨 일이야? 나도 궁금해
<학습지 예시>
주어진 문장을 사동문으로 고치시오.
1. 담이 높다. (주어: 사람들이)
2. 우리 반이 영화를 보았다. (주어: 선생님이)
3. 아기가 울었다. (주어: 소희가)
…
학생: 네
3) 문법의 사용
다음 시간까지 일상생활에서 들었던 사동문을 5개 이상 적어오는 과제를 제시하여 문법 사용에 대한 생활화를 유도한다. 이때 찾은 사동문은 주동문으로 바꾸어보며, 사동문과 주동문의 차이점,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차이점 등을 스스로 탐색하도록 한다.
문법에 대한 설명이 마무리되면 적용할 수 있는 예문이 나열된 연습 문제 학습지를 배부한다. 자동사와 타동사의 경우, 파생적 사동문과 통사적 사동문의 경우를 적절하게 섞어 문제지를 만든다. 예시는 주변에서 최대한 흔히 접할 수 있는 친근한 문장으로 구성한다. 학습지를 마무리하면 여러 팀을 구성해 팀마다 사동 표현이 들어간 간단한 역할극이 적힌 대본을 뽑는다. 그리고 대본에서 사동 표현을 찾아 주동표현으로 바꾸어보고 상황 이해를 위해 역할극을 이때 교사가 돌아다니며 각 팀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고 더딘 팀이 있으면 도움을 준다. 각자 만들어진 역할극을 직접 읽으면서 연기해보고, 혹시 발표하고 싶은 조가 있다면 발표시간을 가진다.
교사: 여러분, 지금까지 사동 표현을 공부해보았습니다. 다들 학습지 받으셨죠?
학생: 네.
교사: 학습지에 있는 문장을 사동문으로 바꾸는 연습을 해보겠습니다. 사동문으로 바꾸고 주동문의 어떤 것이 사동문의 어떤 것으로 바뀌었는지도 써주세요. 어려우시면 조용히 손을 들어주세요. 바로 찾아가 도와드리겠습니다.
학생: 네.
(일정 시간 후)
교사: 모두 마치신 것 같네요. 그렇다면 이번 시간에는 역할극을 해보겠습니다. 부끄러워하실 것 없어요. 가까이 앉으신 분들끼리 팀을 이루어서 팀 안에서만 역할극을 할 예정입니다. 혹시라도 앞에 나와서 발표해주실 팀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세요. 함께 나누는 것도 큰 공부입니다. 먼저 제가 팀마다 종이를 뽑게 할 거예요. 여러분은 그 종이에 적힌 대본을 보고 사동 표현을 찾아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주동문으로 고쳐주세요. 마지막으로 대본에 나오는 사람을 하나씩 골라서 연기하시면 됩니다. 어려우시면 바로 손들어주세요.
<대본 예시>
영희: 오늘 엄청나게 웃었어.
철수: 왜?
영희: 내가 오늘 본 글이 나를 웃겼거든.
철수: 그렇구나, 무슨 내용이었는데?
영수: 무슨 일이야? 나도 궁금해
<학습지 예시>
주어진 문장을 사동문으로 고치시오.
1. 담이 높다. (주어: 사람들이)
2. 우리 반이 영화를 보았다. (주어: 선생님이)
3. 아기가 울었다. (주어: 소희가)
…
학생: 네
3) 문법의 사용
다음 시간까지 일상생활에서 들었던 사동문을 5개 이상 적어오는 과제를 제시하여 문법 사용에 대한 생활화를 유도한다. 이때 찾은 사동문은 주동문으로 바꾸어보며, 사동문과 주동문의 차이점, 단형 사동과 장형 사동의 차이점 등을 스스로 탐색하도록 한다.
추천자료
피동과 사동
인도네시아어를 중심으로 한 제 3국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상의 오류와 수정 방안
[국문학개론]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교육의 현황과 개선 방안,한국어 교육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연결어미 교육 방안 연구 - 연결어...
언어학의 이해 - 보조용언-정의적 의미문법적 특징다양한 종류교육적 접근 방법
[한국어학개론]사동표현과 피동표현에 대해 설명과 학습자에게 어떻게 교수할지 교수방안(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학개론)사동표현과 피동표현에 대해 설명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어떻게 교...
읽기 평가 문항의 문항 분석 및 문제점 분석 및 개선책(한국어능력평가론)
한국어평가론 - 시험문제지 및 평가 세부계획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