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돼 있어 이를 알려주는 웹과 애플리케이션까지 등장했다. 2020년 청소년기본법이 제정되면서 연령 중복 문제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청년기본법상 청년은 만 19~34세로 청년기(만 9~24세)와 청년기본법상 만 19~24세가 겹친다. 기존에는 아동복지법상 만 9세부터 만 18세 미만까지 아동·청소년이 중복됐지만, 중복 문제는 10대 후반~20대 초반으로 확대됐다. 일관된 용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법 개정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역연령을 통해 확인된 상황에서 아동·청소년을 법적으로 규정하는 노력이 필요해 보인다. 동시에 적어도 정책추진체계는 상반기에 한 부처가 담당할 필요가 있다. 이 역시 어려운 과정이지만, 장기적으로 연령 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법은 정책 추진 시스템의 통합에서도 찾을 수 있다.
추천자료
[아동][아동인권][아동발달][아동 권리보장]아동의 연령적 구분, 아동의 특성, 아동인권 관련...
청소년의 개념과 정의 및 법률상의 청소년 구분
우리나라의 장애인 복지제도의 변천과정과 장애인 관련 법률을 서술 [변천과정]
생활법률문제 = 1혼인과 이혼의 법적 효력에 관하여 서술하시오 외 5건
[법학과 4학년] 사회보장법에 관한 기본교재에서 다음 법률 용어의 뜻을 찾아 쓰시오. (30점)
아동복지 관련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와 연령구분이 실제적인 법 적용과정에서 문제를 ...
아동복지 관련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와 연령구분이 실제적인 법 적용과정에서 문제를 ...
(아동 청소년과미디어 2학년) 아동과 청소년의 정의는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여러 자...
아동복지론_아동복지 관련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와 연령구분이 실제적인 법 적용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