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인력의 외부 영입과 내부 육성
(1) 외부 영입
(2) 내부 육성
2) 구글의 사례
(1) 기업의 제품
(2) 기업의 구조와 문화
(3) 구글에 적합한 인력유동 시스템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인력의 외부 영입과 내부 육성
(1) 외부 영입
(2) 내부 육성
2) 구글의 사례
(1) 기업의 제품
(2) 기업의 구조와 문화
(3) 구글에 적합한 인력유동 시스템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믿음 때문이다(Breen & Hamel, 2007).
(3) 구글에 적합한 인력유동 시스템
IT 개발 분야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빠른 기술발전에 대응하는 전문적 인재가 필요한 곳이다. 또한 조직 문화가 수평적이며 팀제로 구성된 조직원들이 각자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직무 중심적인 업무 방식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 육성을 통해 인재를 키우기보다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 기술과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온 외부 인재를 영입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실제로 구글은 실무형 인재를 상시 선발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예컨대 매년 구글이 주최하는 코드잼(Google Code Jam) 행사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 대회로 전세계에서 참가자들의 신청을 받아 상위에 랭크된 우승자에게 구글의 프로젝트 팀에 참여할 기회를 부여한다. 특히 아마존, 페이스북 등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구글은 전공에 상관없이 채용 기회를 주며, 국내외 대학들과 MOU를 맺어 인재를 사전에 확보하기도 한다.
3. 결론
정리해보면 조직의 급속한 변화보다는 사업의 안정적인 운영과 지속이 중요하거나, 특별한 위기가 없고 현재의 전략이 견고하며 회사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산업에 대한 전문적인 경험과 회사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경우, 내부 구성원에게 성장에 대한 희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한 시기에는 내부에서 육성한 인력을 활용하는 정책이 외부 영입에 비해 효과적일 수 있다(최병권, 2012). 반면 조직 전략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경우, 구성원들이 내부 리더를 불신하는 경우, 내부 인력으로는 새로운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업 포트폴리오나 시장/산업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경우 외부에서 인재를 영입하는 정책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최병권, 2012).
4. 참고문헌
김현주 & 정혜연. (2009).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도전. POSRI CEO Report.
이경묵 & 윤현중. (2007). 경쟁환경, 기술변화,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강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36(5), 1259-1294.
최병권. (2012). 영입 or 육성: 외부인 같은 내부인도 필요하다. 동아비즈니스리뷰. 101(2).
Breen, B & Hamel, G. (2007). The future of management.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4(3), 232-239.
(3) 구글에 적합한 인력유동 시스템
IT 개발 분야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빠른 기술발전에 대응하는 전문적 인재가 필요한 곳이다. 또한 조직 문화가 수평적이며 팀제로 구성된 조직원들이 각자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직무 중심적인 업무 방식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 육성을 통해 인재를 키우기보다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서 기술과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온 외부 인재를 영입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실제로 구글은 실무형 인재를 상시 선발하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예컨대 매년 구글이 주최하는 코드잼(Google Code Jam) 행사는 알고리즘 문제 풀이 대회로 전세계에서 참가자들의 신청을 받아 상위에 랭크된 우승자에게 구글의 프로젝트 팀에 참여할 기회를 부여한다. 특히 아마존, 페이스북 등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구글은 전공에 상관없이 채용 기회를 주며, 국내외 대학들과 MOU를 맺어 인재를 사전에 확보하기도 한다.
3. 결론
정리해보면 조직의 급속한 변화보다는 사업의 안정적인 운영과 지속이 중요하거나, 특별한 위기가 없고 현재의 전략이 견고하며 회사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산업에 대한 전문적인 경험과 회사 문화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경우, 내부 구성원에게 성장에 대한 희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한 시기에는 내부에서 육성한 인력을 활용하는 정책이 외부 영입에 비해 효과적일 수 있다(최병권, 2012). 반면 조직 전략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경우, 구성원들이 내부 리더를 불신하는 경우, 내부 인력으로는 새로운 변화를 이끌기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 사업 포트폴리오나 시장/산업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하는 경우 외부에서 인재를 영입하는 정책을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이다(최병권, 2012).
4. 참고문헌
김현주 & 정혜연. (2009).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기업들의 도전. POSRI CEO Report.
이경묵 & 윤현중. (2007). 경쟁환경, 기술변화, 경쟁전략과 핵심인재관리 강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경영학연구, 36(5), 1259-1294.
최병권. (2012). 영입 or 육성: 외부인 같은 내부인도 필요하다. 동아비즈니스리뷰. 101(2).
Breen, B & Hamel, G. (2007). The future of management.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4(3), 232-239.
추천자료
금강산관광의 현실태 및 개선방안과 결론도출
평생교육방법론3공통)평생교육의 개념 기술, 평생교육의 대상과 내용에는 어떠한 것들이 포함...
도시교통 도시환경 {도시교통이 도시환경의 영향, 교통수요분석, 회전교차로의 교통사고의 관...
2016년 2학기 아동복지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UN의 아동권리협약의 개념)
인력의 외부 영입과 내부 육성의 장단점을 논하고 특정 기업을 지정하여 기업의 제품 구조 문...
전략적간호관리) 1 간호사의 이직에 미치는 요인 이직은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간호...
인력개발과 활용 ) 인력의 외부 영입과 내부 육성의 장단점을 논하고, 특정 기업을 지정하여 ...
인력의 외부 영입과 내부 육성의 장단점을 논하고, 특정 기업을 지정하여 기업의 제품, 구조,...
[인력개발과활용]인력의 외부 영입과 내부 육성의 장단점을 논하고, 특정 기업을 지정하여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