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3가지 실천모델
1) 지역사회개발(Local/Community Development) 모델
2) 사회계획(Social Planning) 모델
3) 사회행동(Social Action) 모델
2.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개요
3.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장단점
1) 모델의 장점
2) 모델의 단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서론
Ⅱ.
본론
1.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3가지 실천모델
1) 지역사회개발(Local/Community Development) 모델
2) 사회계획(Social Planning) 모델
3) 사회행동(Social Action) 모델
2.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개요
3. 지역사회개발 모델의 장단점
1) 모델의 장점
2) 모델의 단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문가가 직접 책임을 지고 과업을 수행하는 것과 누군가가 과업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큰 차이점이 있다. 잘못된 결과에 대해 사회복지사는 책임회피를 하거나, 구성원들이 사회복지사가 책임이 없다고 역할을 다하지 않았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전문가(사회복지사)의 책임과 역할이 보다 강화되어야 더욱 좋은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다섯 번째로, 외부와의 연계에 대한 제한이 존재한다.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기능하는 지역사회를 상정하고 구성원의 자조적 활동, 자발성, 역량의 증진, 내부 구성원 간의 관계 형성 등을 중요한 요소로 다루지만, 외부단체들로부터 재정적기술적 지원을 받아 전개하기 때문에 딜레마를 가져올 수 있다.
III. 결론
UN은 1995년에 지역사회개발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와 지역사회 구성원이 가능한 한 최대한의 주도권을 발휘하여 지역사회의 경제적사회적 조건을 향상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지역사회개발 모델을 주로 살펴보았지만, 로스만은 총 세 세지 종류의 모델을 정의하였다. 이는 각각의 모델이 완벽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각의 지역사회에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복지를 실천해야 한다는 뜻으로 이해한다. 위 본문에서 다루었듯이 한국은 사회계획 실천모델을 기반으로 복지를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계획 모델도 완벽하지는 않고, 현재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모델이기 때문에 적용되고 있다.
로스만 이후에도 테일러와 로버츠, 웨일과 도박 등이 지속해서 실천모델에 대해 보완할 수 있는 이론을 내놓았다. 결국, 지역사회 복지실천에 있어서 모두에게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구성원에 적합한 모델을 활용하여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Ⅳ. 참고 문헌
1. 지역사회복지 실천 이론의 적용과 모형화 실태 / 최옥채 / 2005 / 한국사회복지학회
2.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로서의 협동조합 운동 / 지규옥 / 2015 / 사회복지정책 2015년 42권 1호
3. 풀어쓴 사회복지실천기술 / 최선화 / 2020 / 공동체
4. 사회복지 실천과 사례 관리 / 임원선 / 2019 / 학지사
[참고 사이트]
1. 한국사회복지학회 : https://kasw.org/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http://www.welfare.net/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https://www.bokji.net/
다섯 번째로, 외부와의 연계에 대한 제한이 존재한다. 능동적이고 자발적으로 기능하는 지역사회를 상정하고 구성원의 자조적 활동, 자발성, 역량의 증진, 내부 구성원 간의 관계 형성 등을 중요한 요소로 다루지만, 외부단체들로부터 재정적기술적 지원을 받아 전개하기 때문에 딜레마를 가져올 수 있다.
III. 결론
UN은 1995년에 지역사회개발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적극적 참여와 지역사회 구성원이 가능한 한 최대한의 주도권을 발휘하여 지역사회의 경제적사회적 조건을 향상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정의하였다. 지역사회개발 모델을 주로 살펴보았지만, 로스만은 총 세 세지 종류의 모델을 정의하였다. 이는 각각의 모델이 완벽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각각의 지역사회에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복지를 실천해야 한다는 뜻으로 이해한다. 위 본문에서 다루었듯이 한국은 사회계획 실천모델을 기반으로 복지를 실천하고 있다. 하지만 사회계획 모델도 완벽하지는 않고, 현재의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모델이기 때문에 적용되고 있다.
로스만 이후에도 테일러와 로버츠, 웨일과 도박 등이 지속해서 실천모델에 대해 보완할 수 있는 이론을 내놓았다. 결국, 지역사회 복지실천에 있어서 모두에게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하나의 정답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구성원에 적합한 모델을 활용하여 사회복지를 실천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Ⅳ. 참고 문헌
1. 지역사회복지 실천 이론의 적용과 모형화 실태 / 최옥채 / 2005 / 한국사회복지학회
2.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로서의 협동조합 운동 / 지규옥 / 2015 / 사회복지정책 2015년 42권 1호
3. 풀어쓴 사회복지실천기술 / 최선화 / 2020 / 공동체
4. 사회복지 실천과 사례 관리 / 임원선 / 2019 / 학지사
[참고 사이트]
1. 한국사회복지학회 : https://kasw.org/
2. 한국사회복지사협회 : http://www.welfare.net/
3. 한국사회복지협의회 : https://www.bokji.net/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론] 21세기 지역사회복지의 이념 기술, 한가지를 선택하여 사례 제시후 로스만...
[지역사회복지론 공통] 우선 지역사회복지실천의 과정을 교재 제5장에 소개된 네 단계(문제확...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을 적용한 거주지역의 적절한 모델에 대한 의견
[지역사회복지론]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장단점을 논하시오 ...
[지역사회복지론]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장단점을 논하시오 ...
[지역사회복지론] 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장단점을 논하시오 ...
사회복지세미나 ) 1) 각 영역별 10문제씩 총 50문제 만들어보기 인간행동과 사회환경(10)
지역사회복지실천에 구조기능론을 적용함에 있어서 장단점에 대해 논하시오
지역사회복지론_로스만의 지역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장단점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