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라고 표현하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이제 우리는 우리 사회에서 더 이상의 장애인을 만들지 않도록, 장애가 불편함이 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려면 우리 사회가 그리고 그 구성원들의 시선이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장애는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문제로 보는 시간을 가져야 하며, 그 책임도 우리 사회와 국가에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장애를 사회와 국가의 책임으로 인식하기 시작한다면 그 해결책도 달라지기 시작할 것이다.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이 장애를 장애로 여기지 않도록 하는 노력으로는 청각을 손실한 사람을 위한 수화 배워 수화 사용하기, 다리가 불편한 사람을 위한 도로나 대중교통의 해결점 찾기, 시각 손실한 사람을 위한 점자나 음성지원과 같은 제안들이 있을 것이다. 더이상 장애인들을 돌봄의 대상이나 지원의 대상으로 보는 것이 아닌 사회 구성원으로서 충분히 기능하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할 일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장애에 대한 개념 정리는 특수교육학 전공자로서 앞으로 특수교육에 적용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참고문헌
노라 엘렌 그로스(2003),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한길사.
※ 참고문헌
노라 엘렌 그로스(2003), 『마서즈 비니어드 섬 사람들은 수화로 말한다』, 한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