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기독교적 문화
(2) 기독교가 한국사회와 문화에 끼친 영향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기독교적 문화
(2) 기독교가 한국사회와 문화에 끼친 영향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교적 비판을 받고 있다. 더불어 우상숭배의 금지는 타종교에 대한 이해 및 배려를 파괴하면서, 특히 불교에서 부처님에게 절을 올리는 행위는 전형적인 우상숭배라고 비판하여 이러한 기독교계와 불교계의 갈등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도 했다. 필자 역시 유년시절에 친구의 소개로 교회에 간 적이 있지만, 불교를 우상숭배의 종교로 몰아가면서 불교를 극단적으로 비판하는 언행에 환멸을 느끼고 그 이후로는 교회에 방문한 적이 없던 슬픈 경험이 있다. 이러한 경험은 필자 이외의 한국인 대부분이 유년시절에 경험했을 것이다. 한국사회는 한 종교만을 믿는 사회가 아닌 다종교사회로서 타종교에 대한 열린 생각과 자세가 필요한 사회이다. 그러나, 기독교에서는 극단적인 기독교 교리를 강조하여 타종교에 대한 배척을 통해 자신들만의 특수한 기독교 문화를 형성하여 많은 한국인의 비난을 받고 있다. 물론, 기독교계 내에서도 이러한 비판을 수렴하여 자정활동을 하고 있다고 하나. 아직 부족하며 이에 기독교계는 종교적 거울을 보면서 스스로를 반성하고 종교로서 사회적 기능을 현실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3.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유입되어 한국사회와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했다. 기독교 역시 종교로서 그 사회적 기능을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지나치게 폐쇄적인 기독교적 가치관을 타인에게 강조할 것 아니라, 타종교에 대한 열린 자세와 더불어 기독교에 대한 냉철한 비판을 수용하여 이를 개선해야 한다. 또한, 기독교가 한국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거만함에 빠져서 독단적인 비윤리적인 언행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작년에 발생한 신천지 교회의 사건일 것이다. 이러한 극단적인 기독교의 활동은 본연의 기독교적 가치관을 훼손하는 것으로 다양화된 사회인 현대사회의 진보적 가치관에 상반된 것이라고 보고, 기독교는 자신만의 기독교적 가치관에서 탈피하여 열린 시선으로 세상을 바로 보려는 사회적 움직임을 실천해야 한다.
4. 참고문헌
- 한균자 외 14인 공저, 「한국사회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 화원 : 서울, 2017
- 김안식 저, ‘양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독교 문화적 관점에서의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12
- 양상철 저,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문화’,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 학원 : 경기도, 2009
3. 결론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기독교가 한국사회에 유입되어 한국사회와 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했다. 기독교 역시 종교로서 그 사회적 기능을 성실히 수행해야 한다는 측면에서 지나치게 폐쇄적인 기독교적 가치관을 타인에게 강조할 것 아니라, 타종교에 대한 열린 자세와 더불어 기독교에 대한 냉철한 비판을 수용하여 이를 개선해야 한다. 또한, 기독교가 한국사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거만함에 빠져서 독단적인 비윤리적인 언행을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작년에 발생한 신천지 교회의 사건일 것이다. 이러한 극단적인 기독교의 활동은 본연의 기독교적 가치관을 훼손하는 것으로 다양화된 사회인 현대사회의 진보적 가치관에 상반된 것이라고 보고, 기독교는 자신만의 기독교적 가치관에서 탈피하여 열린 시선으로 세상을 바로 보려는 사회적 움직임을 실천해야 한다.
4. 참고문헌
- 한균자 외 14인 공저, 「한국사회문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 화원 : 서울, 2017
- 김안식 저, ‘양육프로그램에 대한 기독교 문화적 관점에서의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 서울, 2012
- 양상철 저, ‘포스트모던시대의 기독교문화’,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 학원 : 경기도, 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