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한국불교의 의의
Ⅲ. 한국불교의 문화
Ⅳ. 한국불교의 법사제도
Ⅴ. 한국불교의 종교갈등
Ⅵ. 한국불교의 과제
1. 민족의현실과불교 - 민주화인간화에의 기여
2. 통일과불교
Ⅶ. 한국불교의 비판
Ⅷ. 결론
참고문헌
Ⅱ. 한국불교의 의의
Ⅲ. 한국불교의 문화
Ⅳ. 한국불교의 법사제도
Ⅴ. 한국불교의 종교갈등
Ⅵ. 한국불교의 과제
1. 민족의현실과불교 - 민주화인간화에의 기여
2. 통일과불교
Ⅶ. 한국불교의 비판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4)으로는 좋을지 모르나 ‘國民一般의 宗敎’(기독신보, 金鍾弼 1925.1.14)가 될 자격은 없게 된다. 요컨대 불교는 “이타적인 것보다 오히려 이기적인 것에 관심”(Underwood 1908(1989):77)을 두는 ‘개인주의’라는 것이다.
이처럼 불교를 주관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신앙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불교를 ‘인간본위’의 종교로 판단하고 있는데서 연유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제는 ‘人間中心的 現實本位의 宗敎’인 불교와 ‘神中心的 現實의 宗敎’인 기독교 사이의 ‘妥協的 中間物’은 容納할 수 없다는 논리로 귀결된다.(기독신보, 李龍大 1935.4.17) 이와 관련하여 윤회설처럼 구체적인 불교교리에 대한 비판도 행해지고 있다. 즉 “前生論과 畜生輪廻說은 空想的이며 認定키 難한 것”(기독신보, 申鉉彰 1934.8.1)이며, “人生이 罪惡으로 因하야 永罰을 受함은 可也어니와 畜生還生은 無理”(기독신보, 申鉉彰 1934.8.1)라고 하면서 불교의 핵심교리를 비판하고 있다.
한편 불교의 교리는 너무 ‘高遠難行’하기 때문에 ‘히말라야산을 처다보는 격’(신학지남, 蔡弼近 1930.12권 3호)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불교가 ‘時代的 要求’에 應하기 위하여서는 ‘現實的인 實在論的 立場’에 근거한 ‘平易한 時代的 이데올로기’를 제조하여야만 한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이것은 역설적으로 ‘反佛敎的’인 理論을 再建하는 방향으로 귀결되기 때문에 여기에 불교의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신학세계, 論壇 1935.20권 2호)
개신교는 유교가 불교를 비판하였던 전통적인 논리도 차용하여 불교비판을 행한다. 곧 불교는 “人間社會와 關係를 絶고 南無阿彌陀佛로 極樂地獄說에 沈淪”(기독신보, 崔尙鉉 1922.2.8)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는 불교가 가정과 사회를 버리고 염불과 참선 공부만을 강조하는 종교로서 이 세상의 ‘륜상’과 ‘인죵’을 파멸시킬 수 있는 반윤리성과 반사회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불교에 대한 개신교의 비판논리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불교의 ‘철학화’이고 다른 하나는 불교의 ‘미신화’이다. 불교의 ‘철학화’란 불교에 인격적 신이 결여된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불교는 철학에 머물 뿐 종교로서의 자격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하는 것이고, 불교의 ‘미신화’란 민간신앙과 습합된 불교의 성격을 부각시킴으로써 불교는 종교로서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잡신숭배’ 또는 ‘우상숭배’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개신교가 유교를 종교가 아니라 하나의 ‘윤리’로 규정하는 동시에 조상숭배를 ‘미신’으로 규정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시 말해 개신교는 유교와 불교 모두를 지적 전통(elite tradition)과 민간전통(popular tradition)으로 분리하여 지적 전통에 대해서는 ‘윤리’ 내지 ‘철학’이라고 명명하는 동시에, 민간전통에 대해서는 ‘우상숭배’ 내지 ‘미신’으로 규정함으로써, 두 종교를 사실상 모두 ‘종교’의 영역에서 배제시키고 있는 것이다.
Ⅷ. 결론
우리의 종교 생활에 크게 영향을 끼친 근세 이전의 또 하나의 종교로는 불교를 들 수 있다. 근세 이전의 종교의 특징은 현대에 와서는 종교로서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삶 그 자체에서 어우러져 있는 모습이 더욱더 역력한 것에 비한다면 불교는 그 모습이 종교로서의 형태가 유지되고 보전되어가고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근본은 인도에서 찾을 수 있는데 고대 인도의 브라만 제도에 의한 신분제도였던 카스트 제도에 대항한 종교라고도 할 수 있는 불교는 현대에도 여전히 아시아권에서는 그 영향력이 커다란 고등종교로서 평가받고 있다. 워낙 종교가 널리 유포되다 보니 지금은 그 종파라든지 “부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방법 등의 나름대로의 차이점과 수행하는 방법간의 차이로 인해 많이 세분화되어 갈라져 있는 상태이지만 그 기본의 가르침인 “자비”는 어느 나라를 가던지 존재하고 있다. 인도인들은 카스트 제도에 의해 대부분의 다수를 차지하던 하위층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종교로 그만큼 인도인들의 괴로운 현세를 이해하고 아름다운 내세를 약속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그러한 것을 바라고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으며 불교의 가르침인 평등이 올 때까지 윤회를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열심히 정진해서 윤회하는 것을 벗어나 해탈의 길로 접어들면 영원한 고통에서부터 벗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이 바탕이 되는 불교이지만 이것이 중국에 수용될 때는 나름대로의 중국적 색채에 물이 들었었고 ,중국의 물이 든 불교가 우리 나라에 전래되었을 때도 우리의 토속신앙인 토테미즘과 샤머니즘이 어우러져서 우리 특유의 불교가 탄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아직까지 우리 나라의 웬만한 사찰에 가보면 산신당이 있고 칠성당이 있는데(절에서 멀찌감치 한곳에 마련되어 있음이 대부분이다.)이것은 무속적인 영향이 불교에 미친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리민족의 삶과 종교와 문화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끼쳐온 조류로 근세 이전의 것으로서 네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현대에 와서는 이것들과 더불어서 근세에 우리 나라에서부터 비롯된 민족종교들과(이것들은 우리 나라가 일제 식민지하에 있을 때 그것을 딛고 일어서기 위한 디딤돌이 되었고, 의식의 전파와 문맹을 물리침으로 인해서 우리 민족을 “아는 민족”이 되게 하는데 커다란 구실이 되었으며 자주정신과 민족 해방의 정신을 고취시켜 주었다.) 그 후에 서구 문물과 함께 전래된 천주교와 개신교들이 앞의 네 가지의 조류와 합세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참고문헌
마성, 21세기와 불교 : 한국불교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동국대학교 석림회, 2000
명법,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 2010
박세일, 국가선진화와 한국불교의 역할,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 2009
배금란, 한국불교문화 체험의 현대적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2011
유승무, 참여불교의 관점에서 바라본 갈등시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불교학연구회, 2009
최종고, 한국불교의 호국사상과 정치의의, 불교사상사, 1974
이처럼 불교를 주관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인 신앙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불교를 ‘인간본위’의 종교로 판단하고 있는데서 연유한다. 그리고 이러한 전제는 ‘人間中心的 現實本位의 宗敎’인 불교와 ‘神中心的 現實의 宗敎’인 기독교 사이의 ‘妥協的 中間物’은 容納할 수 없다는 논리로 귀결된다.(기독신보, 李龍大 1935.4.17) 이와 관련하여 윤회설처럼 구체적인 불교교리에 대한 비판도 행해지고 있다. 즉 “前生論과 畜生輪廻說은 空想的이며 認定키 難한 것”(기독신보, 申鉉彰 1934.8.1)이며, “人生이 罪惡으로 因하야 永罰을 受함은 可也어니와 畜生還生은 無理”(기독신보, 申鉉彰 1934.8.1)라고 하면서 불교의 핵심교리를 비판하고 있다.
한편 불교의 교리는 너무 ‘高遠難行’하기 때문에 ‘히말라야산을 처다보는 격’(신학지남, 蔡弼近 1930.12권 3호)이라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따라서 불교가 ‘時代的 要求’에 應하기 위하여서는 ‘現實的인 實在論的 立場’에 근거한 ‘平易한 時代的 이데올로기’를 제조하여야만 한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이것은 역설적으로 ‘反佛敎的’인 理論을 再建하는 방향으로 귀결되기 때문에 여기에 불교의 근본적인 한계가 존재한다는 것이다(신학세계, 論壇 1935.20권 2호)
개신교는 유교가 불교를 비판하였던 전통적인 논리도 차용하여 불교비판을 행한다. 곧 불교는 “人間社會와 關係를 絶고 南無阿彌陀佛로 極樂地獄說에 沈淪”(기독신보, 崔尙鉉 1922.2.8)할 뿐이라는 것이다. 이는 불교가 가정과 사회를 버리고 염불과 참선 공부만을 강조하는 종교로서 이 세상의 ‘륜상’과 ‘인죵’을 파멸시킬 수 있는 반윤리성과 반사회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불교에 대한 개신교의 비판논리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나는 불교의 ‘철학화’이고 다른 하나는 불교의 ‘미신화’이다. 불교의 ‘철학화’란 불교에 인격적 신이 결여된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불교는 철학에 머물 뿐 종교로서의 자격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비판하는 것이고, 불교의 ‘미신화’란 민간신앙과 습합된 불교의 성격을 부각시킴으로써 불교는 종교로서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잡신숭배’ 또는 ‘우상숭배’임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는 개신교가 유교를 종교가 아니라 하나의 ‘윤리’로 규정하는 동시에 조상숭배를 ‘미신’으로 규정하는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다시 말해 개신교는 유교와 불교 모두를 지적 전통(elite tradition)과 민간전통(popular tradition)으로 분리하여 지적 전통에 대해서는 ‘윤리’ 내지 ‘철학’이라고 명명하는 동시에, 민간전통에 대해서는 ‘우상숭배’ 내지 ‘미신’으로 규정함으로써, 두 종교를 사실상 모두 ‘종교’의 영역에서 배제시키고 있는 것이다.
Ⅷ. 결론
우리의 종교 생활에 크게 영향을 끼친 근세 이전의 또 하나의 종교로는 불교를 들 수 있다. 근세 이전의 종교의 특징은 현대에 와서는 종교로서의 역할보다는 오히려 삶 그 자체에서 어우러져 있는 모습이 더욱더 역력한 것에 비한다면 불교는 그 모습이 종교로서의 형태가 유지되고 보전되어가고 있는 유일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근본은 인도에서 찾을 수 있는데 고대 인도의 브라만 제도에 의한 신분제도였던 카스트 제도에 대항한 종교라고도 할 수 있는 불교는 현대에도 여전히 아시아권에서는 그 영향력이 커다란 고등종교로서 평가받고 있다. 워낙 종교가 널리 유포되다 보니 지금은 그 종파라든지 “부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방법 등의 나름대로의 차이점과 수행하는 방법간의 차이로 인해 많이 세분화되어 갈라져 있는 상태이지만 그 기본의 가르침인 “자비”는 어느 나라를 가던지 존재하고 있다. 인도인들은 카스트 제도에 의해 대부분의 다수를 차지하던 하위층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았던 종교로 그만큼 인도인들의 괴로운 현세를 이해하고 아름다운 내세를 약속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인도인들은 그러한 것을 바라고 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으며 불교의 가르침인 평등이 올 때까지 윤회를 받아들인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열심히 정진해서 윤회하는 것을 벗어나 해탈의 길로 접어들면 영원한 고통에서부터 벗어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러한 사상이 바탕이 되는 불교이지만 이것이 중국에 수용될 때는 나름대로의 중국적 색채에 물이 들었었고 ,중국의 물이 든 불교가 우리 나라에 전래되었을 때도 우리의 토속신앙인 토테미즘과 샤머니즘이 어우러져서 우리 특유의 불교가 탄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아직까지 우리 나라의 웬만한 사찰에 가보면 산신당이 있고 칠성당이 있는데(절에서 멀찌감치 한곳에 마련되어 있음이 대부분이다.)이것은 무속적인 영향이 불교에 미친것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우리민족의 삶과 종교와 문화에까지 커다란 영향을 끼쳐온 조류로 근세 이전의 것으로서 네 가지를 들 수 있는데, 현대에 와서는 이것들과 더불어서 근세에 우리 나라에서부터 비롯된 민족종교들과(이것들은 우리 나라가 일제 식민지하에 있을 때 그것을 딛고 일어서기 위한 디딤돌이 되었고, 의식의 전파와 문맹을 물리침으로 인해서 우리 민족을 “아는 민족”이 되게 하는데 커다란 구실이 되었으며 자주정신과 민족 해방의 정신을 고취시켜 주었다.) 그 후에 서구 문물과 함께 전래된 천주교와 개신교들이 앞의 네 가지의 조류와 합세하여 현대를 살아가는 한국인들의 생활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참고문헌
마성, 21세기와 불교 : 한국불교의 문제점과 그 개선 방안, 동국대학교 석림회, 2000
명법,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 2010
박세일, 국가선진화와 한국불교의 역할,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 2009
배금란, 한국불교문화 체험의 현대적 양상 연구, 서울대학교, 2011
유승무, 참여불교의 관점에서 바라본 갈등시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불교학연구회, 2009
최종고, 한국불교의 호국사상과 정치의의, 불교사상사, 1974
추천자료
한국교회의 목회구조가 만들어내고 있는 목회적 갈등
[지역갈등] 한국사회 지역갈등의 원인과 문제점 및 바람직한 지역갈등 해소 방안
[민속학]한국 민속놀이와 종교,설화사례를 통한 성문화 고찰
한국기업의 노사갈등원인과 노사문화
MD(Missile Defense)에 따른 미․중간의 군사적 갈등과 한국의 군사안보
2013년 주요 이슈요약 (종교인과세,게임규제,이마트노조,기초연금,국정원,용산개발,진주의료...
현재 한국사회에서 주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회문제 가운데 하나를 골라 그것의 원인과 결과...
[주일학교교육론]주일학교 교육의 역사 - 구약시대, 신약시대, 초대교회, 중세와 종교개혁시...
[한국기독교]무엇이 개신교를 떠나게 하는가 - 개신교 안에의 문제, 목회자의 문제, 교인 확...
[한국교육의 갈등구조] 제1장 한국 교육의 문제 인식
[한국교육의 갈등 구조] 제1장 한국교육의 문제인식
러시아 탐방 [역사와 정치제도, 경제력과 주력산업, 종교와 민족문제, 문화와 관광명소 (음악...
★ 사회학개론 - 현재 한국사회에서 주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회문제 가운데 하나를 골라(예 ...
최근 들어 한국에서 소수자의 권리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