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구약시대
3. 신약 시대
4. 초대교회
5. 중세와 종교개혁시대
6. 근세의 주일학교 교육시대
7. 한국에서의 주일학교
2. 구약시대
3. 신약 시대
4. 초대교회
5. 중세와 종교개혁시대
6. 근세의 주일학교 교육시대
7. 한국에서의 주일학교
본문내용
의 기초가 되는 국민교육의 터를 놓았다.
② 성서를 모국어로 변역하여 누구나 읽게 하였다.
③ 특권 계층만 실시했던 교육을 보편화하여 남녀 빈부귀천 누구나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 교육은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권리요, 의무임을 강조하였다.
④ 도시마다 공립학교를 설립하였다.
이런 주장은 즉시 실현된 것은 아니지만 종교개혁이 진전됨에 따라 교육이 수반되었다.
6. 근세의 주일학교 교육시대
종교개혁이후 기독교교육은 크게 발전하게 된다. 근세 기독교 교육은 주일학교 교육운동이 핵심이었다. 또한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치는 시기는 새로운 사회구조의 변화를 겪는 시기였다. 종래의 지주와 소작, 귀족과 평민, 관계의 2원적 사회 구조를 이룬 것에 반해 근세기에는 제 3의 계급 구조가 새롭게 형성되는 시기였다.
제3의 계급이란 산업혁명으로 말미암아 형성된 계급이다. 산업혁명은 사회 구조를 뒤흔들어 놓았다.
출신이나 계급에 의해서 대우받는 사회가 아니라 개인의 능력과 성실성으로 대우받은 사회가 된 것이다.
과거의 1,000여년 동안 기독교적 교권의 지배아래 있던 사회제도와 교육환경도 산업혁명으로 산산이 무너져 버렸고 개인의 능력, 개인의 논리적, 이성에 부합한 것만이 그 사회를 지도하는, 지배하는 실력자가 생겼는데 그것이 바로 제2의 계급 중산층인 것이다. 이 시기에는 중세기의 신비주의를 항거하는 합리주의 사상이 이세대의 주된 사상이 되었다. 교권의 지배아래 있던 주도권이 이제 교권에서 벗어나 세속적인 세력가들에게 주도권이 인수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 또한 교회를 벗어나 교육이 행하여졌다.
벤손 박사는 근세 기독교 세가지 운동이 있다고 하였는데 ⓐ 평신도 운동 ⓑ 주일학교 운동 ⓒ 조직적인 영합운동이라고 하였다.
7. 한국에서의 주일학교
한국에서의 기독교 교육은 1885년 공식적으로 선교가 시작된 이후부터이다. 1885년 4월 5일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가 공식적인 교사로 들어온 이후 아펜젤러는 1885년 기독교 교육이념을 가지고 배제학당을 세웠고, 언더우드는 1885년 10월경 신학교를 세웠다. 경신학교는 연회전문학교의 모체가 되었고, 현재 연세대학교의 모체가 되었다. 그리고 1886년 스크래톤의 여사는 이화학당 지금의 이화여대를 세웠다.
한국의 주일학교는 기독교 학교보다 늦게 시작된다. 최초의 주일학교는 1887년 9월 27일 새문안 교회가 세워지고 10월 9일에 정동 감리교회가 세워지면서 주일학교가 시작된다.
김폴린 박사는 그의 책(한국의 기독교 교육의 역사)에서 이렇게 말하였다. “그때는 유년과 장년이 같이 성경을 배웠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주일학교의 시작을 본다면, 1886년 1월 15일 이화학당에서 스크랜톤 여사가 12명의 어린이와 3명의 부인을 모아 주일학교를 조직하고 성경을 가르친 것에서부터 주일학교의 시작이다.
1890년대에는 평양과 서울에 주일학교를 통해 기독교 교육이 시작되었다. 1894년 1월 8일에는 마펫선교사가 평양에서 22명의 학생들을 모아 성경교리를 가르쳤으며, 1897년에 평양에는 여섯 개의 주일학교가 있었고, 평양 남산재 교회에서는 노블 선교사부인이 2-3년 간 교사를 양성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주일학교를 맡겼는데 1903년에 5세에서 15세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유년 주일학교를 개설하므로 주일날 유년 주일학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와 같이 유년부를 따로 운영하게 되자 이것이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주일학교를 유년 주일학교와 장년 주일학교로 구분하게 된다. 1905년에는 주교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1911년에는 조선 주일학교 연합회가 조직이 되어 연합운동이 출범하게 되며, 같은 해 통일 공과를 출간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② 성서를 모국어로 변역하여 누구나 읽게 하였다.
③ 특권 계층만 실시했던 교육을 보편화하여 남녀 빈부귀천 누구나 교육을 받도록 하였다. 교육은 누구나 배울 수 있는 권리요, 의무임을 강조하였다.
④ 도시마다 공립학교를 설립하였다.
이런 주장은 즉시 실현된 것은 아니지만 종교개혁이 진전됨에 따라 교육이 수반되었다.
6. 근세의 주일학교 교육시대
종교개혁이후 기독교교육은 크게 발전하게 된다. 근세 기독교 교육은 주일학교 교육운동이 핵심이었다. 또한 17세기부터 18세기에 걸치는 시기는 새로운 사회구조의 변화를 겪는 시기였다. 종래의 지주와 소작, 귀족과 평민, 관계의 2원적 사회 구조를 이룬 것에 반해 근세기에는 제 3의 계급 구조가 새롭게 형성되는 시기였다.
제3의 계급이란 산업혁명으로 말미암아 형성된 계급이다. 산업혁명은 사회 구조를 뒤흔들어 놓았다.
출신이나 계급에 의해서 대우받는 사회가 아니라 개인의 능력과 성실성으로 대우받은 사회가 된 것이다.
과거의 1,000여년 동안 기독교적 교권의 지배아래 있던 사회제도와 교육환경도 산업혁명으로 산산이 무너져 버렸고 개인의 능력, 개인의 논리적, 이성에 부합한 것만이 그 사회를 지도하는, 지배하는 실력자가 생겼는데 그것이 바로 제2의 계급 중산층인 것이다. 이 시기에는 중세기의 신비주의를 항거하는 합리주의 사상이 이세대의 주된 사상이 되었다. 교권의 지배아래 있던 주도권이 이제 교권에서 벗어나 세속적인 세력가들에게 주도권이 인수되었다. 이로 인해 교육 또한 교회를 벗어나 교육이 행하여졌다.
벤손 박사는 근세 기독교 세가지 운동이 있다고 하였는데 ⓐ 평신도 운동 ⓑ 주일학교 운동 ⓒ 조직적인 영합운동이라고 하였다.
7. 한국에서의 주일학교
한국에서의 기독교 교육은 1885년 공식적으로 선교가 시작된 이후부터이다. 1885년 4월 5일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가 공식적인 교사로 들어온 이후 아펜젤러는 1885년 기독교 교육이념을 가지고 배제학당을 세웠고, 언더우드는 1885년 10월경 신학교를 세웠다. 경신학교는 연회전문학교의 모체가 되었고, 현재 연세대학교의 모체가 되었다. 그리고 1886년 스크래톤의 여사는 이화학당 지금의 이화여대를 세웠다.
한국의 주일학교는 기독교 학교보다 늦게 시작된다. 최초의 주일학교는 1887년 9월 27일 새문안 교회가 세워지고 10월 9일에 정동 감리교회가 세워지면서 주일학교가 시작된다.
김폴린 박사는 그의 책(한국의 기독교 교육의 역사)에서 이렇게 말하였다. “그때는 유년과 장년이 같이 성경을 배웠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주일학교의 시작을 본다면, 1886년 1월 15일 이화학당에서 스크랜톤 여사가 12명의 어린이와 3명의 부인을 모아 주일학교를 조직하고 성경을 가르친 것에서부터 주일학교의 시작이다.
1890년대에는 평양과 서울에 주일학교를 통해 기독교 교육이 시작되었다. 1894년 1월 8일에는 마펫선교사가 평양에서 22명의 학생들을 모아 성경교리를 가르쳤으며, 1897년에 평양에는 여섯 개의 주일학교가 있었고, 평양 남산재 교회에서는 노블 선교사부인이 2-3년 간 교사를 양성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주일학교를 맡겼는데 1903년에 5세에서 15세까지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유년 주일학교를 개설하므로 주일날 유년 주일학교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이와 같이 유년부를 따로 운영하게 되자 이것이 전국적으로 확산됨에 따라 주일학교를 유년 주일학교와 장년 주일학교로 구분하게 된다. 1905년에는 주교 위원회가 조직되었고, 1911년에는 조선 주일학교 연합회가 조직이 되어 연합운동이 출범하게 되며, 같은 해 통일 공과를 출간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추천자료
생명전달 성경교수법(구령설교법)
대안교육의 역사와 현실 그리고 전망
멀티미디어 사역과 디지털 목회
몰몬교의 시작과 조직 및 사업 경전과 교리
[역사교육론] 미술자료와 문학작품 활용학습
하룻밤에 읽는 성서-독후감
조지알버트코우의 사상에 대하여
[학교통일교육][통일교육][독일학교통일교육사례]학교통일교육의 지도원칙, 접근방법, 유의점...
[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남북통일][한반도통일][통일][북한]통일교육의 목표, 통일교육의 ...
가족치료와 목회사역
학교통일교육의 중요성, 학교통일교육의 현황, 학교통일교육의 기본방향, 학교통일교육과 ICT...
[학교통일교육]학교통일교육의 필요성, 학교통일교육의 실태, 학교통일교육의 지도원칙, 학교...
학교교육의 통찰과 새로운 과제
[아시아선교학] 중국 선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