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강박증과 완벽주의의 개념
① 강박증
② 완벽주의
(2) 나의 사례
(3) 심리학적 이해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강박증과 완벽주의의 개념
① 강박증
② 완벽주의
(2) 나의 사례
(3) 심리학적 이해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사람이라고, 강박 증세가 있는 사람이라고만 생각했던 것 같다. 정작 본인도 병원에서 이 강박의 치료를 위해 어떠한 치료의 과정을 거치진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 적어도 내가 인지하고 있는 바로는.
그래서 그 정도가 스트레스가 더 심하고 힘든 상황에는 좀 더 심해지고, 스트레스가 좀 덜 할 때는 그 정도가 좀 약해지는 정도로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것 같다.
(3) 심리학적 이해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점은 강박증의 치료가 인지 및 행동 치료와 약물치료 등으로 우선 권해진다는 점이다. 이를 기안하면, 내가 알고 지내는 강박 증세를 가지고 있는 후배에게도 치료를 권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정신분석적인 치료가 강박증상을 조절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강박증 환자들이 특정한 생각이나 그와 관련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노출 및 반응 방지’기법이 있다고 한다. 이는 강박증 환자가 불안을 느끼는 어떠한 특정 상황에 일부러 노출을 시킨 후에 그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보이는 모든 강박행동들을 하지 못하게 막는 것이다. 일례로 오염 강박(결벽증)이 잇는 경우, 손을 씻게 되는 상황에 노출을 시킨 후에, 그 손을 씻으려는 행동을 일정시간동안 금지시키는 것이다. 이럴 때 물론 처음에는 그 강박증 환자가 매우 불안해 하고 힘들어하지만, 이러한 치료를 반복적으로 받으면서 환자가 그 불안을 유발시키는 상황에 대해 익숙해지고,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어떠한 강박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불안이 줄어든다는 것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러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의 치료에 대한 동기가 확실하고 강해야 하며, 지속적인 치료를 유지해야 한다고 한다.
약물치료는 인지 및 행동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경증을 넘어선 수준의 강박증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되는데, 그 증세의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8~90%는 증상이 호전된다고 한다. 또한 약물치료와 함께 행동 및 인지치료와 병행하는 경우는 그 효과가 더욱 좋다고 알려져 있다.
3. 결론
강박증이라는 것이 어떠한 예민한 성격, 기질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충분히 치료받을 수 있는 것임을 확실하게 알았다. 이에 대해 알고 지내는 지인에게도 치료를 권해 볼 계획이다.
4. 참고문헌
- 전요섭, 『현대인의정신건강』, 한국HRD원격평생교육원
- 웰리스뉴스(http://www.wenw.co.kr)
그래서 그 정도가 스트레스가 더 심하고 힘든 상황에는 좀 더 심해지고, 스트레스가 좀 덜 할 때는 그 정도가 좀 약해지는 정도로 인식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것 같다.
(3) 심리학적 이해
이번에 새롭게 알게 된 점은 강박증의 치료가 인지 및 행동 치료와 약물치료 등으로 우선 권해진다는 점이다. 이를 기안하면, 내가 알고 지내는 강박 증세를 가지고 있는 후배에게도 치료를 권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정신분석적인 치료가 강박증상을 조절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한다.
강박증 환자들이 특정한 생각이나 그와 관련된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서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노출 및 반응 방지’기법이 있다고 한다. 이는 강박증 환자가 불안을 느끼는 어떠한 특정 상황에 일부러 노출을 시킨 후에 그 불안을 줄이기 위해서 보이는 모든 강박행동들을 하지 못하게 막는 것이다. 일례로 오염 강박(결벽증)이 잇는 경우, 손을 씻게 되는 상황에 노출을 시킨 후에, 그 손을 씻으려는 행동을 일정시간동안 금지시키는 것이다. 이럴 때 물론 처음에는 그 강박증 환자가 매우 불안해 하고 힘들어하지만, 이러한 치료를 반복적으로 받으면서 환자가 그 불안을 유발시키는 상황에 대해 익숙해지고,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어떠한 강박행동을 하지 않더라도 불안이 줄어든다는 것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다만 이러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의 치료에 대한 동기가 확실하고 강해야 하며, 지속적인 치료를 유지해야 한다고 한다.
약물치료는 인지 및 행동치료가 효과가 없거나, 경증을 넘어선 수준의 강박증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되는데, 그 증세의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8~90%는 증상이 호전된다고 한다. 또한 약물치료와 함께 행동 및 인지치료와 병행하는 경우는 그 효과가 더욱 좋다고 알려져 있다.
3. 결론
강박증이라는 것이 어떠한 예민한 성격, 기질로 치부할 것이 아니라 충분히 치료받을 수 있는 것임을 확실하게 알았다. 이에 대해 알고 지내는 지인에게도 치료를 권해 볼 계획이다.
4. 참고문헌
- 전요섭, 『현대인의정신건강』, 한국HRD원격평생교육원
- 웰리스뉴스(http://www.wenw.co.kr)
추천자료
[이보다 더 좋을 수 없다.]에서 본 강박증
사랑 이론에 관한 발표자료
섭식장애
한국자본주의의 역사(한국현대사레포트)
[현대인의여가생활 공통] 1. ‘현대인의 여가생활’ 교과목에서 다루는 7가지 레저스포츠활동 2...
강박증에 관한 모든 것(원인, 치료방법, 종류 등)
가족역동과상담 ) 앨버트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치료모델이 무엇인지 기본 전제, 주요개념...
현대인의 정신건강 ) 강박증과 완벽주의에 대해 정의를 내려보고 나에게 있던 강박증 및 완벽...
강박증과 완벽주의에 대해 정의를 내려보고 나에게 있던 강박증 및 완벽주의에 대해 서술하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