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일화기록법
(2) 작성방법
(3) 일화기록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일화기록법
(2) 작성방법
(3) 일화기록 사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버지 거예요.” 엄마에게 주려는 것은 강아지가 그려져 있고, 할머니에게 줄 것은 하트 2개가 그려져 있다. 할아버지에게 주려는 것은 할아버지 이름이 적혀 있다. 관찰자가 OO에게 묻는다. “아빠 거는 왜 없어?” OO은 “아빠 거는 그냥 없어요.” 하고 웃는다. 슈링클스를 오븐에 넣고 관찰한다. XX은 상체를 엎드려 가면서 슈링클스가 부풀었다 작아지는 모습을 관찰한다. “이거 엄청 신기한 것 같아요.”하고 말한다. 관찰자는 슈링클스를 식혀서 고리를 걸어 XX에게 건네준다. 할머니가 이제 집에 가자고 한다. XX은 “더 하고 싶은데. 할머니도 이거 그려요.” 라고 말한다. “할머니는 그림 못 그려서 안 그릴래.” 라는 대답에 XX은 아무 대답이 없다.
평가
XX은 슈링클스라는 새로운 교구를 보고 한번 해 본 경험이 재미있었는지 또 하고 싶어 했다. 제일 먼저 자신이 기르는 강아지를 그린 것으로 보아 요즘 가장 좋아하는 존재가 강아지라고 추측된다. 할머니, 할아버지 역시 따로 따로 그려서 열쇠고리를 만들어준 것이 조부모와의 친밀감이 깊다고 보인다. 또한 할머니에게 슈링클스를 계속 권하는 것은 할머니와 평소에도 그림 그리기를 같이 하고 있다고 보인다. 아빠에게 줄 것을 만들지 않고 아빠에게 주지 않겠다고 말하는 것이 요즘 아빠에게 삐친 것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할머니가 집에 그만 가자고 할 때 대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좀 더 놀고 싶은데 가자고 하는 말에 서운한 것으로 보인다.
3. 결론
가장 가까운 아동인 조카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면서 기록하지 않고 넘어갔을 때 몰랐던 아이의 행동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아이가 현재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나 느끼는 감정에 대해서 좀 더 세밀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되었다.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서운함을 느끼는지, 어떻게 서운함을 표출하는지 다시금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함께 활동을 한 가족의 대응 방법에도 다시 짚고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 이처럼 기록은 한 아동의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체감할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4. 참고문헌
1. 박선희. 2014. 일화기록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강수진. 2018.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기록의 진정한 의미 탐색.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평가
XX은 슈링클스라는 새로운 교구를 보고 한번 해 본 경험이 재미있었는지 또 하고 싶어 했다. 제일 먼저 자신이 기르는 강아지를 그린 것으로 보아 요즘 가장 좋아하는 존재가 강아지라고 추측된다. 할머니, 할아버지 역시 따로 따로 그려서 열쇠고리를 만들어준 것이 조부모와의 친밀감이 깊다고 보인다. 또한 할머니에게 슈링클스를 계속 권하는 것은 할머니와 평소에도 그림 그리기를 같이 하고 있다고 보인다. 아빠에게 줄 것을 만들지 않고 아빠에게 주지 않겠다고 말하는 것이 요즘 아빠에게 삐친 것이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할머니가 집에 그만 가자고 할 때 대답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좀 더 놀고 싶은데 가자고 하는 말에 서운한 것으로 보인다.
3. 결론
가장 가까운 아동인 조카의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면서 기록하지 않고 넘어갔을 때 몰랐던 아이의 행동에 대하여 다시 생각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아이가 현재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나 느끼는 감정에 대해서 좀 더 세밀하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되었다.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서운함을 느끼는지, 어떻게 서운함을 표출하는지 다시금 알 수 있는 기회가 되었고, 함께 활동을 한 가족의 대응 방법에도 다시 짚고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이 있었다. 이처럼 기록은 한 아동의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몸소 체감할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기록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4. 참고문헌
1. 박선희. 2014. 일화기록에 대한 사립유치원 교사들의 이야기.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강수진. 2018.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사기록의 진정한 의미 탐색.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추천자료
교육평가A형 2019 교재 4장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교재 5장 문항제작과 분석 교재 10장 ...
교육평가B형 2019 교재4장 교육평가의 일반적인 절차 교재 5장 문항제작과 분석교재 10장 표...
교육과정A형 2019 교육과정 교재 9장 교육과정 구성논의(Ⅰ)에 근거하여 아래의 지시사항을 작...
유아교육과정 공통) (1) 교재 4장 및 멀티미디어 강의 4강을 참고하여 ‘아동중심 교육과정’과...
일화기록법의 특성과 작성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교재의 내용을 제외하고 일화기록의 사례를 ...
[2021 교육과정][기말시험] 1.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
일화기록법의 특성과 작성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교재의 내용을 제외하고 일화기록의 사례를 ...
교육과정 )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모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 모형을 유아교...
일화기록법의 특성과 작성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교재의 내용을 제외하고 일화기록의 사례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