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안전관리_5주차 1-3차시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과 실외 안전점검에 대해 서술하고 실내외의 각 영역별 안전관리 방법을 본인의 의견을 포함하여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안전관리_5주차 1-3차시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과 실외 안전점검에 대해 서술하고 실내외의 각 영역별 안전관리 방법을 본인의 의견을 포함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

(2) 어린이집 실외 안전점검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창고
영유아용 창고와 교사용 창고를 분리하고 교사용 창고는 영유아가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공간에 마련한다.
동식물
기르기
영유아에게 해를 입히지 않는 동식물을 길러야 하며 사육장은 정기적으로 소독한다.
영유아들은 반드시 전염병 예방접종을 해야 한다.
모든 식물은 이름표를 부착하고 영유아에게 유독성이 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영유아가 식물을 만지거나 먹지 않도록 지도해야 한다.
닭이나 오리 등의 동물이 실외 놀이공간을 돌아다니지 않게 하며
영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사육장에서만 길러야 한다.
3. 결론
위에서 살펴본 점검 내용 이외에도 영유아의 눈높이에 맞춘 안전 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보인다. 실제로 부딪히거나 넘어지고 끼이는 안전사고 사례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영유아들이 흔하게 하는 행동으로 일어나는 사고를 주목해야 할 것이다. 또래 친구들과 함께 뛰어다니다가 돌출된 기둥에 부딪힐 때는 기둥 자체에 쿠션이 있는 충격 완화용 매트를 설치한다던가 매우 위험한 공간에 들어섰을 때에는 움직임 센서를 설치하여 작은 경보음(아이들이 너무 놀라지 않는 정도의)이 울리도록 하는 것도 아이들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어진지 오랜 시간이 지난 노후된 어린이집의 보수라고 생각한다. 오래된 어린이집의 시설보수는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으로라도 이루어져야 한다. 영유아들은 어린이집에서 처음 사회화를 경험하는 것처럼 처음으로 경험하게 되는 것들이 많다. 영유아들의 특성상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지 못하고 부주의하게 다니는 일이 많은 것이 당연한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 및 보호자들이 아이들의 안전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되며, 안전에 대한 내용을 점검하는 것에 지나침이란 없다고 생각한다. 본론에서 살펴본 안전 점검 항목을 상기하여 우리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1. 이영란. 2013. 어린이집 안전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이현숙. 2017. 어린이집 영유아 안전사고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남유정. 2013. 어린이집에서 발생하는 연령별 안전사고의 유형 및 내용 분석.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이은주. 2015. 국공립 어린이집 안전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교육시설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키워드

레포트,   과제,   자료,   서평,   독후감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3.06.20
  • 저작시기202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3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