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
2) 어린이집 실외 안전점검
3) 실내외 각 영역별 안전 관리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서론
2.
본론
1)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
2) 어린이집 실외 안전점검
3) 실내외 각 영역별 안전 관리 방법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의 안전점검
바닥에서 3~4m가 되도록 설비하고, 스프링클러나 화제 경보장치를 설치한다.
2) 어린이집 실외 안전점검
(1) 통로
폭 넓은 곡선의 형태로 만들고, 실외놀이 공간 어디에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하며, 영유아 간에 충돌할 수 있는 곳에는 놀이 영역 사이와 통로의 경계 부분에 낮은 관목을 심는다.
(2) 울타리
외부와 실외놀이 공간과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울타리를 설치하고, 담을 쌓을 때는 영유아가 쉽게 오를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하며, 담은 120cm 이상의 높이로 쌓는다. 문은 성인이 위에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위쪽에 걸개창치를 만들고, 안전지대에 실외공간이 있다면 영유아의 시선이 가리지 않도록 관목이나 자동차 타이어를 이용하여 담장을 대신한다.
(3) 바닥
놀이 시설물 주변이나 아래에는 30cm 이상의 나무 조각, 나무껍질, 모래 등의 충격 흡수제를 설치하고, 영유아가 부딪히거나 넘어질 수 있는 못, 돌, 나사, 유리 조각과 같은 이물질이나 위험한 물질이 없는지 확인해야 하며, 주기적으로 모래를 채워주고, 교체한다.
(4) 창고
실외놀이 공간에 사용하지 않거나 남아 있는 놀이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창고를 만들고, 영유아용과 교사용 창고를 분리하여 마련한다.
(5) 동식물기르기
영유아는 정기적으로 전염병 예방접종을 하고, 건강 검진을 받으며, 동물은 바람이나 직사광선을 막아줄 수 있는 건조한 곳에 기르고, 알레르기나 감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동물은 기르지 않는다. 주 1회 모든 동물을 목욕시키고, 배설물이 영유아의 손에 닿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치우고 소독한다.
식물은 건물 주변이나 울타리에 길고 좁게 설치하고, 유동성 여부를 점검하며, 영유아가 함부로 먹거나 만지지 않도록 지도한다.
3) 실내외 각 영역법 안전 관리 방법
어린이집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미끄러운 바닥으로 인해 넘어져서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또래 친구들과 놀다가 넘어져 안전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어린이집의 실내 안전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미끄럼 방지매트를 바닥에 깔고, 아이들에게 뛰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적공간과 동적공간을 구분하여 아이들이 넘어져서 다치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린이집의 실외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에서 교통사고가 가장 많다. 어린이집은 도로와 어린이집의 경계 부분에 차단막을 설치하여 실외에서 놀이 활동 시 아동들이 도로로 나가지 않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실외활동 시에는 교사가 반드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전에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본인은 최근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어린이집은 실내외를 방역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집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아동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특단의 방역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어린이집의 실내 방역이 가장 중요한 실내 안전 관리라고 생각하며, 방역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안전지도 교재
바닥에서 3~4m가 되도록 설비하고, 스프링클러나 화제 경보장치를 설치한다.
2) 어린이집 실외 안전점검
(1) 통로
폭 넓은 곡선의 형태로 만들고, 실외놀이 공간 어디에서도 잘 보일 수 있도록 구성하며, 영유아 간에 충돌할 수 있는 곳에는 놀이 영역 사이와 통로의 경계 부분에 낮은 관목을 심는다.
(2) 울타리
외부와 실외놀이 공간과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울타리를 설치하고, 담을 쌓을 때는 영유아가 쉽게 오를 수 없는 재료를 사용하며, 담은 120cm 이상의 높이로 쌓는다. 문은 성인이 위에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위쪽에 걸개창치를 만들고, 안전지대에 실외공간이 있다면 영유아의 시선이 가리지 않도록 관목이나 자동차 타이어를 이용하여 담장을 대신한다.
(3) 바닥
놀이 시설물 주변이나 아래에는 30cm 이상의 나무 조각, 나무껍질, 모래 등의 충격 흡수제를 설치하고, 영유아가 부딪히거나 넘어질 수 있는 못, 돌, 나사, 유리 조각과 같은 이물질이나 위험한 물질이 없는지 확인해야 하며, 주기적으로 모래를 채워주고, 교체한다.
(4) 창고
실외놀이 공간에 사용하지 않거나 남아 있는 놀이기구를 보관할 수 있는 창고를 만들고, 영유아용과 교사용 창고를 분리하여 마련한다.
(5) 동식물기르기
영유아는 정기적으로 전염병 예방접종을 하고, 건강 검진을 받으며, 동물은 바람이나 직사광선을 막아줄 수 있는 건조한 곳에 기르고, 알레르기나 감염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동물은 기르지 않는다. 주 1회 모든 동물을 목욕시키고, 배설물이 영유아의 손에 닿지 않도록 정기적으로 치우고 소독한다.
식물은 건물 주변이나 울타리에 길고 좁게 설치하고, 유동성 여부를 점검하며, 영유아가 함부로 먹거나 만지지 않도록 지도한다.
3) 실내외 각 영역법 안전 관리 방법
어린이집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안전사고는 미끄러운 바닥으로 인해 넘어져서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또래 친구들과 놀다가 넘어져 안전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어린이집의 실내 안전관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미끄럼 방지매트를 바닥에 깔고, 아이들에게 뛰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정적공간과 동적공간을 구분하여 아이들이 넘어져서 다치는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린이집의 실외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 중에서 교통사고가 가장 많다. 어린이집은 도로와 어린이집의 경계 부분에 차단막을 설치하여 실외에서 놀이 활동 시 아동들이 도로로 나가지 않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실외활동 시에는 교사가 반드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사전에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3. 결론
본인은 최근 코로나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우리나라의 어린이집은 실내외를 방역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린이집에서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아동들이 적지 않다는 점에서 특단의 방역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현재 어린이집의 실내 방역이 가장 중요한 실내 안전 관리라고 생각하며, 방역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4. 참고문헌
안전지도 교재
추천자료
보육환경의 중요성을 영유아의 차원에서,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실내환경과 실외환경으로 구...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과 실외 안전점검에 대해 서술하시고 실내외의 각 영역별 안전관리 방...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과 실외 안전점검에 대해 서술하시고 실내외의 각 영역별 안전관리 방법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2022 기말] 1. 유아교육기관의 학급운영 관리 개념 및 원리, 유치원과...
영유아를 위한 어린이집 실내외 안전관리를 위한 시설설비와 영유아 권리존중 차원에서 실내...
아동안전관리_5주차 1-3차시 어린이집 실내 안전점검과 실외 안전점검에 대해 서술하고 실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