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서론
2.본론
1) 고대사회
(1) 플라톤
(2) 아리스토텔레스
2) 중세사회
3) 근대사회
(1) 코메니우스
(2) 로크
(3) 루소
(4) 페스탈로치
(5) 프뢰벨
4) 현대사회
(1) 듀이
(2) 몬테소리
3.결론
4.참고문헌
2.본론
1) 고대사회
(1) 플라톤
(2) 아리스토텔레스
2) 중세사회
3) 근대사회
(1) 코메니우스
(2) 로크
(3) 루소
(4) 페스탈로치
(5) 프뢰벨
4) 현대사회
(1) 듀이
(2) 몬테소리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육의 중요성으로 현재의 유아교육 발전을 이루고 있다.
(1) 듀이
진보주의 대표적인 교육가인 듀이는 경험의 질을 강조하고, 교육을 계속적 경험의 재구성 과정이라고 하였다. 실험학교를 세워, 유아의 실제 생활과 밀접한 경험을 교육과정으로 제공하고, 유아의 흥미에 적합한 놀이를 교육방법으로 제공하며, 주변의 실생활 문제해결과 반성적 사고, 협동적인 집단 활동인 사회화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듀이의 사상은 현재까지 중요한 교육원리로 유아의 자발성과 흥미의 강조, 놀이 중심과 경험 중심, 활동 중심과 개별화 교육, 그리고 자유 선택 활동이 있다.
(2) 몬테소리
유아는 자신을 끊임없이 창조하는 잠재력을 지닌 존재이며, 주변 환경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탐색하는 존재로 본 몬테소리의 교육이론은 민감기와 흡수 정신, 준비된 환경과 자동적 교육, 자기교육과 감각 교육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교사의 역할은 관찰자와 환경준비자, 그리고 촉진자로 안내자와 지도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보육과정의 역사적, 철학적 배경을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논하였다. 유아를 성인의 축소판으로 보며 노동력을 착취하는 고대사회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과 철학을 살펴보았고, 기독교 사상을 토대로 유아의 본성을 악하게 보는 중세시대의 엄격한 훈육을 살펴보았으며, 모든 유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사상의 기초가 된 근대사회에서는 성선설을 기초로 코메니우스, 로크,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의 교육철학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보주의와 아동 중심 교육의 흐름이 진행되는 현대사회에서는 듀이와 몬테소리를 중심으로 철학과 교육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고대와 중세, 근대와 현대를 지나면서 철학의 변화에 따라 보육의 과정이 달라지며, 현재의 보육과정 구성은 이전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전의 역사적 철학적 배경을 알아보고 논하는 것은, 현재 이루어지는 보육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4. 참고문헌
1. 김희태·곽노의·백혜리(『유아교육 철학 및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 이선숙·양경숙(2007). 『유아교육의 역사와 철학』. 청목출판사.
3. 정옥분·권민균·김경은·김미진·노성향·박연정·엄세진·윤정진·임정하·정순화·
황현주(2020). 『보육과정』. 학지사.
4. 조경선(2021). 『보육과정』. 양서원.
5. 홍순정·이기숙(2008). 『유아교육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1) 듀이
진보주의 대표적인 교육가인 듀이는 경험의 질을 강조하고, 교육을 계속적 경험의 재구성 과정이라고 하였다. 실험학교를 세워, 유아의 실제 생활과 밀접한 경험을 교육과정으로 제공하고, 유아의 흥미에 적합한 놀이를 교육방법으로 제공하며, 주변의 실생활 문제해결과 반성적 사고, 협동적인 집단 활동인 사회화의 개념을 강조하였다. 듀이의 사상은 현재까지 중요한 교육원리로 유아의 자발성과 흥미의 강조, 놀이 중심과 경험 중심, 활동 중심과 개별화 교육, 그리고 자유 선택 활동이 있다.
(2) 몬테소리
유아는 자신을 끊임없이 창조하는 잠재력을 지닌 존재이며, 주변 환경에서 정보를 수집하고 탐색하는 존재로 본 몬테소리의 교육이론은 민감기와 흡수 정신, 준비된 환경과 자동적 교육, 자기교육과 감각 교육으로 설명할 수 있다. 교사의 역할은 관찰자와 환경준비자, 그리고 촉진자로 안내자와 지도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보육과정의 역사적, 철학적 배경을 고대,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논하였다. 유아를 성인의 축소판으로 보며 노동력을 착취하는 고대사회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과 철학을 살펴보았고, 기독교 사상을 토대로 유아의 본성을 악하게 보는 중세시대의 엄격한 훈육을 살펴보았으며, 모든 유아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사상의 기초가 된 근대사회에서는 성선설을 기초로 코메니우스, 로크, 루소, 페스탈로치, 프뢰벨의 교육철학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보주의와 아동 중심 교육의 흐름이 진행되는 현대사회에서는 듀이와 몬테소리를 중심으로 철학과 교육을 살펴보았다. 이렇게 고대와 중세, 근대와 현대를 지나면서 철학의 변화에 따라 보육의 과정이 달라지며, 현재의 보육과정 구성은 이전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전의 역사적 철학적 배경을 알아보고 논하는 것은, 현재 이루어지는 보육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4. 참고문헌
1. 김희태·곽노의·백혜리(『유아교육 철학 및 교육사』.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 이선숙·양경숙(2007). 『유아교육의 역사와 철학』. 청목출판사.
3. 정옥분·권민균·김경은·김미진·노성향·박연정·엄세진·윤정진·임정하·정순화·
황현주(2020). 『보육과정』. 학지사.
4. 조경선(2021). 『보육과정』. 양서원.
5. 홍순정·이기숙(2008). 『유아교육과정』.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