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삼성전자의 반도체사업 성공이유
(1) 외부 환경측면
(2) 내부 역량 측면
2) 메모리형 반도체의 산업전망
3) 비메모리형 반도체 경쟁력 제고방안
(1) 시장 현황
(2) 경쟁력 제고 방안
3.
결론
서론
2.
본론
1) 삼성전자의 반도체사업 성공이유
(1) 외부 환경측면
(2) 내부 역량 측면
2) 메모리형 반도체의 산업전망
3) 비메모리형 반도체 경쟁력 제고방안
(1) 시장 현황
(2) 경쟁력 제고 방안
3.
결론
본문내용
생산 후 판매방식으로 수요 공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면 가격의 급격한 변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수요처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21년 초에 자동차용 반도체의 공급부족 현상이 발생했는데 비메모리 반도체의 가장 큰 수요처 중 하나가 차량용 반도체이며, 차량용 반도체의 시장점유율은 EU가 40.9%, 미국이 31.8%, 일본이 21.6%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차량용 반도체 상위 기업(EU)은 독일의 인피니언이 1위, 네델란드의 NXP 등이 있다. 이러한 상위 수요처와의 전략적인 관계가 유지되면 시장 진입후에도 안정적인 공급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기존에 점유율이 높은 기업이나 국가가 아니라 최근 자동차 내수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는 중국 시장을 타겟으로 설정하여 파트너십을 갖고 접근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결론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에서 성공하게 된 가장 큰 요인은 CEO의 의사결정에 기반해 반도체 시장에 진입하면서 과감한 투자와 기술개발 등이 함께 뒷받침되었던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보인다. 그리고 메모리반도체는 PC, 휴대전화, 스마트폰의 수요에 의해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이 형성되었으며 최근에는 데이터 수요가 늘어나며 기업데이터센터 등의 서버 향 반도체 수요급증으로 성장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관련 부분의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진입하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밸류체인상 펩리스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와 함께 주문생산방식의 특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1. 반도체 산업분석, 이베스트투자증권, 2020. 9. 14
2. 삼성전자 기업분석, 삼성증권, 2021. 7. 7
3. 한국반도체 산업협회 홈페이지 (https://www.ksia.or.kr/)
4. 반도체 산업동향 분석, 한국반도체 산업협회
5. 인텔의 25년 반도체 아성 꺾은 삼성, 3가지 비결은, 머니투데이, 2018. 1. 6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10514375893190)
6. 삼성 반도체 신화 이렇게 만들어졌다, 세계비즈, 2018. 5. 13 (http://www.segyefn.com/newsView/20180511003101?OutUrl=naver)
7. 메모리반도체 1등 삼성전자의 새로운 도전, 월간중앙, 2020. 3. 17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9419)
8. TSMC잡아라 삼성전자 비메모리 171조 쏟아붓는다 매일경제, 2021. 5. 13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5/462967/)
9. 코로나 팬데믹, 新 반도체 패권 전쟁 시대를 열다, 이코노미조선, 2021. 3. 15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610434)
또는 기존에 점유율이 높은 기업이나 국가가 아니라 최근 자동차 내수시장이 급속히 성장하는 중국 시장을 타겟으로 설정하여 파트너십을 갖고 접근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결론
삼성전자가 반도체 시장에서 성공하게 된 가장 큰 요인은 CEO의 의사결정에 기반해 반도체 시장에 진입하면서 과감한 투자와 기술개발 등이 함께 뒷받침되었던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보인다. 그리고 메모리반도체는 PC, 휴대전화, 스마트폰의 수요에 의해 성장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이 형성되었으며 최근에는 데이터 수요가 늘어나며 기업데이터센터 등의 서버 향 반도체 수요급증으로 성장할 수 있었고 앞으로도 관련 부분의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비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진입하여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밸류체인상 펩리스 업체와의 전략적 제휴와 함께 주문생산방식의 특성을 고려한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1. 반도체 산업분석, 이베스트투자증권, 2020. 9. 14
2. 삼성전자 기업분석, 삼성증권, 2021. 7. 7
3. 한국반도체 산업협회 홈페이지 (https://www.ksia.or.kr/)
4. 반도체 산업동향 분석, 한국반도체 산업협회
5. 인텔의 25년 반도체 아성 꺾은 삼성, 3가지 비결은, 머니투데이, 2018. 1. 6 (https://news.mt.co.kr/mtview.php?no=2018010514375893190)
6. 삼성 반도체 신화 이렇게 만들어졌다, 세계비즈, 2018. 5. 13 (http://www.segyefn.com/newsView/20180511003101?OutUrl=naver)
7. 메모리반도체 1등 삼성전자의 새로운 도전, 월간중앙, 2020. 3. 17 (http://jmagazine.joins.com/monthly/view/329419)
8. TSMC잡아라 삼성전자 비메모리 171조 쏟아붓는다 매일경제, 2021. 5. 13 (https://www.mk.co.kr/news/business/view/2021/05/462967/)
9. 코로나 팬데믹, 新 반도체 패권 전쟁 시대를 열다, 이코노미조선, 2021. 3. 15 (http://economychosun.com/client/news/view.php?boardName=C00&t_num=13610434)
추천자료
삼성전자의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기업경영전략 (삼성의 다각화 전략)
[연구개발][R&D]연구개발(R&D)의 정의, 연구개발(R&D)의 결정요인, 3M의 연구개...
삼성전자 반도체산업의 역사, 삼성전자 반도체산업의 진입과정, 삼성전자 반도체산업의 성공...
[삼성전자]삼성전자 반도체산업의 연혁, 삼성전자 반도체산업의 요인, 삼성전자 반도체산업의...
삼성전자 해외마케팅 전략분석과 삼성전자 사업전략분석및 삼성전자 새로운 경영전략 제안
[경영전략론 공통] ‘관련다각화는 비관련 다각화에 비해 성과가 높다’라는 견해에 대해 자신...
삼성전자Samsung Electronics Co., Ltd. 기업분석과 SWOT분석/ 삼성전자 국내,해외외 마케팅...
삼성 경영전략 보고서 / 삼성 기업분석 /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