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분석 상담이론
2. 분석치료 상담이론
3.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 비교
1)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의 공통점
2)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의 차이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정신분석 상담이론
2. 분석치료 상담이론
3.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 비교
1)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의 공통점
2)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의 차이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째, 무의식이 현재 상태에 대한 억제 상태로 놓여있다는 인식을 함께 했다. 프로이트는 이와 같은 억제의 원리를 발전시켜 왜곡과 투사라는 개념들을 창안했다. 이와 같은 개념은 융의 이론에서도 활용되었다.
2)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차이점
프로이드가 개인적인 정신을 다루었는데, 융은 인류 전체의 정신 문제를 다루었다. 집합적인 무의식을 인류 정신의 기초로 보았다. 집합적인 무의식은 인류전체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버릇을 의미한다. 민족이나 인류가 가지고 있는 신화나 동화에 나타나는 꿈과 환상이 집합적인 무의식이다. 이 집합 무의식의 원형은 신이요, 종교요, 참 자기이다. 집단 무의식을 지나서 그 밑에 있는 밑바탕이 참된 자아요, 하나님이요, 종교이다. 정신 분열은 의식과 무의식이 일치하지 않는데서 출발하고 있다고 보았다. 인간 의식의 원형은 자기 자신에 대한 통솔이고, 개인 의 무의식은 갈등으로 보았다. 융은 무의식 안의 모든 내용을 완전히 의식화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의식에 무의식을 통합시킴으로 정신병도 치료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무의식의 개념 정립과 관련하여 프로이트는 인간 정신의 자각 수준에 초점을 두고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달리 융은 인간의 정신문화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집단무의식이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무의식의 범위를 보다 확장시켰다.
Ⅲ. 결론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사람들의 실질적 삶의 방향에서 돕는 차원의 심리학적 접근을 하는 상담이론가들은 다음과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
상담이란, 내담자로 하여금 새로운 방향에서 발전적인 한 발자욱을 내디딜 수 있도록 돕는 구조화되고 허용적인 관계이다. 상담관계란, 훈련받은 상담자와 도움을 받고자 하는 내담자를 연결 짓는 상호적인 과정으로 상담가는 내담자의 감정을 수용하고 명료화 한다.
즉, 상담이란, \"자신의 삶에 관련하여 여러 적응의 문제를 해결 받고자 하는 사람(도움 필요자, 내담자)과 그것을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사람(상담가, 상담자)이 면대면(face to face)을 통해 대화로 풀어가며 해결해가는 과정이며, 관계 속의 학습적인 과정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노안영 저(2018).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존지, 최웅용 저(2016). 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 이재선 외 5명 저(2016).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2)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차이점
프로이드가 개인적인 정신을 다루었는데, 융은 인류 전체의 정신 문제를 다루었다. 집합적인 무의식을 인류 정신의 기초로 보았다. 집합적인 무의식은 인류전체가 가지고 있는 하나의 버릇을 의미한다. 민족이나 인류가 가지고 있는 신화나 동화에 나타나는 꿈과 환상이 집합적인 무의식이다. 이 집합 무의식의 원형은 신이요, 종교요, 참 자기이다. 집단 무의식을 지나서 그 밑에 있는 밑바탕이 참된 자아요, 하나님이요, 종교이다. 정신 분열은 의식과 무의식이 일치하지 않는데서 출발하고 있다고 보았다. 인간 의식의 원형은 자기 자신에 대한 통솔이고, 개인 의 무의식은 갈등으로 보았다. 융은 무의식 안의 모든 내용을 완전히 의식화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의식에 무의식을 통합시킴으로 정신병도 치료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무의식의 개념 정립과 관련하여 프로이트는 인간 정신의 자각 수준에 초점을 두고 무의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와 달리 융은 인간의 정신문화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어 집단무의식이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기존 무의식의 범위를 보다 확장시켰다.
Ⅲ. 결론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사람들의 실질적 삶의 방향에서 돕는 차원의 심리학적 접근을 하는 상담이론가들은 다음과 같은 견해를 갖고 있다.
상담이란, 내담자로 하여금 새로운 방향에서 발전적인 한 발자욱을 내디딜 수 있도록 돕는 구조화되고 허용적인 관계이다. 상담관계란, 훈련받은 상담자와 도움을 받고자 하는 내담자를 연결 짓는 상호적인 과정으로 상담가는 내담자의 감정을 수용하고 명료화 한다.
즉, 상담이란, \"자신의 삶에 관련하여 여러 적응의 문제를 해결 받고자 하는 사람(도움 필요자, 내담자)과 그것을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사람(상담가, 상담자)이 면대면(face to face)을 통해 대화로 풀어가며 해결해가는 과정이며, 관계 속의 학습적인 과정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노안영 저(2018).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 김춘경, 이수연, 이윤주, 정존지, 최웅용 저(2016). 상담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 이재선 외 5명 저(2016).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서원
추천자료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 과제]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
[상담이론과실제]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 )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심리학 2023]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엘리스의 합리정...
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상담이론과실제_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시오.
상담치료와실제_정신분석 상담이론과 분석치료 상담이론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