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힘법칙을 사용해서 구합니다.
18.385 M × ? mL = 1 M × 1000 mL
? = 1 × 1000 / 18.385 = 54.4 mL
(3-1) 1000 mL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대략 400 mL 정도 미리 가해 놓습니다.
(3-2) 피펫으로 98% 황산 시약 54.4 mL를 분취하여 부피 플라스크에 한 방울씩 천천히 가합니다.
(3-3) 부피 플라스크의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우면, 1 M 황산 용액 1000 mL가 됩니다.
======================================================================
98% 황산(d=1.84) 시약으로 2 M H2SO4 용액 1 L 만들기
농도가 98%, 비중이 1.84인 H2SO4(분자량 98)을 이용하여
2 M H2SO4 용액 1000 mL를 만들려면?
-----------------------------------------
(1) 98% 황산 시약의 몰농도는 18.4 M입니다.
(2) 2 M 황산 용액 1000 mL 제조에 필요한 18.4 M 황산의 양은
묽힘법칙을 사용해서 구합니다.
18.4 M × ? mL = 2 M × 1000 mL
? = 2 × 1000 / 18.4 = 108.7 mL
(3-1) 1000 mL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대략 400 mL 정도 미리 가해 놓습니다.
(3-2) 피펫으로 98% 황산 시약 108.7 mL를 분취하여 부피 플라스크에 한 방울씩 천천히 가합니다.
(3-3) 부피 플라스크의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우면, 2 M 황산 용액 1000 mL가 됩니다.
======================
Ca(OH)2의 몰농도와 용해도
0℃에서 Ca(OH)2 포화용액에 포함된 Ca(OH)2의 몰농도는 0.0250 M이다.
0℃에서 물 100 mL에 용해될 수 있는 고체 Ca(OH)2의 질량은 몇 g인가?
이때 용액의 부피는 100 mL이다.
----------------------------------------
0.0250 M Ca(OH)2 용액 100 mL에 포함된 Ca(OH)2의 몰수를 계산하면,
(0.0250 mol/L) * 0.100 L = 0.0025 mol Ca(OH)2
Ca(OH)2의 몰질량 = 74.09 g/mol 이므로,
몰수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025 mol * (74.09 g/mol) = 0.185 g Ca(OH)2
답: 0.185 g
================================================
94%에탄올로 50%에탄올 수용액 만드는법 계산식 좀 알려주세요~
답-> %단위가 W/V%로 가정 합니다.
50%에탄올은 1리터에 에탄올 500g 이 존재한다고 가정 합니다.
50% 에틴올 1리터를 만든다고할때 에탄올 500g이 들어 있으면 됩니다.
94%에탄올 필요량 : 500/0.94=532g
94% 에탄올 532g을 취한 뒤 증류수를 부어서 1리터로 만들면 50%에탄올 용액이 됩니다.
===============================================
순도100퍼짜리 NaOH가 있다고 가정하고
몰농도
1- 0.1M NaOH표준용액100ml를 만들려고 합니다
몇 그램의 수산화나트륨을 넣고 100ml를 채워야할까요?
2- 0.1M NaOH표준용액 50ml를 만들땐?
3- 0.2M NaOH표준용액100ml를 만들땐?
4- 0.2M NaOH표준용액 50ml를 만들땐?
답 -> M은 mol/L와 같습니다.
N은 eq/L와 같습니다. eq는 당량을 의미합니다.
NaOH는 1단위가 이온화했을 때 OH- 1단위를 내는 1가 염기입니다.
따라서 1몰 = 1당량 입니다. 즉 1 M = 1 N 입니다.
NaOH의 몰질량은 40 g/mol 입니다.
1.
0.1 M = 0.1 mol/L 농도의 수용액 100 mL 입니다.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1 mol/L) * (0.1 L) = 0.01 mol 입니다.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1 mol) * (40 g/mol) = 0.4 g 입니다.
2.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1 mol/L) * (0.05 L) = 0.005 mol
필요한 NaOH는 0.005 mol이고,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05 mol) * (40 g/mol) = 0.2 g 입니다.
3.
0.2 M = 0.2 mol/L 입니다.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2 mol/L) * (0.1 L) = 0.02 mol 입니다.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2 mol) * (40 g/mol) = 0.8 g입니다.
4.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2 mol/L) * (0.05 L) = 0.01 mol 입니다.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1 mol) * (40 g/mol) = 0.4 g입니다.
5. ~ 8.은 1. ~ 4.와 같습니다.
NaOH는 1가 염기이므로 1 M = 1 N이기 때문입니다.
==================================================
0.05M 요오드액 100 ml 만드는 계산식좀 부탁드립니다
답 -> 아이오딘산칼륨(potassium iodate), KIO3의 몰질량은 = 214.00 g/mol 입니다.
0.05몰의 요오드 용액 100ml 제조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0.05 mol/L) * 0.100 L = 0.050 mol
-> 0.050 mol * (214.00 g/mol) = 10.7 g
10.7 g KIO3를 100 m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의 표선까지 증류수를 채우면 0.05몰의 100ml 요오드 용액이 제조 됩니다
==============================================
4. 람버트 비어 법칙 중요!
-----------------------
흡광도A는 통과거리 “b”cm 를 가지는 투과셀에 담겨져 있는 용액의 흡광도이다.
이것을 람버트비어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람버트 비어의 법칙에는 제약이 있다. (이거도 중요)
1) 용질간 상호작용 농도( 농도 < 0.01M )
2) 겉보기 화학편자
3) 다색 복선에 의한 겉보기 기기편차
4) 기계적 오차
18.385 M × ? mL = 1 M × 1000 mL
? = 1 × 1000 / 18.385 = 54.4 mL
(3-1) 1000 mL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대략 400 mL 정도 미리 가해 놓습니다.
(3-2) 피펫으로 98% 황산 시약 54.4 mL를 분취하여 부피 플라스크에 한 방울씩 천천히 가합니다.
(3-3) 부피 플라스크의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우면, 1 M 황산 용액 1000 mL가 됩니다.
======================================================================
98% 황산(d=1.84) 시약으로 2 M H2SO4 용액 1 L 만들기
농도가 98%, 비중이 1.84인 H2SO4(분자량 98)을 이용하여
2 M H2SO4 용액 1000 mL를 만들려면?
-----------------------------------------
(1) 98% 황산 시약의 몰농도는 18.4 M입니다.
(2) 2 M 황산 용액 1000 mL 제조에 필요한 18.4 M 황산의 양은
묽힘법칙을 사용해서 구합니다.
18.4 M × ? mL = 2 M × 1000 mL
? = 2 × 1000 / 18.4 = 108.7 mL
(3-1) 1000 mL 부피 플라스크에 증류수를 대략 400 mL 정도 미리 가해 놓습니다.
(3-2) 피펫으로 98% 황산 시약 108.7 mL를 분취하여 부피 플라스크에 한 방울씩 천천히 가합니다.
(3-3) 부피 플라스크의 표시선까지 증류수를 채우면, 2 M 황산 용액 1000 mL가 됩니다.
======================
Ca(OH)2의 몰농도와 용해도
0℃에서 Ca(OH)2 포화용액에 포함된 Ca(OH)2의 몰농도는 0.0250 M이다.
0℃에서 물 100 mL에 용해될 수 있는 고체 Ca(OH)2의 질량은 몇 g인가?
이때 용액의 부피는 100 mL이다.
----------------------------------------
0.0250 M Ca(OH)2 용액 100 mL에 포함된 Ca(OH)2의 몰수를 계산하면,
(0.0250 mol/L) * 0.100 L = 0.0025 mol Ca(OH)2
Ca(OH)2의 몰질량 = 74.09 g/mol 이므로,
몰수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025 mol * (74.09 g/mol) = 0.185 g Ca(OH)2
답: 0.185 g
================================================
94%에탄올로 50%에탄올 수용액 만드는법 계산식 좀 알려주세요~
답-> %단위가 W/V%로 가정 합니다.
50%에탄올은 1리터에 에탄올 500g 이 존재한다고 가정 합니다.
50% 에틴올 1리터를 만든다고할때 에탄올 500g이 들어 있으면 됩니다.
94%에탄올 필요량 : 500/0.94=532g
94% 에탄올 532g을 취한 뒤 증류수를 부어서 1리터로 만들면 50%에탄올 용액이 됩니다.
===============================================
순도100퍼짜리 NaOH가 있다고 가정하고
몰농도
1- 0.1M NaOH표준용액100ml를 만들려고 합니다
몇 그램의 수산화나트륨을 넣고 100ml를 채워야할까요?
2- 0.1M NaOH표준용액 50ml를 만들땐?
3- 0.2M NaOH표준용액100ml를 만들땐?
4- 0.2M NaOH표준용액 50ml를 만들땐?
답 -> M은 mol/L와 같습니다.
N은 eq/L와 같습니다. eq는 당량을 의미합니다.
NaOH는 1단위가 이온화했을 때 OH- 1단위를 내는 1가 염기입니다.
따라서 1몰 = 1당량 입니다. 즉 1 M = 1 N 입니다.
NaOH의 몰질량은 40 g/mol 입니다.
1.
0.1 M = 0.1 mol/L 농도의 수용액 100 mL 입니다.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1 mol/L) * (0.1 L) = 0.01 mol 입니다.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1 mol) * (40 g/mol) = 0.4 g 입니다.
2.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1 mol/L) * (0.05 L) = 0.005 mol
필요한 NaOH는 0.005 mol이고,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05 mol) * (40 g/mol) = 0.2 g 입니다.
3.
0.2 M = 0.2 mol/L 입니다.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2 mol/L) * (0.1 L) = 0.02 mol 입니다.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2 mol) * (40 g/mol) = 0.8 g입니다.
4.
필요한 NaOH의 몰수는 (0.2 mol/L) * (0.05 L) = 0.01 mol 입니다.
이를 질량으로 환산하면 (0.01 mol) * (40 g/mol) = 0.4 g입니다.
5. ~ 8.은 1. ~ 4.와 같습니다.
NaOH는 1가 염기이므로 1 M = 1 N이기 때문입니다.
==================================================
0.05M 요오드액 100 ml 만드는 계산식좀 부탁드립니다
답 -> 아이오딘산칼륨(potassium iodate), KIO3의 몰질량은 = 214.00 g/mol 입니다.
0.05몰의 요오드 용액 100ml 제조 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0.05 mol/L) * 0.100 L = 0.050 mol
-> 0.050 mol * (214.00 g/mol) = 10.7 g
10.7 g KIO3를 100 mL 부피 플라스크에 넣고,
플라스크의 표선까지 증류수를 채우면 0.05몰의 100ml 요오드 용액이 제조 됩니다
==============================================
4. 람버트 비어 법칙 중요!
-----------------------
흡광도A는 통과거리 “b”cm 를 가지는 투과셀에 담겨져 있는 용액의 흡광도이다.
이것을 람버트비어의 법칙이라고 하는데
람버트 비어의 법칙에는 제약이 있다. (이거도 중요)
1) 용질간 상호작용 농도( 농도 < 0.01M )
2) 겉보기 화학편자
3) 다색 복선에 의한 겉보기 기기편차
4) 기계적 오차
추천자료
대입 내신제의 시행과정과 입시정책상의 문제점 및 개선과제
정보가전 레포트 1주차 2주차 3주차 모두정리 리포트 / 시험정보까지정리
신뢰성 공학 개론
교육기자재(학습기기, 학습기자재) 소프트웨어, 비디오, 오디오, 교육기자재(학습기기, 학습...
[공학] 국내 산업공학의 현황 (강원도지역 대학)
가스계측기기 요점사항 정리 (계측기기의 설치 및 제어 목적, 계측기기의 구비조건, 단위, 오...
자동차 공학 실험 - 엔진 튠업(Engine Tune-up)
교육학개론 기말시험 정리본
[아동생활지도] 1. 아동생활지도의 이론적 기초 중 정신분석적 접근과 인본주의적 접근에 관...
A는 법학과 교수 B가 진행하는 전공과목의 출석 수업을 듣는 과정에서, 스마트폰의 음성 녹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