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국의 공공 외교와 해외봉사단
2.공공외교 측면으로서의 한국해외봉사단 사업과 운영
3.한국 봉사단의 문제점
4.한국의 공공외교에서의 한국봉사단의 나아가야할 방안
2.공공외교 측면으로서의 한국해외봉사단 사업과 운영
3.한국 봉사단의 문제점
4.한국의 공공외교에서의 한국봉사단의 나아가야할 방안
본문내용
년간 현지에서의 활동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이 사업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와 가족들의 동의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잠재적 참여자들이 궁금해 하는 다양한 내용의 정보들(봉사단 지원및 활동과 귀국 후 문제에 관한 사항들)을 보다 접근의 편의성을 고려해서 만들 필요가 있다. 한국봉사단 사업의 핵심 참여 계층인 청년층에게 익숙한 온라인 홍보를 강화하고, 검색을 통한 지속적인 노출효과를 통해서 사업에 대한 인식층을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개인 의 역량개발 차원에서의 SNS 활용이다. 개인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증명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SNS가 주목을 받으면서 취업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둘째는, 귀국 후 진로와 관련된 문제이다. 봉사단 지원시 가장 큰 문제점으로 드러나는 것이 바로 활동으로 인한 공백이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어려움이었다. 최근에는 인사담당자들도 몇장짜리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보다 개인의 관심사와 지식이 담긴 SNS를 실무능력 평가 자료로 인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SNS는 새로운 수입의 창출 도구로도 활용될 수 있고, 이릍 통해서 구축된 개인 브랜드는 가산 가치로까지 인정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