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실업 레포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년실업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는 기여를 하지 못한다는 결과는 청년고용정책에 의존하는 일부 청년들의 문제를 반영하는 것일 가능성도 있다. 즉, 청년고용정책의 지원을 받는 동안 적극적인 구직을 하지 않아서 취업률이 제고되지 못하는 것이다. 때문에 청년고용정책에 의존적인 청년들의 구직의사를 고취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청년고용정책의 지원을 받는 청년들이 적극적인 구직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적극적이 구직의사를 가지고 있는 청년을 선별하여 지원하는 등의 방책이 요구된다. 다만 지속적인 청년고용정책의 효과에 대한 모니터링과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 정책이 청년고용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청년고용을 위해서 정부가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청년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들의 구직의사와 취업동기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청년고용정책의 경우 대졸청년실업자의 취업성과에 세 가지 유형의 정책에 모두 참여했을 경우(TRA&DJC&PES)만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개별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보다 여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이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이를 통해 종합적인 청년고용정책 패키지 프로그램 확대를 제언할 수 있다. 한정된 예산으로 최적의 정책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개별 프로그램을 분절적으로 제공할 것이 아니라 통합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취업여부에는 모든 유형의 정책참여유형이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는 각각의 정책유형들이 모두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 중 대표적으로 직업훈련(TRA)제도에 관해 제언하자면, 훈련기관의 질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훈련생이 훈련을 통해 인적자본을 쌓을 수 있도록 혹은 기업에 어필할 수 있는 스펙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엄밀한 품질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선발과정에서 직업훈련 직종에 맞는 훈련생들을 선별하고, 직업훈련 이수 후에 취업 알선까지 자동으로 연결되는 종합적인 체제가 요구된다.
3. 청년 실업에 대한 느낀 점
일자리 공공정책도 중요하지만 개인적으로 적성과 진로, 흥미를 찾기 위해서 역량강화 프로그램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진로를 명확하게 정하여 단기적인 일자리가 아닌 자신의 분야를 개척하여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이에 따라 지속가능하고 통합적인 일자리 정책과 서비스가 청년에게 지원되어야함을 느꼈다. 청년들의 빈곤과 고립을 해결하기 위해서 기피하는 일자리를 정부가 보조금 지원이나 일자리 분야를 전문적으로 세분화가 이루어져야한다고 느꼈다. 국민일보와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 지난달 11~14일 전국 20대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바일 여론조사에서 \'일자리 정책의 혜택을 받은 적이 있다\'는 응답은 17.3% 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놀랐다. 일자리 정책에 관심이 많은데 대다수의 청년층이 자신의 혜택에 관심이 없다는 것에 신기했다. 따라서 정부는 단기적으로 취업률을 높이는 것에 급급해하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으로 청년들이 살아갈 수 있도록 일자리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생각했다.
청년들을 위해 단순히 일자리 예산에만 투입하여 취업률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취업의 질을 위해 환경조성이 더욱 더 필요하다고 느꼈다. 따라서 청년들에게 직접적인 일자리 고용도 좋지만 양질의 일자리를 위해서 사업주 입장이 아닌 수요자 입장의 정책으로 바뀌는 것이 필요하다. 청년고용의 안정을 위해서 청년의 일자리의 품질을 높이는 것이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서 중소기업에 청년을 채용할 수 있는 고용정책의 목표달성 등 정부의 일자리 목표가 더욱더 절실하다. 청년의 구직을 위해서 이에 대한 해결책을 결론에서 말했다시피 청년실업의 해결을 위해서 중소기업 경력자를 대기업으로 유도하는 방법 등이 필요하다. 따라서 그들이 실질적으로 취업을 하여 \'의미있는 기여\'를 하기 위해 청년고용정책이 변화되어야한다고 느꼈다.
4. 토론주제 선정
경기도 구리시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위축으로 고용충격이 현실화됨에 따라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한 일자리 취약계층의 생계안정 및 지역경제 회복을 위한 \'희망일자리사업\' 정책을 펼쳤다.
해당 정책을 접한 후, 조원 모두 자연재해로 인해 국민의 고용 위기가 심화될 경우 국가는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다. 학우들의 다양한 의견을 들어보고자 토론 주제를 선정했다.
토론 주제는 다음과 같다.
코로나 19 같이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로 고용인구 감소 및 취업이 어려워지는 상황에 이러한 고용정책의 실행은 효과적일 것인가?
<구리시 희망일자리 정책 포스터>
Ⅳ. 참고문헌 및 출처
성유지, 「청년고용정책 참여유형이 청년대졸자의 취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역대 최대라는 20조 일자리 예산, \"대체 누가 받나요\", 국민일보, 2019.02.19.,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924062593
\"일자리 정책의 명암\", 전북일보, 2020.11.18.,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96302
\"정부 일자리는 고용 해법 아니다.\", 서울경제, 2020.11.18.,
https://www.sedaily.com/NewsView/1ZAGF9KZVJ
\"청년 일자리·정책 관련 참신한 아이디어 제시\", 경상일보, 2020.11.04,
http://www.ks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7867
\"함께 더불어 살아야 하는 이유\", 여성신문, 2015.12.15.,
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9203
허현자, 「전문대학과 4년제 대학 졸업자의 취업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연구」, 세종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구리시, 코로나19 \'희망일자리\' 참여자 1500명 모집” 뉴시스, 2020.07.14
https://newsis.com/view/?id=NISX20200714_0001095149&cID=10804&pID=14000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23.07.26
  • 저작시기202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19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