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변에 비이성적이고 이상행동 및 정신장애를 가진 대상을 보는 다양한 시선과 관점, 행동은 어떠한지에 대해 토론
2.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
3. 참고자료
2.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
3.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국사회 자체가 정신장애인을 깔보고 무시하는 사회라는 것을 익히 알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자녀가 중학교에 입학함과 동시에 필리핀이나 태국으로 이민가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하는 중이다. 내가 만약 자폐증 자녀를 키우는 입장이라는 B씨와 마찬가지로 외국으로 이민가는 것을 고민할 것이고, 결국 이민을 갈 것이다.
우리나라 장애인 취업률은 38%를 넘지 못하고 있고, 장애인 혼인율도 50%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리나라 장애인분들 중 약 68%는 단순히 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하는데, 한국사회 자체가 너무 보수적이고 장애인을 차별하기 때문에 장애인은 한국이라는 차별적인 사회를 떠나는 것이 맞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나의 여동생도 조현병을 가진 상태이고, 조현병 때문에 주변 친구들로부터 ‘미친년’이라는 소리도 들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사회가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벗어버리지 못한다면, 우리사회 정신장애인분들은 영원히 이방인이자 낙오자로 전락하여 한국사회에 통합되지 못한 채, 고립된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3. 참고자료
장애인복지론, 저자 이정숙, 출판 공동체, 2022.03.02.
우리나라 장애인 취업률은 38%를 넘지 못하고 있고, 장애인 혼인율도 50%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리나라 장애인분들 중 약 68%는 단순히 장애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차별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하는데, 한국사회 자체가 너무 보수적이고 장애인을 차별하기 때문에 장애인은 한국이라는 차별적인 사회를 떠나는 것이 맞다는 생각도 들었다. 사실 나의 여동생도 조현병을 가진 상태이고, 조현병 때문에 주변 친구들로부터 ‘미친년’이라는 소리도 들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사회가 장애인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벗어버리지 못한다면, 우리사회 정신장애인분들은 영원히 이방인이자 낙오자로 전락하여 한국사회에 통합되지 못한 채, 고립된 삶을 살아가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3. 참고자료
장애인복지론, 저자 이정숙, 출판 공동체, 2022.03.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