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자신이 섬기는 신을 버리고 다른 신을 섬기는 행위, 즉 하나님을 버리고 다른 신을 숭배하는 행위이며, 다른 하나는 하나님을 떠나지 않으면서 다른 것을 섬기는 우상숭배다. 구약의 우상숭배는 대부분 두 번째의 경우에 속하며, 이것은 이스라엘이 우상숭배를 계속적으로 행할 때 그들의 사회에는 여전히 성전이 존재하고 있음에서 알 수 있다.
성경의 대표적인 우상으로는 풍요의 신인 바알과 아스다롯이 등장하는데 이스라엘은 이들만 믿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섬김과 동시에 이들을 섬겼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은 모두 그들의 탐심 때문에 일어난 일이었다. 탐심은 성경에서 우상숭배로서 경고하는데, 이는 마음으로부터 생기는 욕심과 정욕을 제어하지 못하게 하여 그것을 따라 살게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주마다 모여서 예배하고 하나님의 이름을 부른다 하여도 하나님의 말씀보다 물질이 더 중요해지면 그것은 우상숭배가 되는 것이다. 또한, 물질 때문에 하나님의 계명을 포기하거나 하나님의 말씀보다 그것에 메어 사는 것 역시 우상숭배다. 이렇듯 겉으로는 하나님을 따라 살면서 실제로는 우상을 섬기고 있는 삶에 우리는 메어있다. 그렇기에 믿음이 중요하고, 그렇기에 올바른 교육이 중요하며, 그렇기에 우상숭배에 대한 기독교의 관심이 다시금 불타오르는 것 아닐까 생각해본다.
<참조>
두란노 서원 인물강해, 미가, 르호보암, https://drn153.tistory.com/.
“성경속의 인물: 데메드리오”, 아이굿 뉴스, 2021-11-16.
크로스웨이 ESV 스터디 바이블 편찬팀, 『ESV 스터디 바이블』, 부흥과개혁사(2014.05.25.)
성경의 대표적인 우상으로는 풍요의 신인 바알과 아스다롯이 등장하는데 이스라엘은 이들만 믿은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섬김과 동시에 이들을 섬겼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은 모두 그들의 탐심 때문에 일어난 일이었다. 탐심은 성경에서 우상숭배로서 경고하는데, 이는 마음으로부터 생기는 욕심과 정욕을 제어하지 못하게 하여 그것을 따라 살게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우리가 주마다 모여서 예배하고 하나님의 이름을 부른다 하여도 하나님의 말씀보다 물질이 더 중요해지면 그것은 우상숭배가 되는 것이다. 또한, 물질 때문에 하나님의 계명을 포기하거나 하나님의 말씀보다 그것에 메어 사는 것 역시 우상숭배다. 이렇듯 겉으로는 하나님을 따라 살면서 실제로는 우상을 섬기고 있는 삶에 우리는 메어있다. 그렇기에 믿음이 중요하고, 그렇기에 올바른 교육이 중요하며, 그렇기에 우상숭배에 대한 기독교의 관심이 다시금 불타오르는 것 아닐까 생각해본다.
<참조>
두란노 서원 인물강해, 미가, 르호보암, https://drn153.tistory.com/.
“성경속의 인물: 데메드리오”, 아이굿 뉴스, 2021-11-16.
크로스웨이 ESV 스터디 바이블 편찬팀, 『ESV 스터디 바이블』, 부흥과개혁사(2014.05.2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