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분석이론의 개념 및 특징
2. 정신분석이론의 특징
3. 정신분석이론의 모델의 종류
4. 심리성적 발달단계
5. 성격발달 단계
6. 프로이트가 주장 자아방어기제의 종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정신분석이론의 개념 및 특징
2. 정신분석이론의 특징
3. 정신분석이론의 모델의 종류
4. 심리성적 발달단계
5. 성격발달 단계
6. 프로이트가 주장 자아방어기제의 종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낳고 싶은 사람이 돌하르방의 코를 만지는 경우)
13) 부정(Denial) : 현실의 위험, 불안한 감정을 회피하거나 외면함으로써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
(cf>죽은 자녀가 죽은 것이 아닌 잠시 다른 곳에 간 것이라고 믿는 경우)
14) 해리(Dissociation) :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성격의 일부가 의식에서 벗어나 마치 다른 독립된 성격처럼 행동하는 것
(cf>몽유병, 잠꼬대, 이중인격)
15) 저항(Resistance) : 억압된 감정이 의식화되는 것이 고통스러워 이 감정이 의식화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
(cf>침묵, 불안)
16) 내면화(Turning against self) : 강한 감정의 표현을 피하기 위해 외부의 대상을 자기 내면으로 받아들이는 것
(cf>어머니를 미워하는 감정을 표현할 수 없어 자기를 미워하는 것, 우울증)
17) 분리(Isolation) : 고통스러운 생각과 기억을 자신의 감정에서 분리하는 것
(cf>부인이 죽은 후, 부인을 연상하는 여자주인공이 나오는 영화가 죽는 장면을 외면하는 것)
Ⅲ. 결론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은 1900년대 초, 사회과학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개인이 과거 경험을 중심으로 본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는 진단주의학파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인간과 환경 중에서 인간의 정신내적 현상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결정론적 인간관과 이에 따른 실천을 주장하기도 했다.
또, 정서발달에만 치중한 것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의 강조로, 대인관계/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다.
이처럼 프로이트의 이론인 정신분석이론은 성격발달에 대해 최초로 포괄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립한 이론이라는 점과 인간의 생애에서 발달단계의 특징과 심리적 기재를 체계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성격발달에 있어 성적 욕망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인간을 성욕과 과거의 경험, 무의식에 의해 지배되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재로 보고 있고, 여성을 남성에 비해 열등하게 바라보는 편견에 있는 것 또한 비판적이다.
그리고 인간의 행동, 사고, 감정은 무의식적 성적 본능과 공격적 본능에 의해 결정되며 인간의 자유의지, 책임성, 자발성, 자기 결정과 선택 가능한 능력을 인정하지 않으며 만 5세 이전의 경험에 따라 성격 구조가 형성된다고 주장한 부분은 사실상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트가 자라온 환경 속에서 스스로의 성격을 파악한 부분이 아닌가 하는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 블로그 제주올레상담소 https://m.blog.naver.com/tanteo
블로그 일상,정보공유, 기록 https://blog.naver.com/star_log_
블로그 좋아서하는사회복지, https://likesocialwelfare.tistory.com/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은, 학지사, 201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근홍, 공동체, 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손병덕 외, 학지사, 2017
13) 부정(Denial) : 현실의 위험, 불안한 감정을 회피하거나 외면함으로써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것
(cf>죽은 자녀가 죽은 것이 아닌 잠시 다른 곳에 간 것이라고 믿는 경우)
14) 해리(Dissociation) :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성격의 일부가 의식에서 벗어나 마치 다른 독립된 성격처럼 행동하는 것
(cf>몽유병, 잠꼬대, 이중인격)
15) 저항(Resistance) : 억압된 감정이 의식화되는 것이 고통스러워 이 감정이 의식화되는 것을 방해하는 것
(cf>침묵, 불안)
16) 내면화(Turning against self) : 강한 감정의 표현을 피하기 위해 외부의 대상을 자기 내면으로 받아들이는 것
(cf>어머니를 미워하는 감정을 표현할 수 없어 자기를 미워하는 것, 우울증)
17) 분리(Isolation) : 고통스러운 생각과 기억을 자신의 감정에서 분리하는 것
(cf>부인이 죽은 후, 부인을 연상하는 여자주인공이 나오는 영화가 죽는 장면을 외면하는 것)
Ⅲ. 결론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은 1900년대 초, 사회과학이론에 기초한 사회복지실천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
개인이 과거 경험을 중심으로 본인이 가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는 진단주의학파에 영향을 미치기도 했다.
인간과 환경 중에서 인간의 정신내적 현상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결정론적 인간관과 이에 따른 실천을 주장하기도 했다.
또, 정서발달에만 치중한 것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생물학적 요인의 강조로, 대인관계/사회적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도 있다.
이처럼 프로이트의 이론인 정신분석이론은 성격발달에 대해 최초로 포괄적이고 과학적으로 정립한 이론이라는 점과 인간의 생애에서 발달단계의 특징과 심리적 기재를 체계적으로 평가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성격발달에 있어 성적 욕망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인간을 성욕과 과거의 경험, 무의식에 의해 지배되는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재로 보고 있고, 여성을 남성에 비해 열등하게 바라보는 편견에 있는 것 또한 비판적이다.
그리고 인간의 행동, 사고, 감정은 무의식적 성적 본능과 공격적 본능에 의해 결정되며 인간의 자유의지, 책임성, 자발성, 자기 결정과 선택 가능한 능력을 인정하지 않으며 만 5세 이전의 경험에 따라 성격 구조가 형성된다고 주장한 부분은 사실상 타당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트가 자라온 환경 속에서 스스로의 성격을 파악한 부분이 아닌가 하는 것으로 보인다.
Ⅳ. 참고문헌
- 블로그 제주올레상담소 https://m.blog.naver.com/tanteo
블로그 일상,정보공유, 기록 https://blog.naver.com/star_log_
블로그 좋아서하는사회복지, https://likesocialwelfare.tistory.com/
네이버 지식백과사전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은, 학지사, 2014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이근홍, 공동체, 2019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손병덕 외, 학지사, 2017
추천자료
[프로이드][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정신분석][정신분석이론][Freud][발달단계][성격구조]프...
[프로이드][Freud][프로이드이론][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성격발달][정신분석][프로이...
Freud는 각 개인의 성격이 생후 5년 이내에 결정된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Freud의 정신결정론...
프로이트(Freud)는 각 개인의 성격이 생후 5년 이내에 결정된다고 보았는데 이러한 Freud의 ...
방통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인행사 유아교육 E 프로이트
[초등도덕 교육]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교육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이론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프로이트가 개인의 성격이 5년 ...
인간행동과사회환경_프로이트는 각 개인의 성격이 생후 5년 이내에 결정된다고 보았는데 이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