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Ⅰ. 계속기록법
1. 분개
2. 매출 총이익
Ⅱ. 실지재고조사법
1. 분개
2. 매출 총이익
Ⅰ. 계속기록법
1. 분개
2. 매출 총이익
Ⅱ. 실지재고조사법
1. 분개
2. 매출 총이익
본문내용
매 가능 재고액으로부터 기말재고액을 감소시켜 매출원가 계정을 정리하는 분개이다.
결산 분개의 세 가지를 하나의 분개로 통합하면 다음과 같이 기록할 수 있다.
(차변) 재고자산(기말) 1,500 (대변) 재고자산(기초) 600
매출원가 5,100 매입 6,000
이 분개를 통해 매출원가를 계산할 수 있는 식을 도출해내면,
매출원가 5,100 = 기초재고액 600 + 당기 순 매입액 6,000 기말재고액 1,500
2. 매출 총이익
이에 따라 매출 총이익은 = 매출 6,400 매출원가 5,100 = 1,300이다.
두 방법 간의 매출 총이익 차이(1,600 1,300 = 300)는 재고자산감모손실과 같다, 실지재고조사법의 매출원가가 과대 계상된 것이다. 계속기록법에서는 재고자산감모손실을 따로 계정을 통해 알 수 있었으나 실지재고조사법에서는 기말재고액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고자산 감모분을 별도로 알 수 없다. 기말에 남아 있지 않은 재고자산은 모두 매출 되어 없어진 것으로 가정한다. 이것이 바로 두 기록법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기업은 재고자산이나 기업 내 정보 처리 방법에 따라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 중에서 선택하여 회계 장부를 기록할 수 있다. 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의 입고와 출고가 있을 때마다 기록하기 때문에 재고 수준을 유지하거나 정확한 재고 기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실지재고조사법은 결산할 때 수정분개를 하므로 기록의 간편성이라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특성에 따라 올바른 기록 방법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회계학원론, 한봉희, 창민사, 2016.02.22
결산 분개의 세 가지를 하나의 분개로 통합하면 다음과 같이 기록할 수 있다.
(차변) 재고자산(기말) 1,500 (대변) 재고자산(기초) 600
매출원가 5,100 매입 6,000
이 분개를 통해 매출원가를 계산할 수 있는 식을 도출해내면,
매출원가 5,100 = 기초재고액 600 + 당기 순 매입액 6,000 기말재고액 1,500
2. 매출 총이익
이에 따라 매출 총이익은 = 매출 6,400 매출원가 5,100 = 1,300이다.
두 방법 간의 매출 총이익 차이(1,600 1,300 = 300)는 재고자산감모손실과 같다, 실지재고조사법의 매출원가가 과대 계상된 것이다. 계속기록법에서는 재고자산감모손실을 따로 계정을 통해 알 수 있었으나 실지재고조사법에서는 기말재고액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고자산 감모분을 별도로 알 수 없다. 기말에 남아 있지 않은 재고자산은 모두 매출 되어 없어진 것으로 가정한다. 이것이 바로 두 기록법의 가장 큰 차이점이다. 기업은 재고자산이나 기업 내 정보 처리 방법에 따라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 중에서 선택하여 회계 장부를 기록할 수 있다. 계속기록법은 재고자산의 입고와 출고가 있을 때마다 기록하기 때문에 재고 수준을 유지하거나 정확한 재고 기록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실지재고조사법은 결산할 때 수정분개를 하므로 기록의 간편성이라는 장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특성에 따라 올바른 기록 방법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회계학원론, 한봉희, 창민사, 2016.02.2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