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절 재고자산의 본질
2절 재고자산의 범위와 원가
3절 재고자산의 수량결정을 위한 기록방법
4절 재고자산의 가격결정법
2절 재고자산의 범위와 원가
3절 재고자산의 수량결정을 위한 기록방법
4절 재고자산의 가격결정법
본문내용
60
₩300
매입
4
₩80
₩320
① ₩780 ② ₩520
③ ₩540 ④ ₩440
【해설】 매출원가 = 4 80 + 5 60 + 4 40 = 780
9. 울산(주)는 1989년 12월 31일에 실지재고조사를 한 결과 재고자산의 금액이 ₩1,250,000이었다. 그런데 회계자료로부터 다음의 두 가지 자료가 입수되었다면 추가시켜야 할 기말재고자산은 얼마인가?
1989년 12월 30일에 안양상사로부터 상품 ₩300,000을 매입하고 인수운임 ₩5,000을 지급하였는데 창고가 비좁아 이웃회사의 창고에 보관중이어서 실사한 재고자산에서는 제외되었다.
(주)마포에 원가 ₩180,000의 상품을 ₩200,000에 시용판매 하였는 데 위 시송품 중 ₩80,000을 매입하겠다는 통지가 1989년 12월 31일에 도착하였다.
① ₩385,000 ② ₩413,000
③ ₩420,500 ④ ₩425,000
⑤ ₩431,500
【해설】
1) 이웃회사에서 보관하고 있는 재고자산
300,000 + 5,000 = 305,000
2) 시송품잔액
매입통지분 차감: 200,000 - 80,000을 =120,000
매출이윤차감후 잔액 : 120,000 - 10% = 108,000
3) 기말재고자산 : 305,000 + 108,000 = 413,000
10. 다음 중 후입선출법과 선입선출법에 관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격이 내릴 때는 후입선출법의 이익이 더 크다.
② 가격이 오를 때는 후입선출법의 재고상품이 더 적다.
③ 가격이 오를 때는 후입선출법의 이익이 더 크다.
④ 가격이 내릴 때는 선입선출법의 이익이 더 크다.
⑤ 정답 없음.
【해설】1) 가격이 내릴 경우
기초재고단가는 기말재고단가보다 높으므로 선입선출법의 이익이 후입선출법의 이익보다 작다.
2) 가격이 오를 경우
후입선출법의 이익이 선입선출법의 이익보다 작다.
11. 재고자산의 평가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잘못된 것은?
① 취득원가의 결정은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 총평균법, 매출가격환원법 등의 방법에 의 한다.
② 순실현가능가액이 취득원가보다 하락하였을 경우 순실현가능가액을 대차대조표 가액으로 한다.
③ 저가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평가손실은 장부가액에서 직접 차감한다.
④ 순실현가능가액은 추정판매가액에서 판매시까지 발생하는 추정비용을 가산한 가액으로 한다.
⑤ 후입선출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대차대조표가액과 순실현가능가액의 차이와 그 내용을 주석으로 기재한 다.
【해설】
순실현가능가액이란 추정판매가액에서 판매시까지 발생하는 추정비용을 차감한 금액으로 한다.
12. 아래의 결산자료에 의한 기말재고액을 구하면 얼마인가?
(1)기초재고액 ₩12,000
(2)당기매입액 ₩20,700
(3)매입할인 ₩ 200
(4)매출할인 ₩ 300
(5)당기매출액 ₩20,000 (단, 매출이익은 매출액의 30%이다)
가. ₩11,500 나. ₩12,700 다. ₩13,500
라. ₩13,700 마. ₩14,000
【해설】
재고자산
-----------------------+--------------------------
기초 12,000 | 30,300 - 300 0.3
매입 20,500 | = 21,000
| 32,500 - 21,000 = 11,500
| = 11,500
-----------------------+--------------------------
32,500 | 32,500
━━━━━━━━━━━-+━━━━━━━━━━━━━
13. (주) 강동의 장부상에 기록되어 있는 1991년 12월 31일 결산일 현재의 기말재고액은 ₩200,000으로 표시되 어 있다. 실지로 재고조사를 한 결과, 기말재고액은 170,000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원가성이 인정된다고 하면, 1991년 12월 31일에 (주)강동이 행하여야 하는 분개는?
가. (차) 매 입 30,00 (대) 재고자산 30,000
나. (차) 재고자산 30,000 (대) 매출원가 30,000
다. (차) 재고감모손실 30,000 (대) 재고자산 30,000
라. (차) 매출원가 30,000 (대) 매 입 30,000
마. (차) 매출원가 30,000 (대) 매 출 30,000
【해설】 원가성이 있는 감모손실은 재고자산 중에서 감모된 만큼을 매입에 산입하는데 매출원가는 매입에 포 함되어 있다.
14. (주)서울의 장부상에 기록되어 있는 2001년 12월 31일 결산일 현재의 기말재고액은 ₩200,000이다. 실지재고조사를 한 결과, 기말재고액이 ₩170,000으로 확인되었다. 원가성이 있다고 할 때, 2001년 12월 31일 (주)서울의 올바른 분개는?
① (차) 매 입 30,000 (대) 재고자산 30,000
② (차) 재고자산 30,000 (대) 매출원가 30,000
③ (차) 재고감모손실 30,000 (대) 재고자산 30,000
④ (차) 매출원가 30,000 (대) 매입 30,000
⑤ (차) 상품 30,000 (대) 매입 30,000
【해설】 원가성이 있는 재고자산의 감모손실은 매출원가에 산입한다.
15. 2001년 3월 20일 화재가 발생한 경일문구점의 재고자산 자료이다.
3월 1일 기초자산 ₩440,000
3월 중 매입액
3월 중 매출액
매출채권회수액
매출환입
매출환출
1,000,000
1,430,000
500,000
213,200
100,000
당기 화재로 인해 소실되지 않은 재고자산은 ₩50,000으로 조사되었고 경일문구점의 매출액은 매출원가에 균등하게 20% 가산한다. 화재로 소실된 재고자산의 금액은?
① ₩226,000 ② ₩244,000
③ ₩326,000 ④ ₩344,000
⑤ ₩276,000
【해설】
재고자산
기초
440,000
매출원가
*1,014,000
순매입액
900,000
기말추정
326,000
1,340,000
*(1,430,000-213,200) 1.2 = ₩1,014,000
소멸된 재고자산 = 326,000-50,000 = ₩276,000
정답 1. ④ 2. ⑤ 3. ② 4 ⑤ 5. ⑤ 6. ③ 7. ② 8. ① 9. ② 10. ③ . ④ 11. ④ 12. 가
13. 가 14. 15. ⑤
₩300
매입
4
₩80
₩320
① ₩780 ② ₩520
③ ₩540 ④ ₩440
【해설】 매출원가 = 4 80 + 5 60 + 4 40 = 780
9. 울산(주)는 1989년 12월 31일에 실지재고조사를 한 결과 재고자산의 금액이 ₩1,250,000이었다. 그런데 회계자료로부터 다음의 두 가지 자료가 입수되었다면 추가시켜야 할 기말재고자산은 얼마인가?
1989년 12월 30일에 안양상사로부터 상품 ₩300,000을 매입하고 인수운임 ₩5,000을 지급하였는데 창고가 비좁아 이웃회사의 창고에 보관중이어서 실사한 재고자산에서는 제외되었다.
(주)마포에 원가 ₩180,000의 상품을 ₩200,000에 시용판매 하였는 데 위 시송품 중 ₩80,000을 매입하겠다는 통지가 1989년 12월 31일에 도착하였다.
① ₩385,000 ② ₩413,000
③ ₩420,500 ④ ₩425,000
⑤ ₩431,500
【해설】
1) 이웃회사에서 보관하고 있는 재고자산
300,000 + 5,000 = 305,000
2) 시송품잔액
매입통지분 차감: 200,000 - 80,000을 =120,000
매출이윤차감후 잔액 : 120,000 - 10% = 108,000
3) 기말재고자산 : 305,000 + 108,000 = 413,000
10. 다음 중 후입선출법과 선입선출법에 관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격이 내릴 때는 후입선출법의 이익이 더 크다.
② 가격이 오를 때는 후입선출법의 재고상품이 더 적다.
③ 가격이 오를 때는 후입선출법의 이익이 더 크다.
④ 가격이 내릴 때는 선입선출법의 이익이 더 크다.
⑤ 정답 없음.
【해설】1) 가격이 내릴 경우
기초재고단가는 기말재고단가보다 높으므로 선입선출법의 이익이 후입선출법의 이익보다 작다.
2) 가격이 오를 경우
후입선출법의 이익이 선입선출법의 이익보다 작다.
11. 재고자산의 평가에 관한 다음 기술 중 잘못된 것은?
① 취득원가의 결정은 개별법, 선입선출법, 후입선출법, 이동평균법, 총평균법, 매출가격환원법 등의 방법에 의 한다.
② 순실현가능가액이 취득원가보다 하락하였을 경우 순실현가능가액을 대차대조표 가액으로 한다.
③ 저가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평가손실은 장부가액에서 직접 차감한다.
④ 순실현가능가액은 추정판매가액에서 판매시까지 발생하는 추정비용을 가산한 가액으로 한다.
⑤ 후입선출법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대차대조표가액과 순실현가능가액의 차이와 그 내용을 주석으로 기재한 다.
【해설】
순실현가능가액이란 추정판매가액에서 판매시까지 발생하는 추정비용을 차감한 금액으로 한다.
12. 아래의 결산자료에 의한 기말재고액을 구하면 얼마인가?
(1)기초재고액 ₩12,000
(2)당기매입액 ₩20,700
(3)매입할인 ₩ 200
(4)매출할인 ₩ 300
(5)당기매출액 ₩20,000 (단, 매출이익은 매출액의 30%이다)
가. ₩11,500 나. ₩12,700 다. ₩13,500
라. ₩13,700 마. ₩14,000
【해설】
재고자산
-----------------------+--------------------------
기초 12,000 | 30,300 - 300 0.3
매입 20,500 | = 21,000
| 32,500 - 21,000 = 11,500
| = 11,500
-----------------------+--------------------------
32,500 | 32,500
━━━━━━━━━━━-+━━━━━━━━━━━━━
13. (주) 강동의 장부상에 기록되어 있는 1991년 12월 31일 결산일 현재의 기말재고액은 ₩200,000으로 표시되 어 있다. 실지로 재고조사를 한 결과, 기말재고액은 170,000으로 확인되었다. 이 경우 원가성이 인정된다고 하면, 1991년 12월 31일에 (주)강동이 행하여야 하는 분개는?
가. (차) 매 입 30,00 (대) 재고자산 30,000
나. (차) 재고자산 30,000 (대) 매출원가 30,000
다. (차) 재고감모손실 30,000 (대) 재고자산 30,000
라. (차) 매출원가 30,000 (대) 매 입 30,000
마. (차) 매출원가 30,000 (대) 매 출 30,000
【해설】 원가성이 있는 감모손실은 재고자산 중에서 감모된 만큼을 매입에 산입하는데 매출원가는 매입에 포 함되어 있다.
14. (주)서울의 장부상에 기록되어 있는 2001년 12월 31일 결산일 현재의 기말재고액은 ₩200,000이다. 실지재고조사를 한 결과, 기말재고액이 ₩170,000으로 확인되었다. 원가성이 있다고 할 때, 2001년 12월 31일 (주)서울의 올바른 분개는?
① (차) 매 입 30,000 (대) 재고자산 30,000
② (차) 재고자산 30,000 (대) 매출원가 30,000
③ (차) 재고감모손실 30,000 (대) 재고자산 30,000
④ (차) 매출원가 30,000 (대) 매입 30,000
⑤ (차) 상품 30,000 (대) 매입 30,000
【해설】 원가성이 있는 재고자산의 감모손실은 매출원가에 산입한다.
15. 2001년 3월 20일 화재가 발생한 경일문구점의 재고자산 자료이다.
3월 1일 기초자산 ₩440,000
3월 중 매입액
3월 중 매출액
매출채권회수액
매출환입
매출환출
1,000,000
1,430,000
500,000
213,200
100,000
당기 화재로 인해 소실되지 않은 재고자산은 ₩50,000으로 조사되었고 경일문구점의 매출액은 매출원가에 균등하게 20% 가산한다. 화재로 소실된 재고자산의 금액은?
① ₩226,000 ② ₩244,000
③ ₩326,000 ④ ₩344,000
⑤ ₩276,000
【해설】
재고자산
기초
440,000
매출원가
*1,014,000
순매입액
900,000
기말추정
326,000
1,340,000
*(1,430,000-213,200) 1.2 = ₩1,014,000
소멸된 재고자산 = 326,000-50,000 = ₩276,000
정답 1. ④ 2. ⑤ 3. ② 4 ⑤ 5. ⑤ 6. ③ 7. ② 8. ① 9. ② 10. ③ . ④ 11. ④ 12. 가
13. 가 14. 15. ⑤
추천자료
[의사결정] 의사결정의 단계 및 과정, 유형, 기법, 의사결정의 이론모형, 의사결정 사례 분석...
[의사결정][의사결정의정의][의사결정의요소][의사결정의유형][의사결정의과정][의사결정의모...
[의사결정][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사결정의 정의, 의사결정의 중요성, 의사결정의 수준과 의...
[환율결정][환율결정 방식][환율결정과 금융산업][환율결정과 미시경제][환율결정과 실질실효...
[구매의사결정]구매의사결정과 결정과정, 구매의사결정과 정보탐색, 구매의사결정과 소비자행...
[구매결정][구매][조직적 구매][광고][소비자][인터넷][이미지][결정][재구매][신규구매][관...
[개인정보자기결정]개인정보자기결정권(자기정보관리통제권)의 개념, 개인정보자기결정권(자...
[결정면, 바이스계수, 구면투영, 지수, 스트레오투영, 반도체공학, 반도체, 텅스텐 결정면, ...
[결정화, 결정화 개념, 결정화 실험방법, 여과, 세척, 결정현상, 결정화 공정, 결정화기술, ...
[자기결정권, 정보적 자기결정권, 성적 자기결정권]자기결정권과 정보적 자기결정권, 자기결...
[경영 의사결정][경영][의사결정][경영 의사결정 유형][경영 의사결정 수준]경영 의사결정의 ...
<자유의지 대 결정론과 그 전망> 자유의지, 소극적/적극적인 자유의지론,결정론,결정론과 비...
기업의 의사결정 {의사결정의 개념, 의사결정의 과정, 의사결정의 기법, 의사결정 사례, 더 ...
기업企業 비정규직사용비율 결정요인, 기업 기술혁신활동 결정요인, 기업 전략구축 결정요인,...